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의 제국, 추의 극장 (문학작품으로 살펴보는 1920년대 미와 추)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6054322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10-20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6054322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9-10-20
책 소개
문학작품으로 살펴보는 1920년대 미(美)와 추(醜). '미', '미적 주체', '미의식'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미의식'의 정립과 실현 과정에서 '미' 개념의 확장이 일어났으며, 그러한 변화의 근저에 '추'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 있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Ⅱ. 1920년대 미의식 담론의 의미망
A. 사회 개조론과 미(美)·추(醜)의식
B. 문학장(場)과 미·추 개념의 지형도
Ⅲ. 미.추의 분리와 현실 인식
A. 추 배제의 서사와 관념적 주체
01 절대화된 미와 입법적 주체
02 순수한 추와 병리적 주체
B. 미-선과 추-악의 규범적 결합
01 미-선의 이념적 결합과 추상화
02 추-악의 전통적 결합과 규제화
C. 이념적 미의 정립과 감각적 불쾌의 제거
01 육체미의 발견과 한정적 승인
02 도회미의 실현과 공간적 격리
D. 이상의 추구와 ‘미적 국가’의 영토화
Ⅳ. 미.추의 결합과 현실 재인식
A. 미·추 혼합의 서사와 체현적 주체
01 사회적 추와 폭로적 주체
02 숭고의 발현과 폭력적 주체
B. 추-선-미와 추-악-미의 교차적 결합
01 추-선-미의 전도적 결합과 비극화
02 추-악-미의 모순적 결합과 유미화
C. 혼성적 미의 발현과 감각적 불쾌의 전유
01 골계미의 표출과 동정적 수용
02 퇴폐미의 출현과 심미적 향유
D. 현실의 균열과 ‘국가적 미’의 탈영토화
ⅴ. 결론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