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88994459547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5-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영화, 시대와 함께하다
011 우정권│한국 영화 스토리의 세계화 ― 보편적 인간의 가치 지향
023 류현주│오래된 미래 영화: 다중이의 다중서사
039 박 진│디지털 콘텐츠 시대의 매체적 정체성
2부
다양한 매체의 이야기들이 영화가 되다
■문학에서 영화로
059 황영미│박범신 소설 『은교』의 영화화 연구
085 이은선│매체 변용과 미학적 수사학 ― 「화장」을 중심으로
111 박상익│역동적 탐색담과 보상의 변화 : 이청준 소설 「이어도」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영화를 중심으로
■동화에서 영화로
137 윤성은│동화 각색의 현대적 경향
■만화에서 영화로
155 이영수│만화와 영화가 가진 시너지 효과 : 마블 코믹스와
〈어벤져스〉 시리즈
■게임에서 영화로
173 이정엽│게임과 영화의 트랜스미디어 전환의 역사와 그 문제점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2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는 한국서사학회가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합니다. 학회지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발간하는 대신 주제가 있는 단행본 책을 매년 2회 이상 출판하겠습니다. 영화와 서사, 게임과 서사, 애니메이션과 서사, 심리 치료와 서사, 의료와 서사, 언론과 서사 등등의 주제로 그 분야의 젊고 패기 있으며, 유능한 필자들과 함께 단행본을 발간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로 ‘영화와 서사’라는 주제로 9분의 회원이 모였습니다.
영화가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대중매체가 된 지 오래되었지만 영화 서사에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던 것 같습니다. 스토리와 구별되는 서사(敍事, Narrative)는 영화라는 매체를 관객들이 사랑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서사가 없는 영화, 즉 비주얼 스토리텔링이 서사가 없는 영화라고 하지만, 그것 역시 서사가 있다고 하여야 합니다. 서사란 ‘시간의 경과 속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라고 정의 내린 것처럼 텍스트, 이미지, 무비 등등의 매체에서 시간이 흘러가면서 발생하는 사건이라고 할 때, 영화 서사란 시각과 청각의 감각을 자극하는 매체를 통해 일어나는 서사라고 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영화 서사가 다른 매체와 깊은 상관성을 갖습니다. 문학이라는 텍스트 매체와 그 어떤 매체보다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한 인물이 등장하여 독자가 생각해내는 상상의 공간에서 펼쳐지는 주어진 시간 안에서의 독서 행위는 관객이 극장에서 펼쳐지는 비주얼을 관람하는 행위에서 독자나 관객이 느끼는 미적 향수와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 둘을 서사라는 상위 개념으로 매체를 바라보는 시각은 이 둘의 친연성과 차별성, 그리고 변화성, 상호 침투성 등을 좀 더 살펴보게 합니다.
‘이야기, 트랜스포머가 되다’라는 제목이 붙인 이 책은 한국 영화의 스토리가 세계화로 나아가기 위해 갖춰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비롯하여 다양한 매체, 문학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 만화와 동화에서 영화로의 변화 등등을 각 분야의 전문가 선생님들께서 집필해 주셨습니다.
출판사 사정이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출간해 주신 도서출판 개미 최대순 대표님에게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원고를 모으고 진행을 맡아 주신 이영수 교수님, 그동안 애 많이 쓰셨습니다.
2015년 8월
한국서사학회 회장
우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