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근대 한국인론의 지형

동아시아 근대 한국인론의 지형

쑨커지, 이선이, 이선이, 송석원, 최강민, 김경석, 이준태, 손지연, 이돈수 (지은이)
소명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근대 한국인론의 지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근대 한국인론의 지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6267531
· 쪽수 : 371쪽
· 출판일 : 2012-09-25

책 소개

우리가 오늘날 인식하고 있는 한국인의 성격과 특징에 관한 담론의 근대적 기원을 추적한 책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중일 삼국의 역사, 사상, 문학, 미술사 전공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었다.

목차

책을 펴내며 3

I 동아시아 민족성 담론의 지형들

근대 한국과 일본의 조선민족성 논의_이선이
1. 민족성 혹은 타자화된 자기인식 13
2.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과정 16
3. 한일 조선민족성 담론의 실제 21
4. 맺음말 31

1920년대 민족주의자들의 우리 민족성 인식_최강민
1. 민족진영의 분화와 민족성 논의 33
2.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과 최남선의 조선적 정체성 37
3. 안재홍의 비타협적 투쟁성과 용맹성 고취 46
4. 조선민족성의 우열론과 일제의 식민주의 51
5. 타협과 비타협의 태도가 낳은 차별화 57

민족성과 미의식_이선이
1. 민족과 예술의 만남 61
2. 안확의 조선민족성과 조선미의식 논의 방식 65
3.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민족성과 조선미의식 논의 방식 71
4. ‘조선적인 것’의 순환과 충돌 양상 77
5. 맺음말 82

제국의 시선이 포섭한 조선민족성_송석원
1. 제국의 시선, 그 전후사 85
2.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형성과 조선민족성 연구 87
3. ??조선의 취락??의 경우 94
4. ??조선농촌사회답사기??의 경우 100
5. 맺음말 104

1920년대 일본에서 전개된 조선민족성 논의의 지형_손지연
1. 글을 시작하며 105
2. 식민지 지배 논리가 만들어낸 조선인의 ‘사상’과 ‘성격’ 107
3. 식민지 지배의 사상과 방법, 그리고 조선민족성론 120
4. 나가며 130

근대 중국의 조선(인) 인식_이선이
1. 머리말 133
2. 중화사상의 변용과 조선 137
3. 사회진화론과 조선인 담론 144
4. 일본 오리엔탈리즘과 조선(인) 인식 150
5. 맺음말 159

20세기 초 중국지식인의 국민성 인식_이준태
1. 들어가며 163
2. ??中國人的性格??과 ??中國人的精神??의 발간 배경 166
3. 신문화운동기 계몽지식인들의 중국국민성 논쟁 170
4. 아더 스미스와 구홍밍의 중국국민성 논의 175
5. 남은 문제들 182

근대 중국의 한국 국민성 인식_쑨커즈
1. 한중 상호인식의 발단 185
2. 전근대 시기의 한국 국민성 인식 187
3. 근대이행기의 한국 국민성 인식 193
4. 한국 국민성 인식의 지형 변화 200
5. 결론 205

II 근대 한국인론의 표상과 재현

중국문학에 투영된 근대 한국인상_김경석
1. 인식의 연속과 단절 211
2. 근대 한국인상의 출현 214
3. 근대 중국문학에 투영된 한국인상 220
4. 나오며 236

1920년대 한일 소설에 재현된 조선인상_최강민
1. 문화통치 시기의 민족성 담론 239
2. 동일시의 실패와 열등성의 담론 242
3. 타자적 순종성과 주체적 저항의 담론 248
4. 타자의 시선에 비친 조선인 252
5. 우승열패의 열등성론과 조선인의 민족성 257
6. 연역법적으로 만들어진 민족성 262

근대 중일 언론매체의 조선여성 표상_이선이
1. 머리말 265
2. ??婦女新聞??이 그리는 조선여성 268
3. 관광-제국주의 시선 277
4. 일본 식민정책의 주요 고리 조선 288
5. 중국에서의 조선여성 표상 297
6. 맺음말 303

서양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의 초상_이돈수
1. 들어가는 말 307
2. 개항 이전 서양인의 기록에 나타난 한국인의 민족성 311
3. 개항 이후 서양인의 기록에 나타난 한국인의 민족성 327
4. 나가는 말 350

주석 352

저자소개

쑨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복단대학(復旦大學) 역사학과 교수. 중국 하남대학(河南大?) 역사학부를 졸업하고, 화동사범대학(???范大?)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大韓民國臨時政府在中國》,《上海韓人社會史:1910~1945》(한국판),《上海韓人社會硏究:1910~1945》등과 편저작으로《한국연구논총 8》, 《근대중국간행물과 한국》등이 있으며, “大韓民國臨時政府與法租界”, “近代上海居住韓人的法律地位與韓人社會的司法問題”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선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0년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전임연구원이며 경희대와 서울여대에서 중국역사와 여성학을 강의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내셔널리즘과 젠더>가 있고 중국역사에 관한 논문을 여러 편 썼다.
펼치기
송석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교토(京都)대학 법학박사(정치학 전공). 일본정치 전공.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교토대학 법학부 조수, 오사카 오타니(大谷)대학·교토다치바나(京都橘)대학·하나조노(花園)대학 등의 강사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외교부 산하기관 평가위원,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및 재외동포 교육문화 센터 전시·디지털 아카이브 실무추진단장, (사)재외한인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외교부 자문위원, 재외동포청 실무위원 및 청원위원, 충청북도 외국인 정책자문위원,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보통징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제국일본의 문화권력』(공저, 2011), 『근대 동아시아의 아포리아』(공저, 2014),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2: 정책, 사상, 대중문화』(공저, 2014), 『동아시아 이주민 사회와 문화 적응』(공저, 2017), The Olympic Games: Asia Rising-London 2012 and Tokyo 2020(공저, 2017),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3: 학지·문화매체·공연예술』(공저, 2017), 『한일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2019), 『문화권력: 제국과 포스트제국의 연속과 비연속』(공저, 2019), 『제국과 포스트제국을 넘어서』(공저, 2020), 『다문화 공생시대의 경제사회』(공저, 2022) 등이, 주요 논문으로 「사쿠마 쇼잔(佐久間象山)의 해방론(海防論)과 대 서양관: 막말에 있어서의 <양이를 위한 개국>의 정치사상」(2003), “The Japanese Imperial Mentality: Cultural Imperialism as Colonial Control-Chosun as Exemplar”(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송석원의 다른 책 >
김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북경사범대학에서 문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보건대학 관광중국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준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중국현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로 있으면서 중국 근현대 시기의 지성사와 근대 이후 중국인의 의식구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20세기 초 중국 지식인의 국민성 인식 비교」과 「중국의 전통적 해양 인식과 해금정책」,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중관계사』, 『환동해 지역의 비판적 성찰』, 『환동해학의 쟁점과 과제』, 『동해의 재인식과 환동해학의 모색』(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손지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경희대 글로벌 류큐오키나와연구소 소장. 저서로 『전후 오키나와문학을 사유하는 방법』,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편), 『전후 동아시아 여성서사는 어떻게 만날까』(공편), 역서 『오시로 다쓰히로 문학선집』, 『기억의 숲』, 『오키나와와 조선의 틈새에서』, 『오키나와 영화론』, 『슈리의 말』, 『일본 근대소설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돈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