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중국문화
· ISBN : 979116023230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7-10-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팡세의 숲 2017』을 발간하면서
책을 내면서 4
1부. 중국인의 눈으로 본 한국과 중국의 민족성
1장. 왜 한국을 배워야 하는가?
2장. 중국인이 한국인보다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3장. 한국인의 변화로 본 국민성 개조 방법
4장. 한국인이 중국에 준 깨우침
자료: 서울 유람기
추위에 대한 내성(耐性)
정치에 대한 이야기
소양과 관련된 문제
또 다른 소양문제
2부. 근대 시기 이방인의 눈에 비친 중국인과 중국 민족성
중국과 중국인
중국 통신집
동방종교와 세계종교와 관계
중국인 생활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중국: 고대로부터 현재까지의 역사, 외교와 상업
중국
기술사회학—중국인 편
오대 강연
중국인의 인생철학
중국 국민성의 몇 가지 특징
중국국민성론
중국인—인종지리학적 심리론
3부. 중국 민족성의 특징 고찰
1장. 『중국인의 성격』과 『중국인의 정신』을 통해 본
중국 민족성의 특징— 20세기 초 중국 지식인의 ‘민족성’ 인식
1. 머리말
2. 아더 스미스와 구홍밍의 중국 민족성 논쟁
3. 계몽지식인들의 아더 스미스와 구홍밍에 대한 평가
4. 맺음말
2장. 중국 ‘'œ시’ 문화의 사회적 영향
— 부패문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계량적 고찰
1. 서론
2. 중국 ‘'꽌시’에 관한 정의
3. 꽌시 네트워크와 지대 추구
4. 지대추구를 위한 도구로서의 꽌시 네트워크
5. 가설검정을 위한 설문조사 데이터
6. 데이터 분석 및 결과 해석
7. 결론
3장. 중국인의 민족성은 ‘민족주의’ 인가? ‘애국주의’인가?
— 현대 중국인의 ‘애국주의’와 ‘민족주의’ 인식에 대한
계량 분석적 고찰
1. 서론
2. ‘애국주의’와 ‘민족주의’의 계량화를 위한 이론적 배경
3. 애국주의와 민족주의 분석을 위한 가설 설정
4. 가설 검정을 위한 설문조사 데이터
5. 데이터 분석 결과
6.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