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6035161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12-14
책 소개
목차
안학수소설 1 - 종말이 지나간 세상
안학수소설 2 - 사탄의 무죄
안학수소설 3 - 바람장벽
안학수소설 4 - 조현병자의 아가페
안학수소설 5 - 머구리에서 무거리로
안학수소설 6 - 가오가 더 필요하면
작가의말 | 무거리 예찬
해설 | 이야기로 넘어서기 최시한(작가, 숙명여대 명예교수)
안학수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작품해설>
안학수는 동시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이야기꾼이기도 하다. 장편소설도 『하늘까지 75센티미터』, 『그림자를 벗는 꽃』 두 편을 내었는데, 후자는 3권으로 된 야심작이다. 시인이 말을 줄이고 줄여서 거기 박힌 보석들을 갈아 낸다면, 소설가는 말을 늘이고 늘여서 삶의 줄거리를 형성하고 또 경험을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한다. 줄거리가 있는 것과 없는 것, 안학수는 대조적인 그 두 갈래의 글을 평생 함께 지어온 것이다. 이는 그리 흔한 예가 아니다. (중략)
여기 수록된 작품들을 관통하는 사상은 비리(非理)를 거부하는 비판정신으로 보인다. 작가는 현재 한국의 사회적 질병들, 곧 이른바 ‘빨갱이’를 만들어 내는 정치적 음모, 아집으로 뭉친 패거리주의, 인간성을 뭉개 버린 배금주의, 기독교단의 보수성 등이 얼마나 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가를 ‘이야기’로 풀어 낸다. 여기서 주목되는 점은, 삼인칭 인물 시각적 서술, 즉 서술자가 주로 인물(초점자)의 시선과 생각을 따라가는 삼인칭 서술방식을 취하면서도, 그 인물을 긍정적 인물로만 설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 인물은 서술자, 나아가 작자를 대변하기 쉬우므로 일종의 주권적 입장에 서는 경우가 많은데, 「조현병자의 아가페」, 「죄 없는 사탄」 등에서는 자신의 잘못이 노출되기도 하며 어떻게든 객관적이고자 노력하는 태도를 보인다. (중략)
여기서 작가가 동요 시인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적이 놀라게 된다. 아무리 보아도 동요의 세계와 이 작가의 소설 세계는 거리가 멀어 보이기 때문이다. 소설에도 시적인 것을 추구하는 ‘서정적 소설’이 있는데, 앞에서 보았듯이 그의 작품들은 세계와 대결하는 서사성이 강하다. 무릇 서정성이 자아와 세계의 동화同化를 다룬다면 서사성은 자아와 세계의 갈등을 그린다. 그는 흡사 세상의 진창 속으로 들어가 하늘을 응시하는 듯하다.
이런 생각을 해 본다. 문학에 서정과 서사가 있음은, 인간의 영혼과 삶에 하나가 되려는 것과 갈등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다 존재하기 때문일 터이다. 안학수는 두 가지 모두를 추구한다. 아니, 누구보다 큰 어려움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다운 삶을 가로막는 발 딛고 선 현실의 질곡을 외면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그는 비판 정신이 강한 이야기꾼이자 ‘낙지네 개흙잔치’(동시집 이름)를 노래하는 시인이 되었다. 문학을 넓게 알기에 소설도 방법을 궁리하는 작품들을 쓰면서, 그렇게 이야기로 삶을 만들고 또 넘어서고 있다.
- 최시한(작가, 숙명여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