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60029024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4-08-10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부동산을 시작하는 모든 투자자를 위하여
CHAPTER 1 부동산이라는 존재에 대한 내 생각을 구축하기
부동산으로 진짜 돈 벌 수 있나요?
내 집 마련을 반드시 해야 하나요?
내 집을 마련하려면 청약을 꼭 해야 하나요?
인구가 줄어들면 아파트 가격도 하락할까요?
재건축·재개발에 투자하면 무조건 이익이 나나요?
입지가 좋다는 게 무슨 뜻이죠?
부동산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대한민국의 집값,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CHAPTER 2 시작하는 투자자로서 든든한 기본기 다지기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은 어떻게 다른가요?
용적률, 건폐율은 어떤 뜻이고, 왜 중요한가요?
다가구주택과 다세대주택은 어떻게 다른가요?
재건축과 재개발은 어떻게 다른가요?
등기부등본이 뭐고 어떻게 봐야 하나요?
공시지가, 공시가격, 실거래가, 호가는 어떻게 다르죠?
부동산 계약을 했는데 파기해도 되나요?
부동산 세금, 꼭 알아야 할 핵심이 뭐죠?
‘줍줍’이란 게 도대체 뭔가요?
임대차 3법은 무엇이고, 왜 알아야 하나요?
CBD, YBD, GBD라는 용어는 무슨 뜻인가요?
토지의 용도가 미리 법으로 정해져 있다면서요?
CHAPTER 3 투자에 나서기 전 공부해서 내 무기를 벼리기
부동산 공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부동산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앱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임장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은가요?
초보자가 경매를 해도 괜찮을까요?
CHAPTER 4 집 마련 전 전세보증금 안전하게 지키기
전세제도와 전세자금대출이 한국에만 있다고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왜 중요한가요?
매매계약서, 전월세계약서를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세와 월세, 어떤 게 더 좋을까요?
전세사기를 안 당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좋은 공인중개사는 어떻게 판별할 수 있나요?
CHAPTER 5 대한민국 부동산의 역사에서 통찰과 교훈 얻기
아파트는 언제부터 생겼나요?
주택청약제도는 언제부터 생겼나요?
전세제도는 언제부터 생겼나요?
재건축은 언제부터 생겼나요?
CHAPTER 6 관점을 가지고 흔들림 없는 투자 실행하기
어떤 아파트가 좋은 아파트인가요?
어떻게 하면 대출을 잘 받을 수 있을까요?
집 사기 좋은 최적의 타이밍은 언제일까요?
나 홀로 아파트는 정말 투자하면 안 되나요?
전세 끼고 집을 산다고요? 갭투자가 뭐죠?
모델하우스에서 무엇을 체크해야 할까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무 데나 지으면 분양이 된다는 식이나 아무 데나 가격이 하락한 집을 사놓으면 다시 오른다는 생각으로 돈을 벌어보려는 욕망은 이제 접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전국적으로 집값이 올랐다면, 앞으로는 인구감소 지역에서는 단언컨대 그럴 일이 없습니다. 다만 지방에서도 인구가 늘거나 일자리가 늘어나는 경우는 오를 수 있습니다. 서울·수도권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과 아파트단지는 눈여겨봐야겠지만 서울이라고 다 같은 서울이 아닙니다. 부동산 양극화는 지금껏 우리가 경험한 것과는 차원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산을 지키고자 한다면 정말 옥석을 잘 가려야 합니다. -「부동산으로 진짜 돈 벌 수 있나요?」 중에서
청약의 가장 큰 장점은 신축 아파트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공공택지나 일부 민간택지에서 공급하는 아파트는 이른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기에 가격 면에서 훨씬 좋은 조건입니다. 분양가 상한제라는 규제 자체가 실수요자의 자금 부담을 줄이려고 나왔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라 하겠습니다. 그러니 공인중개사를 통해 기존의 주택을 구매하는 것은 따끈따끈한 신축도 아니고 가격도 운 좋게 잡은 급매물이 아닌 이상 시세에 준할 테니 청약에 비할 게 못 됩니다. -「내 집을 마련하려면 청약을 꼭 해야 하나요?」 중에서
인구를 볼 때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요소는 단순히 인구수가 아니라 ‘세대수’ 또는 ‘가구수’를 봐야 합니다. 행정안전부가 발간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를 보면 2022년 세대수는 2,370만 5,814세대인데, 이는 10년 사이에 무려 300만 세대가 증가한 것입니다. 주목할 점은 1인 세대가 1,000만 세대 돌파를 앞두고 있고, 전체 세대수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1인과 2인 세대를 합한 비중은 계속 높아지는 반면, 3인 세대 이상의 비중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결국 인구는 줄고 있지만 세대수는 증가하고 있기에 인구 감소가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별로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아파트 가격도 하락할까요?」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