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311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5-01-29
목차
■ 들어가며 9
■ 서문 12
제1장 사고 : 탐구공동체로서의 교실
1. 합당성 21
2. 사고(생각하기) 23
3. 판단력의 강화 31
4. 생각하기와 스스로 생각하기 37
5. 탐구공동체 교실 41
6. 탐구공동체에 대한 몇 가지 우려 48
7. 문제해결학습, 메타인지학습, 협동학습 56
제2장 탐구공동체의 동력
1. 말하기 61
가. 자기 인식에서 언어의 역할 61
나. 대화에서 토론으로 64
다. 생각하기와 말하기 74
라. 교육과정에서 토론의 위상 78
마. 토론과 삶 84
바. 침묵과 토론 86
2. 탐구를 자극하는 질문하기 88
가. 일반적 질문, 탐구적 질문, 수사적 질문 91
나. 수사적 질문에 대한 옹호? 95
다. 닫힌 질문과 열린 질문 98
라. 절차적 질문과 내용적인 질문 105
제3장 의미 만들기
1. 경험의 가치 116
2. 경험이 주는 기만적 안전성 120
3. 학교 교육은 경험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 123
가. 경험과 무관한 활동은 무의미하다 123
나. 의미의 구성 : 교육의 필수과제 127
다. 학교 교육: 학생들에게 연관성이 없고 무의미함 129
4. 경험의 기만적 안정성을 넘어서기 139
제4장 생각하기, 철학, 어린이철학
1. 철학과 사고: 견고한 협력 152
가. ‘사고에 대한 사고’로서 철학 153
나. 의미 탐구로서 철학 157
다. 토론으로서 철학적 대화 160
라. 열린 질문으로서 철학적 질문 162
마. 창의적 사고로서 철학 163
바. 가치 내재적 사고로서 철학 165
2. 어린이철학으로 들어가기 167
가. 어린이철학에서 이야기의 위상 168
나. 어린이철학의 확장 179
다. 어린이철학에서 문학작품 활용하기 180
3. 교육과정을 포괄하는 철학: 전이의 문제 184
4. 철학과 어린이: 자연스러운 결합 194
5. 철학이 주는 자유의 힘 198
가. 아이들의 지적 자유로움 198
나. 철학자의 자유로움 201
다. 교사와 교육과정의 자유로움 202
6. 후기: 곰과 물고기가 정말로 대화할 수 있을까? 203
6 더 나은 사고를 위한 교육
제5장 교실에서 철학하기
1. 철학적 토론의 특징 207
가. 추론과 탐구 209
나. 개념 형성 211
다. 의미 만들기 213
2. 토론 마무리 217
3. 교사의 개입 221
4. 교실을 탐구공동체로 전환하기 228
5. 평가와 측정 241
가. 평가 242
나. 측정 246
6. 철학과 유아교육 250
7. 철학을 위한 시간 마련하기 256
8. 후기: 전 세계의 어린이철학 260
제6장 인격 발달과 윤리탐구
1. 윤리적 성장을 위한 기초: 나와 타인에 대한 자각 264
2. 사람이 된다는 것 269
3. 자존감의 발달 276
4. 탐구공동체와 윤리교육 282
가. 절차와 내용 283
나. 균형 잡힌 관점 285
다. 인격의 발달 289
라. 윤리교육의 딜레마 292
마. 개인적인, 그러나 지나치게 사적이지는 않은 293
바. 교실 너머의 윤리 294
제7장 교실에서의 윤리탐구
1. 우정의 함양 299
2. 성(Sexuality) 306
3. 평화와 폭력 312
가. 폭력의 도덕적 코드? 323
4. 성, 성적 편견, 차별 328
5. 삶과 죽음의 문제 342
가. 에이즈 교육 342
나. 마약과 약물 남용 351
6. 판단 강화: 일반적인 의견 353
7. 환경윤리 359
가. 환경 문제의 범위 359
나. 탐구공동체 교실의 대응 363
다. 환경오염에 대한 선취된 결론 370
라. 상호성, 공동체, 환경 371
8. 결론 380
제8장 어린이철학과 지구촌 공동체
1. ‘자유’의 재검토 383
2. 전 지구적 탐구공동체를 향하여 392
■ 참고문헌 397
■ 역자 후기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