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315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문
제1부 토대역량접근에 대한 조망
1. 센의 공리주의 비판
2. 롤즈 정의론 재검토
3. 정의의 토대역량이론을 위하여
제2부 토대역량, 도덕성, 정치학
4. 광의의 결과주의 이론
5. 개인 책임에 대한 질문
6. 아리스토텔레스와 누스바움의 토대역량 혼합 이론
7. 어떤 자유, 어떤 종류의 공적 추론인가?
역자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나는 이 책에서 두 가지 주요한 문제의식을 갖고 인간의 토대역량과 정의에 관한 협정을 탐색했다. 하나는, 토대역량의 체계적이고 철학적인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토대역량을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이론적 접근으로 보고 이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할 수 있는 주장과 특성을 찾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토대역량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연구 주제로 삼는 연구자 중에 토대역량접근을 전적으로 자유주의적 패러다임 내에 끌어다 위치 지으려는 시도에 마음이 편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좀 더 철저하게 연구하고 해석·설명하려는 과정을 통해, 토대역량접근이 정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개념을 비판하는 데 귀중한 자원이 되는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서문”
롤스의 정의론과 토대역량접근은 사회정의의 이름으로 서로 빚지고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유사 특징을 다수 공유한다. 마치 ‘사촌간’으로 간주되기에 충분하다. 가장 인상적인 요소는 두 이론 모두 비공리주의적 접근을 취한다는 점으로, 사회 속에서 사람들의 이익과 지위를 객관적 기준에 기초해 평가하려고 한다. 롤스의 이론에서는 이 기준이 기본재인 반면, 센의 토대역량접근에서는 가치로운 기능성을 위한 사람들의 기본 토대역량이다. 이 두 이론 모두, 형평성을 이루게 하는 것은 효용이 아닌 기본재 혹은 기본 토대역량이다.
2장 “롤스 정의론 재검토”
센은 ‘토대역량’이란 용어를 서로 관련된 두 가지 요소를 가리키는 말로 이해한다. 우선, 토대역량이란 말은 인간으로서 사람들이 지닌 역량이나 권력을 가리킨다. 토대역량은 영양과 건강의 필요를 충족하는 데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실천이성의 사용이나 지역사회에서 자기 존중감을 갖고 살아가는 것과 같이 좀 더 복잡한 것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놓여있다. 둘째, 이 말은 기회를 가리키는 말인데, 사람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배양하고 행사해야 한다. 실제로, 사람들의 역량은 이들의 가족, 사회, 정치적 환경에서 직면하는 기회에 따라 고양되거나 저해될 수 있다. 센은 기능성이란 용어와 비교해 볼 때, 토대역량이라는 용어가 피할 수 없는 ‘모호함’을 일정 정도 지닌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기능성이라는 말이 한 개인의 ‘성취’를 의미하는 반면, 토대역량은 그 개인이 갖는 ‘성취의 자유’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3장 “정의와 토대역량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