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인간관계
· ISBN : 9791160023077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0-11-10
책 소개
목차
1장 외로움을 이해하면 외롭지 않다
외로움이란 무엇인가?
나만 외롭다고 생각하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외롭다는 생각이 원인이다
외로움은 왜 즐겁지 않은 일일까?
나의 외로움을 알면 내일이 보인다
외로움을 없애기
2장 기분이 나쁜 사람은 단지 외로울 뿐이다
다른 사람들의 행복으로 인해 침울해지는 이유
외로움 때문에 파괴적인 성격으로 변하는 이유
타인의 외로움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상대방의 외로움이 암시하는 것
반성을 하면 왜 ‘그 사람’이 싫어질까?
반성을 반복하다 보면 타인에 대한 증오가 자라난다
분노 뒤에는 반성하는 마음이 숨겨져 있다
3장 ‘나만’이라는 생각을 없애면 외로움은 사라진다
외로움의 색을 구분하면 마음이 점점 차분해진다
외로움이라는 선글라스로 보면 세상이 다르게 보인다
당신을 괴롭게 하는 그 사람에게도 외로움이 내재되어 있다
그 누구라도 사실은 모두 똑같다
외로움이라는 빛이 사라지면 마음속이 평온해진다
어린 시절의 외로움을 깨달으면 과거도 달라진다
‘나만’이라는 생각을 없애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4장 가족, 동료, 연인의 외로움에 대처하는 방법
항상 나에게 심한 말을 하는 엄마
나에게만 강하게 반론하는 동료
아내에게 가치관을 강요하는 남편
불리하면 눈물을 흘리는 연인
인사를 해도 무시하는 회사 선배
리뷰
책속에서
‘외로움’이라고 하면 흔히 ‘오직 나 혼자’일 때 느끼는 감정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외로움이란 곁에 누군가가 있어도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는다든지, 나를 이해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때 느껴지는 감정입니다. 마찬가지로 어렸을 때 저는 ‘아무도 나를 상대해주지 않고 놀아주지 않는다’라는 생각이 들면 외로움을 느꼈습니다. 학교에서 ‘내 편은 아무도 없어’라든지 혹은 ‘아무도 나를 이해해주지 않아’라는 생각이 들었을 때 외로움이 더욱 강렬했 던 것입니다.
한 번 뇌가 ‘외롭다’고 느끼게 되면 집단 속으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똑같이 외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다면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주변을 신경 쓰며 더욱 참아야만 하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그렇게 할 경우 사람은 결국 이성을 잃어버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에게 버림받지 않으려 상대방의 행동을 계속 참아오던 도중 상대가 차가운 태도를 보이게 되면 “이제 그만!” 하고 분노가 폭발하게 되거나, 아예 상대방과의 관계를 끊어버리는 등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이는 뇌의 외로움 부위의 신경세포가 활발해져 대전(帶電, 어떤 물체가 전기를 띰-옮긴이)된 전기가 ‘삐비빅!’ 하고 한번에 대량의 전기를 방출해 발작을 일으키는 이미지입니다.
주변에 긴장하고 있는 사람을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덩달아 긴장을 하게 되고 신경이 예민해지는데, 그 화가 주변 사람에게까지 닿게 되면 상대방이 나를 공격하고 맙니다. 그 결과 ‘왜 항상 나만 이런 일을 당하는 거야’라는 피해의식이 점점 자라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싫다는 괴로움에 빠지고 맙니다. 이렇게 외로움으로 인한 짜증이 잦아지면 주변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분노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주변 사람들의 분노는 나를 향한 분노’라고 해석하게 되기 때문에 스스로를 미움받는 존재라고 자각하게 되고, 점점 더 심한 발작을 일으킵니다. 상황은 더욱더 악화되어 결국 사면초가인 상태를 면하지 못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