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91159676833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17-08-10
책 소개
목차
^^제1장 자연과 생태환경
우암산과 우암산의 나무들 8
미호천과 무심천의 터줏대감 21
청주 일대의 물길이 집중된 미호천과 미호평야 28
미동산수목원 35
청주 시민의 휴식처 중앙공원과 압각수 41
청주의 도시숲 이야기 46
청주 가로수길의 조성과 경관 52
원흥이 방죽과 두꺼비 생태공원 57
까치내와 문암생태공원 64
무심천의 벚나무 이야기 69
달라져 온 무심천 물길 75
제2장 역사와 문화의 도시
돌 한 조각에서 찾은 율량동 석기제작소 82
백제 문화가 되살아난 신봉동 고분군 88
봉명동 고분의 동탁에 담긴 이야기 93
청주 지역 고대 사회의 중심지 정북동 토성 96
빨래판에서 찾은 운천동 신라사적비 101
흥덕사지의 발굴과 『직지』의 재탄생 107
청주 공북루에 온 공민왕과 응제시 115
망선루에서 장원급제한 박의중 119
청주 한씨 시조 한란과 한란묘 123
초정약수와 세종대왕의 행차 129
청주를 지키는 보루 상당산성 137
청주 고을의 등급이 여러 차례 강등된 사연 143
청주 출신의 문과 급제자들 149
청주 순천 김씨 간찰에 나타난 사연 155
태교 백과사전 『태교신기』와 사주당 이씨 161
가덕의 함종 어씨 간찰 이야기 167
땅 속에 묻힌 남석교 172
시민이 뽑은 자랑거리, 청주 10선과 청주 100가지 178
제3장 근대로 전환과 현대의 발전
모충사의 장졸 73명 위패 이야기 188
충북선 개통과 청주역 이전 이야기 195
청주의 병오년(1906) 대홍수 200
청주에서 활동한 선교사와 사회교육 207
1904년에 문을 연 청주제일교회 214
청주 탑동 양관 이야기 220
흙집학교에서 문을 연 가덕고등공민학교 226
청주의 사연들을 담은 꽃다리 서문다리 팔결다리 231
시민과 애환을 같이하던 제사공장 성냥공장 솥공장 연탄공장 240
서민 생활의 동반자 전통시장 247
‘제빵왕 김탁구’의 고장, 청주 베이커리의 역사 254
시민의 건강 지킴이 청주약국 261
건강한 먹거리, 상수허브랜드와 청원생명딸기 268
청주의 발전과 방사형 도로망 275
제4장 전란과 가난을 이겨내고
내가 겪은 청주의 6 25전쟁 282
무심천 상류에서 벌어진 6 25전투 목격기 288
청주 시내까지 들어온 빨치산 293
보리쌀 두 되와 목숨을 맞바꾼 보도연맹원 296
청주형무소가 불타고 우익이 희생된 날 304
휴전 후 가난하게 살던 이야기 311
쌀안장 미원의 이야기 316
자유당 말기 청주에서 학교 다닌 이야기 321
1960년대 학생들의 기차통학 이야기 327
속리산고속과 서울 나들이길 333
제5장 청주사회의 이모저모
남문시장과 약전 골목 이야기 340
향토 산업의 시발, 한국도자기 346
청주를 대표하는 기업, 임광토건 353
기술력으로 성장한 향토기업, 자화전자 360
청주에서 전국으로 퍼진 청주의 토종 브랜드 367
청주 상당공원의 충북도민헌장탑 372
보라매의 요람, 공군사관학교 376
파독 광부 남기석과 그가 수집한 골동품 381
베트남 새댁 타이 홍다오의 청주 생활 386
유네스코 직지상 391
수필문학이 충북에 융성해진 이야기 396
충북도민의 KTX 오송역 유치 노력 403
청주의 사진관과 삼호사진관의 졸업앨범 412
국민관광지가 된 대통령 별장 청남대 419
제6장 청주의 근현대 인물
‘산동 신씨’라 불리는 고령 신씨 일가의 독립운동 430
옥산 덕촌 하동 정씨 문중이 세운 덕신학교 436
의병과 3 1운동의 가교, 의병장 한봉수 442
청주의 여성 독립운동가 신순호와 이국영 449
일제 하 청주의 대지주, 민영은 456
빨치산 수기를 남긴 이태와 육철식 461
‘사랑이 메아리칠 때’의 가수 안다성(안영길) 467
한국 드라마의 전설, 김수현 471
시인 신동문과 청주문단 초창기 477
청주시의 명예시민 박병선 박사와 『직지』 484
전설의 ‘신궁’ 김수녕과 김수녕양궁장 490
청주대 설립자 김원근 김영근 형제 이야기 493
운호학원 설립자 강기용 이야기 500
‘별 중의 별’ 청주 출신 4성 장군들 509
한양 조씨의 효행과 시묘살이 이야기 516
이 시대의 철학인 민병산과 예술인 최병준 52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