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451
· 쪽수 : 872쪽
· 출판일 : 2018-12-13
책 소개
목차
大般涅槃經 序 4
發刊辭 6
대반열반경 한글 현토본 발간에 앞서 8
담무참과 북전열반경 10
大般涅槃經 卷第一
壽命品 第一 20
大般涅槃經 卷第二
壽命品 第一之二 38
大般涅槃經 卷第三
壽命品 第一之三 60
金剛身品 第二 71
名字功德品 第三 77
大般涅槃經 卷第四
如來性品 第四之一 80
大般涅槃經 卷第五
如來性品 第四之二 96
大般涅槃經 卷第六
如來性品 第四之三 116
大般涅槃經 卷第七
如來性品 第四之四 134
大般涅槃經 卷第八
如來性品 第四之五 152
大般涅槃經 卷第九
如來性品 第四之六 174
大般涅槃經 卷第十
如來性品 第四之七 194
一切大?所問品 第五 198
大般涅槃經 卷第十一
現病品 第六 212
聖行品 第七之一 223
大般涅槃經 卷第十二
聖行品 第七之二 230
大般涅槃經 卷第十三
聖行品 第七之三 250
大般涅槃經 卷第十四
聖行品 第七之四 268
大般涅槃經卷 第十五
梵行品 第八之一 286
大般涅槃經 卷第十六
梵行品 第八之二 304
大般涅槃經 卷第十七
梵行品 第八之三 320
大般涅槃經 卷第十八
梵行品 第八之四 336
大般涅槃經 卷第十九
梵行品 第八之五 354
大般涅槃經 卷第二十
梵行品 第八之六 372
?兒行品 第九 387
大般涅槃經 卷第二十一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第十之一 390
大般涅槃經 卷第二十二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 品第十之二 410
大般涅槃經 卷第二十三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第十之三 426
大般涅槃經 卷第二十四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第十之四 444
大般涅槃經 卷第二十五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第十之五 462
大般涅槃經 卷第二十六
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第十之六 484
大般涅槃經卷 第二十七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一 498
大般涅槃經 卷第二十八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二 520
大般涅槃經 卷第二十九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三 54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四 56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一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五 58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二
師子吼菩薩品 第十一之六 60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三
迦葉菩薩品 第十二之一 62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四
迦葉菩薩品 第十二之二 636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五
迦葉菩薩品 第十二之三 65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六
迦葉菩薩品 第十二之四 670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七
迦葉菩薩品 第十二之五 692
大般涅槃經 卷第三十八
迦葉菩薩品 第十二之六 710
大般涅槃經 卷第三十九
?陳如品 第十三之一 724
大般涅槃經 卷第四十
?陳如品 第十三之二 748
부록 : 우리말 대반열반경 요의 769
책속에서
대열반경大涅槃經은 시방삼세十方三世 부처님께서 생사고生死苦를 완전히 해탈하시고 대열반大涅槃을 증득하신 일승원교一乘圓敎로서 혹·업·고惑·業·苦 삼장三障이 두터운 중생들을 제도 하시기 위하여 우리 세존께서 성불하신 후 49년간 설법하신 오교십승五敎十乘 중의 최상법문이며 최후설법이다.
이 경에서 말씀하신 가장 큰 특징을 말한다면 중생의 개유불성皆有佛性과 여래의 상주불멸常住不滅 하심과, 일천제一闡提도 성불할 수 있다는 것과, 부율호법扶律護法 등과 다른 경보다 가장 많은 팔백비유설八百譬喩說 등이다. 그리고 범부와 외도들이 보는 허가虛假, 허망虛妄의 상常 락樂 아我 정淨인 사전도四顚倒와 성문, 연각이 수행한 반자교半字敎의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 부정不淨 등인 사전도四顚倒를 모두 타파하시고 여래의 사진실덕四眞實德인 진상眞常 진락眞樂 진아眞我 진정眞淨의 열반사덕涅槃四德을 잘 밝히신 만자교滿字敎이다.
그 의미는 설산雪山의 비니肥? 향초香草만을 먹는 대력백우大力白牛에게서 얻어지는 우유牛乳 중의 최상인 제호醍?의 맛과 같은 것이다.
대반열반경은 남북조시대 초기에 활약한 역경승(담무참, 385-433) 삼장법사에 의해서 한역되었다. 이로써 열반경은 화엄경, 법화경과 더불어 대승불교의 정수를 담은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널리 유통될 수 있었다. 담무참이 당시 벌인 역경사업과 불사는 역대 최고의 역승으로 추앙받는 구라마집에 버금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담무참의 업적은 열반경의 편역 하나 만으로도 족하다고 할 만하다. 그만큼 열반경의 역출은 이후 대승불교의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담무참의 일생 자체가 열반경과 갚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담무참의 행적에 대해서는 양고승전(양나라 때 혜교스님이 편찬했다)에서 비교적 자세히 술(術)하고 있다.
담무참이 대승의 진리를 깨닫게 된 것은 열반경과의 인연에 의해서이다.
당시까지 그의 강설은 매우 정밀하고 논리적이어서 학문과 변론에 있어 능히 그를 상대할 자가 없었다. 그러나 대승학자인 백두선사를 만난 후 상황은 달라졌다. 담무참은 백두선사와 논쟁을 벌였으나, 100여 일이 지나도 끝을 보지 못하였다. 담무참이 아무리 정교하게 문제를 제기하고 논리로 공격하여도, 백두선사에게서 허점을 찾을 수가 없었다. 결국 담무참은 논쟁의 패배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담무참은 선사에게 가르침을 얻고자 물었다.
“스님의 설법이 심오함을 보니 제가 감히 접하지 못한 경전을 근거로 한 것으로 보입니다. 도대체 어떤 경전을 공부하신 것입니까?”
이에 백두선사는 나무 껍질에 새긴 열반경을 보여줬다.
담무참이 그 내용을 살펴보니 그 뜻이 광대무변하여 자신이 공부한 소승경전과 비교할 바가 아니었다. 마치 우물 안 개구리처럼 좁은 틀 안에서 자만했던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크게 깨우치게 되었다. 이후 담무참은 대승에 전념하여, 나이 스무 살이 되었을 때 대소승의 경전 2백만 자를 암송하게 되었다. 담무참에게 있어 열반경은 그를 대승의 바다로 뛰어들게 한 계기일 뿐 아니라 대승의 사상을 가장 대표하는 경전이었다. 때문에 그는 평생토록 열반경을 소중히 간직하였으며, 역경사업에 있어서도 가장 공을 들였다.
담무참은 대승을 공부한 이후 지금의 중앙아시아를 따라 홍법의 역정에 들어선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10권 보살계경(菩薩戒經), 보살계본(菩薩戒本) 등의 경전을 지참하고 계빈국(지금의 중국 카슈미르 지방)을 거쳐 구자국(지금의 중국 산산현 남동쪽 지방)에 머물다가, 다시 동진하여 돈황에 다달았다. 돈황은 당시 중국과 서역의 교류의 통로로서 경제와 문화가 발달하고 불교가 성행하여 불국(佛國)이라 불리는 곳이었다. 담무참은 돈황에서 몇 년간 머물며 중국어를 배우고 난후 역경사업을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전해오는 보살계본이 바로 돈황에서 역출된 경이다. 이후 담무참은 다시 동진하여 고창국(高昌國=현재 감숙성 무위시, 당시 북량국의 수도)에 도달해 당시 북량국의 왕(王) 저거몽손(401년-433년 재위)을 만나고 평생을 그와 함께 홍법과 역경사업에 치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