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60682649
· 쪽수 : 441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제1장 개항 이후 지역사회의 변동과 의병운동
1. 개항 이후 원주지역의 사회·경제 상황과 농민운동
1) 강원감영(江原監營) 소재지 원주의 사회·경제 양상
2) 1885년 원주농민운동을 통한 저항의식의 표출
2. 1896년 ‘원주의병’의 발생배경과 의병세력의 조직
1) 원주지역의 학문동향과 화서학파
2) 지방제도개혁에 따른 의병세력 형성의 계기
3) 반일적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와 의병참여세력의 역할
3. 1896년 ‘원주의병’의 전개와 운동방략의 등장
1) 원주 안창봉기와 운동 방향의 설정
2) 운동 방향의 재설정에 따른 유인석 연합의병의 출범
3) ‘원주의병’의 연합의병 활동과 운동방략 수립
제2장 1900년대 초 일제의 지역사회 침탈과 의병운동방략
1. 원주지역 침탈양상과 의병지도부의 현실인식
1) 러일전쟁과 한국주차군의 배치
2) 원주지역의 침탈양상
3) 원용팔의 일제침략 상황인식
2. 연합의병의 추진과 운동방략의 구체화
1) 연합의병의 추진과 중앙정치세력과의 연계
2) 상소·서신을 통한 의병지원요청과 효유
3. 원용팔 연합의병의 활동과 1907년 의병전쟁의 기반조성
1) 의병운동세력의 재결집과 거점지역의 확보
2) 의병운동의 좌절과 원용팔 의병장 구명운동
3) 원주진위대의 반일진회 활동
제3장 1907년 의병전쟁의 운동방략과 민족운동의 확대
1. 의병운동세력의 확대와 의병전술 변화
1) 광무황제의 강제퇴위와 원주지역 저항운동
2) 원주진위대의 봉기와 참여세력의 확대
3) 의병무기체제의 변화와 유격전술의 일반화
2. 의병전쟁의 전개과정과 운동방략의 구현
1) 의병전쟁의 초기양상과 일본군의 배치
2) 관동창의대의 출범과 운동방략
3) 서울진공작전의 계획과 추진
3. 의병전쟁의 쇠퇴와 항일민족운동의 전개
1) 선유사의 선유활동
2) 일본군의 탄압양상과 헌병대의 배치
3) 독립군 전환과 원주지역 민족운동
4. 일제시기 근대도시 형성 과정과 민족운동의 영향
1) 일제시기 도시화 과정
2) 해방 후 도시형성 과정
결론
|부록 1| 한말 ‘원주의병’ 연표
|부록 2| 원주 각 면별 주요사건·단체 참여자 명단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