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야심경통석

반야심경통석

왕은양 (지은이), 각성 (옮긴이), 용하, 오중철 (편역)
비움과소통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야심경통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야심경통석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67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0-06-26

책 소개

세간의 실상이 괴로움, 업, 미혹에 지나지 않음을 설명하고, 그러한 번뇌의 반연으로부터 해탈하기 위해 부처님께서 선설하셨던 오온, 십이처, 십팔계, 십이연기, 사성제의 개념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성性과 상相을 원융한 불법의 통론 6
유식학과 반야ㆍ열반사상을 회통한 ‘심경통석’ 8
반야심경과 불교핵심사상을 공부하는 지침서 14

<반야심경> 경문 21
<반야심경통석> 26

제1부 통론부
제1장 서설(序說) 26
제2장 세간(世間)의 진상(眞相) 27
제1절 고(苦) 27
제2절 업(業) 36
제3절 혹(惑) 53
(1) 근본번뇌(根本煩惱) 54
(2) 수번뇌(隨煩惱) 64
제3장 해결(解決)하는 방법(方法) 73
제1절 오온(五蘊) 77
제2절 십이처(十二處) 83
제3절 십팔계(十八界) 85
제4절 십이연기(十二緣起) 90
제5절 사성제(四聖諦) 97
(1) 사념주(四念住) 100
(2) 사정근(四正勤) 111
(3) 사신족(四神足) 113
(4) 오근(五根) 114
(5) 오력(五力) 114
(6) 칠각지(七覺支) 115
(7) 팔정도(八正道) 116
제4장 결론 120

제2부 경문 주해부
제1장 전단: 인법(人法)을 총설하시다 128
제1절 반야의 인법(人法) 128
제2절 반야의 소법(所法) 138
제2장 후단: 법상(法相)을 드러내고 이생(利生)을 선설하시다 148
제1절 오온의 본성 149
제2절 공(空)의 본성 152
제3절 공성(空性)의 현증 157
제4절 반야의 인과 무상과(無上果) 162
제5절 반야의 신용(神用) 170

저자소개

왕은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왕은양(1897-1964)은 중국 사천성(四川省) 남충(南充) 출신으로 불교 뿐 아니라, 유교와 도교 등 각종 학문에 두루 통달하였다. 특히 불교에 있어 유식학에 정통하고 다시 반야사상과 열반사상에 회통함으로서 완성되고 균형 잡힌 선지식에 도달하였다고 평가받는다. 20세기 중국 불교학을 대표하는 대학자로, 특히 유식학에 정통하여 <섭대승론소>, <유식론소>, <아비달마잡집론소>, <유식통론>, <팔식규구송석>과 <불학통론>, <반야심경통석> 등의 명저를 남겼다.
펼치기
각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8년 전남 장성의 한학자 집안에서 태어나 8살 때부터 할아버지에게 4서3경을 배웠다. 1955년 18세에 선사이자 율사인 해인사 백련암 도원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으며, 19세에 비슬산 도성암에서 ‘옴마니반메훔’ 6자진언 수행으로 오온이 공한 체험을 했다. 이후 당시 3대 대강백이라는 관응, 탄허, 운허 스님 문하에서 경학을 연찬한 스님은 50여년간 수많은 스님과 재가불자들을 대상으로 경전을 강의해 왔다. <능가경> <수능엄삼매경> <대도직지> <불조직지심체요절> <유식논강의> 등 30여 저서를 출간한 스님은 ‘통화총서’ 완간을 목표로 저술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부산 화엄사 회주, 화엄학회 회주 등을 맡아 후학양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용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3년 대둔산 태고사 입산. 은해사에서 득도. 해인사 승가대학 졸업. 통도사 승가대학 졸업. 교육원 불교전문강당 졸업. 유불선 삼교에 정통한 대강백 원조 각성 큰스님으로부터 전강 받음. 은해사 종립승가대학원 교무처장 역임. 조계종 포교국장 역임. 89년부터 서울에서 포교원 운영. 포천에 정변지사 수행처 건립. 동두천, 연천군, 포천 일대에서 군 포교 활동.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에서 공로상 수여. 현재 정변지사 주지로서 염불수행 및 대반열반경 연구 중. 저서에 <우리말로 읽는 능엄경> <대반열반경(한글 현토본)> <대반열반경 요의> <불자수행요집> <나선비구경> <현우경> <반야심경 통석> <잡보장경> <찬집백연경> 등이 있다.
펼치기
오중철 (편역)    정보 더보기
1999년 고려대 사회학과 졸업. 2012년 중국 사천대 고고학 석사 졸업. 2019넌 중국 사천대 고고학 박사 과정이수.
펼치기

책속에서

저 번뇌를 어떻게 끊을 수 있느냐? 진실로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그 밖의 것도 모두 탁상공론(卓上空論)이 될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사실을 꼭 알아야 할 것이니 번뇌의 복잡함이 어지러운 실타래와 같아서 복잡다단할 뿐만 아니라 이 번뇌가 사라지면 저 번뇌가 다시 일어나니 그것을 어찌 쉽사리 끊겠는가? 좋은 방편이 없고서는 반드시 좋은 결과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첫머리에 아집(我執; ‘나’라는 집착)을 쳐부셨으니 그 법이 참으로 가장 좋은 방편이다. 모든 탐냄, 성냄, 어리석음, 거만 따위가 생기게 된 것이 아집(我執) 때문이며, 모든 나쁜 소견이 일어나는 것도 또한 아집(我執) 때문이다.
아(我)에 고집하기 때문에 다시 아소(我所; 내 것)를 고집하여 아집(我執)과 아소(我所)가 치성하고 견고해져서 탐냄, 성냄, 거만, 의혹 따위가 그로 인하여 생기게 된다. 만일 아(我)를 고집하지 아니하고 아소(我所)를 찾아 헤매지 아니하면 다시 무슨 탐욕이 있으랴. 아(我)가 공(空)해서 나를 어기는 것이 본래 없는데 무슨 성냄이 있으랴. 아집(我執)을 떠나면 자타(自他)가 평등한데 무슨 거만함이 있으랴. 법(法)에는 본래 ‘나’가 없음을 통달하여 밝게 보아서 헷갈리지 아니한데 무슨 어리석음과 의혹이 있으랴. 그러므로 모든 번뇌가 다 ‘나’로 말미암아 생겼나니 ‘나’라는 소견(所見) 없어지면 모든 번뇌가 영원히 없어진다.


‘나’를 고집하기 때문에 ‘나’라는 존재가 없어진다[단견斷見]고 보거나 항상하다[상견常見]고 잘못 생각하여 뒤바뀌게 분별하면서 온갖 삿된 소견을 일으키어 어떤 방편을 볼 적에는 그것을 수승하다고 고집하며, 그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시 이취(二取: 아집취我執取와 명언취名言取)를 내거니와, 만일 아견(我見)이 없어지면 모든 소견(所見)들이 그 뿌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것이 마치 머리가 땅에 떨어짐에 목숨이 의지할 곳이 없게 되어 오관(五官)과 백해(百骸)가 함께 다 죽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아견을 끊으면 소견을 다 떠나게 된다. 그로 말미암아 부처님께서 “번뇌를 끊으매 아견을 끊는 것이 근본이 된다”고 하신 것이다.
아집(我執)을 끊으려 하면 이와 같은 ‘나’가 참으로 있는 것인가, 참으로 없는 것인가를 응당 먼저 관찰해야 한다. 만일 이 ‘나’가 참으로 있으면 그를 끊을 수 없을 것이요, 만일 ‘나’가 없다면 끊을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이 ‘나’가 있는가 없는가를 알도록 하시어 중생들로 하여금 헛수고를 하지 않도록 법상(法相: 천지만유의 모양)을 분석하시되 오온(五蘊)ㆍ십이처(十二處)ㆍ십팔계(十八界)의 법을 말씀하시어 중생들로 하여금 그 실아(實我)가 있는 것이 아님을 깊이 관찰하게 하셨다.


십지(十地)를 이루기 이전의 보살은 여래의 성스러운 가르침에 의지하여 불법을 믿고 공부하며, 제법(諸法)을 관찰하나, 아직 진각(眞覺)을 이룬 것은 아니다.
초지(初地)를 이룬 이후에는 법성(法性)을 관찰하게 되며 진각(眞覺)을 이루었다. 그러나 구생번뇌(俱生煩惱)와 소지(所知)장의 두 가지 장애가 남아있어 현행(現行) 간에 섞여 있는 상태다. 이런 이유로 법성을 관하더라도 아직 자재(自在)하지 못하다.
팔지(八地) 이후에는 두 가지 장애를 영원히 조복(調伏)한다. 두 장애가 현세에 얽힘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으며, 무상을 진실로 관하게 되고[無相眞觀], 더 이상 보탤 계행이 없으며[無有加行], 다시는 장애로 인한 중단이 없으며, 오래도록 상속하게 되니, 이를 관자재(觀自在)라 한다. 또한 대신통(大神通)을 얻으며, 위덕(威德)에 막힘이 없으며, 뜻에 따라 관찰하면 모든 상이 현전(現前)하여, 땅을 물이나 금으로 바꾸는 등 승해(勝解)가 자재하니, 이 또한 관자재라 한다. 이와 같은 자재를 구족(具足)한 보살을 이름하여 관자재보살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곧 관자재보살은 공(空)을 비추어보고 괴로움[苦]을 영원히 떠나버리신 존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