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6007349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목차
서문
이야기의 시작
어마어마한 가치에 대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이야기
Chapter01 플랫폼의 생각법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플랫폼의 생각법 1 플랫폼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플랫폼의 필수요소: 양면시장 지향
플랫폼의 첫 단계: 양면구조 설계
플랫폼의 시작이자 핵심: 도구
플랫폼의 운영: 모두가 인정하는 원칙
플랫폼의 생각법 2 플랫폼은 어떻게 성장하는가?
플랫폼은 개방되어야 한다
승자가 모든 것을 가진다
네트워크 효과
교차 네트워크 효과와 공급자 시장의 확대
플랫폼 간의 경쟁
개방전략 vs 제한적 개방전략
제한적 개방전략
여전히 개방은 중요하다
플랫폼의 생각법 3 플랫폼은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
플랫폼의 사업모델: 추구가치와 수익의 분리
플랫폼의 수익모델: 수수료
추구가치와 수익의 중첩
성공하는 플랫폼의 조건
Chapter02 지식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구글의 생각법
지식에서의 플랫폼 생각법
양면구조 설계
구글 검색엔진의 알고리즘: 페이지랭크
개방을 통한 성장
지식이라는 가치의 추구
지식 플랫폼으로서의 구글
Chapter03 모두의 미디어를 만들다: 페이스북의 생각법
미디어에서의 플랫폼 생각법
미디어 플랫폼 성장 전략
양면시장 지향
개방을 통한 공유
SNS 기반의 미디어 가치 추구
싸이월드는 왜 페이스북이 되지 못했을까
Chapter04 새로운 커머스의 시대를 열다: 아마존의 생각법
경쟁이 존재하는 거래 플랫폼
완벽한 거래 플랫폼의 완성
고객 인터페이스의 개발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Alexa)
다른 차원에서의 개방과 공유
고객 집착이라는 가치
가난한 플랫폼 아마존
Chapter05 쓸만한 모바일 세상을 창조하다: 애플의 생각법
모바일 플랫폼의 탄생
모바일 플랫폼의 양면시장: 스마트폰의 탄생
세상의 첫 번째 모바일 운영체제: iOS
또 다른 모바일 플랫폼: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의 등장 이유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 iOS
이상적 플랫폼: 폐쇄 전략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경쟁
이상적인 플랫폼 애플의 미래
애플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 아이튠즈
Made by Google 픽셀(Pixel) 단말기의 의미
Chapter06 소유보다는 공유가 아름답다: 우버의 생각법
공유경제의 진정한 가치
양면구조의 설계
창출되는 가치 vs 파괴되는 가치
공유소비 플랫폼의 또 다른 문제
차량공유 플랫폼의 지향점
Chapter07 콘텐츠 플랫폼의 시대를 열다: 유튜브의 생각법
유튜브와 넷플릭스
콘텐츠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분화
프리미엄 콘텐츠: 넷플릭스
UGC: 유튜브
서로의 영역으로의 진출
Chapter08 모든 것이 플랫폼으로 통한다: 위챗의 생각법
플랫폼의 나라 중국
중국인의 삶을 지배하는 생활 플랫폼 위챗
슈퍼 플랫폼의 양면시장 지향
누구에게나 개방하지만 통제한다
결제 플랫폼 알리페이
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이동 플랫폼 디디추싱
Chapter09 플랫폼 따라하기
플랫폼의 생각법 따라하기
플랫폼 도구를 찾아라
운영원칙의 수립, 그리고 밀고 나가기
선순환하는 플랫폼 되기
플랫폼 간의 경쟁 그리고 개방전략
비즈니스 모델 수립
Chapter10 플랫폼의 미래
선량한 독점
권력의 분산
플랫폼의 주체는 기업이다
플랫폼 혁명과 미래
애프터 플랫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어디에 사용해도 그럴듯해 보이는 단어 자체가 갖는 모호성이 있어서 많은 기업들이 자신을 플랫폼 기업이라 칭하고 플랫폼 전략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플랫폼이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고민하고 사용하는 것 같지 않다(물론 자동차나 철도산업에서의 플랫폼의 사용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이유로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 ‘플랫폼’이란 용어는 ‘양면시장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사업모델’로 정의한다. 이 책에서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으로 설명할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의 기업을 보자. 이 플랫폼 기업들은 생산자와 소비자라는 두 개의 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지식과 정보, 미디어, 유통이란 분야에 새로운 사업모델을 도입하였다. 여기에 애플과 같이 새로운 디바이스를 만들어 그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확보하는 방식의 폐쇄적 개념의 플랫폼과, 중국이라는 폐쇄적이면서 역설적으로 자유로운 시장의 특성을 활용하여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을 아우르는 슈퍼 플랫폼을 구현하려는 텐센트 같은 기업도 있다. 이 기업들은 모두 기업가치 기준 세계 10대 기업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여기에 중국의 아마존이라 할 수 있는 알리바바를 더하면 세계 10대 기업 중 플랫폼 기업은 6개나 된다. 이러한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양면시장 지향’은 플랫폼이 반드시 가져야 할 요소이다. - <1장 플랫폼의 생각법> 중에서
양면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구글검색은 아주 자연스럽게 지식의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켰다. 지식 공급자는 지식을 생산하여 인터넷상에 올리고 소비자는 검색을 통해 지식을 찾아내어 소비하면 되는 자연스런 플랫폼을 만들어낸 것이다. 하지만 지식 플랫폼은 단지 두 개의 시장을 연결한다고 완성되지는 않는다.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양면시장의 참여자가 모두 만족할 만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결국 양면시장의 공급자와 소비자가 모두 만족하 는 도구와 원칙이 제공되어야 했다. 구글은 검색엔진이라는 도구를 통해 지식을 공급하는 시장과 소비하는 시장의 연결을 시작했고, 애드센스와 애드워즈와 같은 광고도구를 통해 플랫폼 참여자를 폭발적으로 증대시켰다. 구글의 성공에 있어 이러한 도구들 은 편리성이나 우월성을 통해서 생산자와 소비자에 의해 선택되었지만 구글의 플랫폼으로서의 성공의 중심에는 지식을 대하는 운영원칙이 존재했 다. 구글의 검색 서비스가 지배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원칙이자 철학이었다. 구글검색 서비스의 운영원칙은 공정성, 투명성 그리고 정확성이다. 지식의 공급과 소비는 공정하고 투명하며 그리고 정확해야 한다는 어쩌면 아주 선언적인 원칙일 수 있다. - <2장 지식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구글의 생각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