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순자

순자

순황 (지은이), 장현근 (옮긴이)
책세상
11,2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80원 -10% 2,500원
560원
12,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순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순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5931942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순자》의 32편 가운데 대표작 7편만을 발췌, 번역한 책이다. 순자는 성악설로 유명한데, 그의 사상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논의일뿐 아니라 합리적인 자연관을 반영한 것이다. 인간이 하늘로부터 선함을 받았다고 한 맹자가 하늘에 도덕적인 힘을 부여했다면, 순자는 하늘은 단순한 자연이라고 보았다.

목차

들어가는 말|장현근 7

제1장 학문을 권하다〔勸學〕 15
제2장 열두 사상가에 대한 비판〔非十二子〕 27
제3장 성왕의 제도〔王制〕 39
제4장 부유한 나라〔富國〕 59
제5장 하늘을 논하다〔天論〕 83
제6장 예를 논하다〔禮論〕 97
제7장 본성은 악하다〔性惡〕 125

해제. 예로 다스리다, 성왕의 나라|장현근 143
1. 순자, 그 사람 145
2. 분열의 시대에서 통일의 시대로 150
3. 《순자》라는 책 155
4. 《순자》의 생각 160
(1) 사유의 바탕 .천생인성·성악·정명 161
(2) 성왕의 나라 163
(3) 예의치국 165
5. 순자의 그림자 167
6. 오늘날의 순자 171

주 175
더 읽어야 할 자료들 195
옮긴이에 대하여 199

저자소개

순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국 시대 말기의 유교 사상가이자 학자이다. 일찍이 유가 경전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수재로 이름이 나 열다섯 살에 학술 문화의 중심지였던 직하학궁에서 유학했다. 이후 20여 년간 여러 학자와 교류하며 학문적 명망을 쌓았고 직하학궁의 우두머리인 좨주를 세 차례 역임했다. 제나라 사람의 모함으로 초나라로 쫓겨갔을 때는 저명한 재상 춘신군이 그를 난릉 지방의 영으로 삼으려고도 했다. 하지만 그의 명성이 두려워진 춘신군은 곧 순자를 물리쳤다. 순자는 결국 진나라로 가 법가의 정책가로 명성을 날리던 응후, 범수와 진소왕을 만난다. 그러나 그들을 왕도정치로 설득시키는 데는 실패해 고향인 조나라로 돌아가게 되니 이때 그의 나이는 거의 여든에 가까웠다. 한편 초나라의 춘신군은 한 참모의 설득으로 다시 순자를 부른다. 그러나 순자는 신랄한 풍자가 담긴 답신을 보내 거절한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여러 차례 정중한 청을 보내오는 춘신군에게 순자는 결국 초나라의 난릉령직을 수락했다. 순자의 나이 아흔여덟으로 추측되는 서기전 238년경에 춘신군은 살해되었고 순자는 난릉령에서 물러나 수만 자에 이르는 저술을 남기고 눈을 감는다. 그는 격동의 전국 시대에 제자백가의 모든 학설을 섭렵하는 치열한 학문적 노력으로 초기 유가 사상의 학문적 체계를 집대성했다. 《논어》, 《맹자》, 《도덕경》 등이 일화, 경구 등으로 채워진 서술양식이었던 데 비해, 《순자》는 유가에서 저자가 쓴 최초의 체계적인 논문이며, 총론적인 설명, 연속적인 논증, 세부적인 상술 등으로 구성된 응집력 있는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펼치기
장현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만의 중국문화대학교 대학원에서 ≪상군서(商君書)≫ 연구로 석사학위를, ≪순자(荀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다. (사)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과 용인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다. 중국 고대 사상을 연구의 발판으로 삼아 전통문화와 사상에 대한 재해석과 비판적 계승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관념의 변천사 : 중국의 정치사상≫(2017년 세종도서 선정), ≪맹자 : 바른 정치가 사람을 바로 세운다≫, ≪중국 사상의 뿌리≫, ≪성왕 : 동양 리더십의 원형≫ 등 저서와 유택화(劉澤華) 주편의 ≪중국 정치사상사 1, 2, 3≫(제2회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순자≫, ≪논어≫ 등 역서를 합해 30여 권의 책을 출간하였다. 또한 <도덕군주론 : 고대 유가의 聖王論>, <사회철학으로서 현대 유학의 행로>, <순자(荀子)의 ‘화성기위(化性起僞)’적 정치 의의>, <군주권력의 공공성을 둘러싼 논쟁 : 공천하인가, 사천하인가>, <Differentiation and Fusion of “Ritual as common” and “Law as public” in Ancient Chinese Political Thought : Reinventing Qin(秦)·Han(漢) Governments> 등 한국어·중국어·영어로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백 번 쏘아 그중 한 번이라도 과녁을 놓치면 활을 잘 쏜다고 말할 수 없다. 천 리를 가되 반걸음이라도 이르지 못한 바가 있으면 수레를 잘 몬다고 말할 수 없다. 여러 가지 사물에대해 예법에 맞게 관통하지 못하고 인의에 전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공부를 잘한다고 말할 수 없다. 공부란 원래 하나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귀족과 천민, 살리고 죽임, 줌과 빼앗음의 이치도 한가지다. 군주는 군주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답고, 형은 형답고, 아우는 아우다운 이치도 한가지다. 농부는 농부답고, 선비는 선비답고, 장인은 장인답고, 상인은 상인다운 이치도 한가지다.


권위가 없으면 벌을 〔통한 정치를〕 행할 수 없다. 상이 행해지지 않으면 현자들을 나오게 할 수 없으며, 벌이 행해지지 않으면 어리석은 자들을 물러나게 할 수 없다. 현자들을 나오게 할 수 없고 어리석은 자들을 물러나게 할 수 없으면 유능한 사람과 무능한 사람이 각기 제자리를 찾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만물은 마땅함을 잃을 것이요, 사물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