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조선비교건축사

일본조선비교건축사

스기야마 노부조 (지은이), 서동천 (옮긴이), 한동수 (감수)
세진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40원
1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조선비교건축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조선비교건축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91160451726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17-07-14

책 소개

원문은 1946년 출판된 서적으로, 그 당시에 최초로 한국과 일본의 건축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당시의 시각에서 어떻게 다루었는가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저자의 원본을 최대한 반영하고 건축용어에 대하여 역자의 설명을 함께 실었다.

목차

추천의 글 / 역자서문
일러두기 / 목차 / 서문

『一. 서 론』
1. 비교건축사에 대하여
2. 일본과 조선의 경우

『二. 원 론』
1. 건축양식의 성립조건의 비교
2. 건축구조 형식의 비교
(1) 건축 재료와 가구架構 수법
(2) 건축의 외관
(3) 내부 치장 및 시설에 대하여
3. 건축 의장으로서의 계획성 비교
(1) 구성에 우선하는 계획성의 유무
(2) 처마 기법에서 보이는 계획성
(3) 서까래에 나타난 기법의 계획성
(4) 서까래의 종류와 형태에 대하여
(5) 계획성의 귀결점
4. 양식 변천의 대조

『三. 본 론』
1. 원시 건축의 비교
(1) 일본의 수혈주거와 조선의 토막
(2) 문헌에 의한 조선의 원시건축
(3) 일본의 원시건축
(4) 일본과 조선에서 원시건축의 구조기법
2. 상태上代 건축의 비교
(1) 한식漢式 건축의 이입
(2) 신사神社 건축의 형식
(3) 낙랑고분樂浪古墳
(4)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5) 수혈식 고분
(6) 횡혈식 고분
(7) 고구려의 건축
(8) 사찰건축의 이입
(9) 백제 및 신라의 불교 건축
(10) 호류지法隆寺의 건축
3. 중고中古 건축의 비교
(1) 당식唐式 건축의 이입
(2) 경주의 건축유적지
(3) 불국사의 쌍탑
(4) 야마토大和의 야쿠시지藥師寺
(5) 도다이지東大寺의 조영
(6) 당식唐式 목조건축
(7) 사찰건축과 심산深山
4. 중세 건축의 비교
(1) 국풍國風의 건축
(2) 왕실과 불사
(3) 개성의 사찰유적
(4) 뵤도인平等院 봉황당鳳凰當과 쥬손지中尊寺 금색당金色當
(5) 조선 최고最古의 목조 건축
(6) 무가의 발흥과 몽고의 침략
(7) 텐지쿠요天竺樣 양식
(8) 가라요唐樣 건축
5. 근세 건축의 비교
(1) 근세 건축의 양상
(2) 사찰건축의 절충양식
(3) 성곽건축
(4) 궁실의 조영

『四. 결 론』
1. 이입 형식의 동화
(1) 이입과 동화
(2) 대륙형식의 이입
(3) 헤이안平安 시대의 동화
(4) 무로마치室町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 시대의 동화
*5) 조선 건축에서 보이는 이입과 동화
2. 가람배치의 변천
(1) 다아인지大安寺의 가람배치
(2) 사이다아지西大寺의 가람배치
(3) 인왕문仁王門의 위치
(4) 조선 사찰에서 보는 탑파의 위치
(5) 가람 배치의 변천
3. 평면의 변천
(1) 평면
(2) 상고시대 신사神寺 본전本殿에서 보이는 평면의 변화
(3) 사찰건축으로 보는 평면의 변화
(4) 신덴즈쿠리寢殿造에서 슈덴즈쿠리主殿造로
(5) 조선 건축에서 보이는 평면
4. 지붕 가구架構의 변천
(1) 평면과 지붕 가구架構
(2) 중국 대륙에서 이입된 지붕 가구架構 수법
(3) 노고야野小室 가구架構
(4) 노고야野小室와 근세 일본 건축
(5) 조선건축의 지붕 가구架構
5. 일본 건축의 성격
(1) 발전의 계로
(2) 결론

저자소개

스기야마 노부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 교토(京都) 고등공예학교 도안과를 졸업하였고, 1962년 교토(京都)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토후(京都府) 고사사수리기수(古社寺修理技手), 호류지(法隆寺) 국보보존공사사무소(國寶保存工事事務所) 기수(技手),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기수(技手), 교토(京都) 대학 공학부 조수, 1964년 나라국립문화재연구소(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역사실장, 1966년 동 연구소(硏究所) 헤이죠쿄유적발굴조사부장(平城京遺 跡發掘調査部長)을 역임하고, 1968년에 퇴임하였다. 그 후 1968년~1983년 긴키(近畿) 대학 이공학부 교수, 1976 년~1994년 교토시(京都市) 매장문화재연구소장으로 활동하였다. 헤이안쿄(平安京) 유적의 조사 연구에 있어서 일인자였으며, 저서로는 『조선의 석탑(朝鮮の石塔)』, 『일본조선비교건축사(日本朝鮮比較建築史)』, 『원가건축의 연구(院家建築の硏究)』, 『한국의 중세 건축(韓國の中世建築)』, 『되살아난 헤이안쿄(よみがえった平安京)』, 『발굴된 고대 원지(發堀された古代の苑池)』 등이 있다.
펼치기
서동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도쿄대학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국립중앙박물관 연구원,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근대 동아시아 건축 및 도시사이며, 개항 이후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 속에서 건축과 도시 변화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 『세계유산 수원화성』(공저, 2017), 『メガシティ2: メガシティの進化と多様性』(공저, 2016), 『부여학: 백제, 김수근, (구)부여박물관』(공저, 2015), 『和而不同의 동아시아 건축도시사』(공저, 2015), 『일제강점기 사진으로 보는 익산의 문화유산』(공역, 2017), 『일본조선비교건축사』(역서, 2017) 등이 있고, 주요 연구로는 『Changes in Foreigners' Settlement Space in Seoul, Korea, from 1882 to 1910』(Korea Journal, 2019), 『일제강점기 요시다 하츠사부로 조감도의 성격과 확산 배경에 관한 연구』(동양예술, 2018), 『일제강점기 「고건축물」 보존수리 공사비용 운용시스템 에 관한 연구』(문화재, 2017), 『'반양제'의 의미와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7), 『개항기 서양식 건축의 유입과 건축 표현 용어 변화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한동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통도사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국립대만대학에서 청대 지방 성곽의 영건제도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중국 칭화대학에서 조선 시대와 명청 시대 건축의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중국고대건축사』(공역, 1992), 저서로 『동양미술사』(공저, 2007) 등이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로서 한중일 동아시아 건축의 상호 비교에 관한 강의 및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