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3142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제1장 지방소멸 위기와 교육적 대응
1. ‘지방소멸론’의 대두와 교육적 위기
2.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개입
3. 교육청과 기초자치단체의 협력: 혁신교육지구 사업
● 제2장 마을교육공동체 현상의 확산과 진화
1. 마을교육공동체 현상의 확산
2. ‘마을교육공동체’ 개념의 성립
3. ‘마을교육공동체’의 원리
● 제3장 학교와 지역의 협동
1. 학교와 지역의 관계: 한국적 맥락
2. 학교-지역 협력사업 추진
3. 학교와 지역사회의 새로운 관계
● 제4장 함께 만드는 교육공동체: ‘당사자성’을 넘어 ‘공동성’으로
1. 한국의 교육열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한국 사회에서 학부모의 학교 참여
3. 지역과 함께하는 ‘마을교육공동체’
4. 우리가 함께 마을의 배움을 만들어가자
● 제5장 지역사회 교육협력의 실천
1. 지속가능한 지역교육협력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
2. 지역사회 교육협력모델 사례: 충주미래교육지구
3. 미래교육지구의 실천적 노력과 과제
● 제6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연결관계와 구조
1. 다양한 교육주체들의 관계 형성과 공동체 구축
2. SNA를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연결관계와 구조 분석
3. 마을교육공동체 연결관계 및 구조의 특징과 의미
● 제7장 마을교육활동가의 활동 요구
1. 마을교육활동가 활동 참여의 확산
2. TNA를 활용한 마을교육활동가 활동 요구 분석
3. 마을교육활동가 지원의 과제
● 제8장 빈곤지역 마을교육공동체 참여실천연구
1. 빈곤 아동·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의 교육실천
2. 타 지역 교육공동체의 참여실천활동
3. 참여실천연구 사례
4. 마을주민의 주체적 형성과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 제9장 지역교육자치형 도시의 새로운 거버넌스
1. 교육자치를 위한 거버넌스
2. 새로운 교육자치의 두 사례
3. 혁신교육지구 실천 과정에서의 교육 거버넌스의 도전
4. 풀뿌리 교육자치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 제10장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이야기
1. 학교와 마을이 만나는 다양한 교차점
2. 함께 만드는 마을교육과정
3. 지역 교육을 위한 자기결정 구조
4. 지속가능한 구조 만들기
5. 주민 주체들의 배움과 실천, 성장의 시너지 구조
● 제11장 지속가능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창조
1. 주민의 사회적 실천으로서 마을교육공동체
2. 지속가능한 학교와 지역 협동을 위한 과제
3. 교육주체들의 상호 배움과 풀뿌리 교육자치의 가능성
원문 출처
참고문헌
책속에서
우리 사회를 위협하는 ‘격차’와 ‘관계의 단절’, ‘불안’ 등 복합적 위험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 … 이 책은 지역의 과소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확산하고 있는 혁신교육지구 정책과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을 그 대안으로 상정하고 지역 재생과 교육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머리말”)
진정한 교육을 위해서는 지역과 학교, 주민(학부모 포함)과 교사, 행정 등 주체들의 체계적인 협동 관계의 모색이 필요하다. 지역 차원에서는 지역사회 전체가 교육을 함께 고민하고 공부하면서 학교와 지역 교육 전체를 지원하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민과 당사자들이 삶의 중요한 과제로서 지역의 교육을 공동으로 논의하게 된다. 교육을 매개로 이웃 공동체와 아이들의 느슨한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 “마을교육공동체의 관계성”)
아이들의 양육과 관련해서, 그 저변에 깔린 관계 단절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부모’라는 개념을 살펴보고 싶다. 이 개념은 사회적 양육이 필요한 아이들을 키우는 양육자를 말하는 것으로, 마을에서 태어난 아이는 누구나 지역의 보배이고 그 지역사회 주민들이 “이 마을에 잘 왔어”라고 환영하면서, 생물학적 부모가 아이를 키우는 것이 어렵지 않도록 복수의 어른들이 부모를 대신해서 키울 수 있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 그 마을 어른들이 모두 사회적 부모가 된다는 생각이다. ( “‘사회적 부모’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