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 깨달음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아! 깨달음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견성見性! 깨침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 진리이다)

백운 (지은이), 보심스님 (엮은이)
비움과소통
1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520원 -10% 2,500원
0원
14,02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 깨달음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 깨달음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견성見性! 깨침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 진리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178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7-03-28

책 소개

백운 노스님의 육성법문과 선문답(대화)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최대한 선(禪)의 종지(宗旨)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스님의 본뜻을 드러내기 위해 구어체로 기술하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추천사 : 죽비법문은 부처님 팔만사천 법문의 압축판

제1부. 견성(見性)을 해야만 인생의 참 주인공으로 익어 갈 수 있다
불(佛), 법(法), 승(僧) 삼보예경은 기본 예의이다
부처님을 만난 사람들이 설법에 곧장 깨치다
사성제를 바로 알아 불법(佛法)의 진리를 보다
불교는 바르게 알고 믿는 종교이지 맹목적이지 않다
발심(發心)이 된 사람은 곧장 깨칠 수 있다
견성(見性)을 해야만 비로소 수행의 첫 시작이다.
견성(見性)! 깨침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 진리이다
유위법과 무위법을 통해 지혜의 문(門)으로 들어가다
삼법인(三法印)으로 해탈을 증득하다
나! 어디에서 왔는가? 어디에서 생겼는가?
(죽비) 탁! 완전한 존재를 바로 보이다
가장 소중한 보배는 지금 쓰고 있는 이 작용이다
성불(成佛)과 소중한 자아를 찾는 것, 무엇이 중요한가?
조작되지 않은 완전무결한 무위법이 바로‘참 진리’
깨치든 못 깨치든 본래 모두 같은 부처의 성품이다
인연만 되면 작용하는 이것이 참다운 ‘무아(無我)’이다
한 생각 일어나기 전 소식
우리는 각자의 인생에 들러리가 아닌 주인공이다
지혜를 얻어서 행복하게 익어가다

제2부. 부처님께서 이 땅에 오신 뜻
올바른 지혜 ‘1차작용’을 단박에 이르다
진리는 생각으로 이를 수 없는 도리이다
소를 타고 소를 찾으러 나가지 마라
필요에 의한 생각과, 과거와 미래의 헛된 생각을 구분하라
허상, 스스로 만든 그림에 속지마라
오온(五蘊), 부처와 중생을 가르는 기준점이다
깨치든 못 깨치든 상관없이 본래 생사(生死)는 없다
깨친 후 뒤집힌 관념을 바로 잡는 연습을 통해 완성하다
깨달음은 모든 종교를 초월해서 누구든지 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
인식의 대전환을 통해 주인공을 바로 알다

제3부. 생각의 노예에서 벗어나 진리를 바로 보다
맹목적인 기도와 기복은 바른 불법(佛法)이 아니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한 생각이 운명을 결정짓는 씨앗이다
한 생각은 어디에서 일어나는 것인가?
스스로 그린 상상의 그림에 속아 거꾸로 뒤집히다
상상의 그림인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면 해탈이다
망상은 작용 후 상상이 덧붙어 만들어진 허상이다
허상의 실체를 바로 알아 부처님 세계로 들어가다
진실한 부처님 세계는 오직 작용으로 드러나다

제4부. 무아(無我)와 공(空)을 바로 알아 중도를 체득하다
제5부. 탁마 토론으로 지혜를 바로 쓰는 연습을 통해 익어가다


후기 : 소를 타고 소를 찾아 나서는 여행길♬

저자소개

백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주 남산에서 가장 높은 수리봉(고위봉) 아래에 백운암(白雲巖)이라는 암자가 있다. 내남면 노곡리 백운대 마을에서 백운골을 따라 천룡재로 오르다 보면 천룡재 조금 못 미친 곳에 백운암이 있다. 꽤 높은 곳에 자리 잡은 조용하고 아담한 이 암자는 10여 평 내외의 대웅전과 다수의 요사채로 이루어져 있다. 백운암 바로 아래쪽에는 팔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의 하대석 부분과 다수의 기왓조각이 발견된 통일신라시대의 절터도 있다. 특히, 백운암에는 지난 2005년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부처님의 ‘치아(齒牙)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다. 강원도 건봉사에 봉안된 부처님 치아사리는 부처님의 치아 자체이고, 백운암의 치아사리는 치아가 아니라 사리(舍利)인 점이 다르다. 백운암에 오랫동안 주석하며 직접 불사와 농사를 지으며 선(禪)을 깨친 백운 스님은 매달 국내외의 어려운 이들을 위해 불우이웃 돕기를 하는 등 삶 속에서 보살행을 실천하고, 생활 속에서 깨달음을 얻도록 참선(參禪)을 지도하고 있다. 좌선 위주의 간화선이 깨닫기 어려운 참선인 반면, 백운 스님의 법문을 듣고 깨닫거나 안심(安心)을 얻은 불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런 소문이 알려지자 전국에서 스님을 친견하고 선(禪)을 지도ㆍ점검 받는 수행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스님은 수시로 찾아오는 선객(禪客)들에게 기탄 없이 자기의 본래 성품을 깨닫게 하는 대기대용(大機大用)의 자재한 방편을 발휘하고 있다. 저서에 <선(禪)으로 푼 근본교리>(비움과소통 刊)이 있다.
펼치기
보심스님 (엮은이)    정보 더보기
백운 노장스님과 법(法)의 인연으로 발심하여 출가 원력을 세운 후, 어느 곳으로 출가를 해야 하나 하면서 무작정 흰 구름 흘러가는 곳을 향하던 중, 이미 준비된 인연인 듯 은사(恩師)인 도명(道明)스님을 갑작스레 만나 뒷덜미 잡히어 갔다가 수계(受戒)후, 지금은 흰 구름 백운암에 머물면서 하릴없이 잠자고 밥 먹고 똥싸고 소일하며 지내는 한가한 스님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스님과 다시 마주 앉았습니다.
깨달음에 대해 내 ‘생각’에 입각해서 ‘집요한 추궁’을 했습니다. 깨달음 뒤에 수행이라니, 그리고 그 수행이 유별난 것이 아니라니. 이제 드디어 깨달음의 ‘실체’에 대해 물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수행 없이 어떻게 깨달음이 있을 수 있습니까?”
“그리고 그 깨달음이 도대체 뭡니까?”

노장님은 다시 죽비를 들어 치셨습니다.
“탁!”
“탁, 탁!”

들립니까?
“당연히 들리지요.”

이번엔 죽비를 들어 세우면서,
“보입니까?”
“보입니다.”

“들으려고 해서 들었습니까. 보려고 해서 보았습니까. 아니면 그냥 들리고 보였습니까?”
“그냥 들리고 그냥 보였습니다.”

“(탁! 탁, 탁!) 들으려 애쓰지 않아도 들리는 이것, 보려고 애쓰지 않아도 보이는 이것, 이것이 바로 스스로의 참 모습입니다.”
.
.
.
(“앗!”)
노장님의 법석에 한 번이라도 참석한 사람이라면, 노장님의 법문을 한 번이라도 들은 사람이라면 노장님의 죽비 소리를 안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노장님과 죽비 소리는 둘이 아닙니다. 죽비 소리가 노장님이고, 노장님이 죽비 소리지 않습니까.
노장님의 죽비법문은 부처님 팔만사천법문의 압축판입니다.
부처님에게 한 송이 꽃이 있었다면[拈花示衆], 백운 노장님에게는 죽비가 있는 것입니다.


20대 말에 불자가 된 저는 끊임없이 깨달음을 추구하고, 깨달음을 위한 자리라면 어떤 곳이든 마다 않고 달려갔습니다. 염불, 간화선, 묵조선, 위빠사나까지.
그리고 어떤 곳에서는 제법 ‘변화’도 맛보고, ‘인가(?)’를 얻은 곳까지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였습니다. 그래서 어쨌단 말이냐(so what?) 아무리 신비한 체험을 하고, 신통력을 얻었다 하더라도 그래서 어쨌단 말이냐?
아무리 신비한 체험을 하더라도 그 체험은 일시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고, 그 다음 결국 우리는 현실로 돌아와 현실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이 사실을 우리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깨달음이 지금, 여기(now and here)를 떠나 있다면 그 깨달음은 결국은 깨어질 수밖에 없는 ‘유리알’ 깨달음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백운 노장님의 죽비법문은 신비적인 요소가 하나도 없습니다. 죽비 하나로 들려주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감출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법문이 이루어지고, 현장에서 바로 본성자리를 보여주고 들려줍니다.
이 책 제목과 꼭 같습니다.
《아! 깨달음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상상의 세계가 가짜인 줄 먼저 바로 알고 난 후
거기에 묶이지 않는 연습을 통해
그림의 노예에서 벗어나면 해탈한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탈 하느냐?
그것은 모든 2차 작용이 허상(虛想)이라는 것을 먼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허상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들어오는 생각에 상관을 안 하게 됩니다. 들어오는 생각에 관여를 할 필요가 없게 되지요.

생각에 관여 하지 않는 것은
곧 일어나는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생각을 아무리 받아들여도 그 생각에 집착을 하지 않게 됩니다. 집착을 안 하면 생각이 들어왔다가 바로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려요.
이러한 이치를 바로 알고 허상에 속지 않으면 언제나 실상의 세계를 살게 됩니다. 이러한 실상의 세계가 바로 물들지 않는 부처의 세계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