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60682939
· 쪽수 : 533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 론
1. 연구 방법과 목적
2. 논문 구성과 자료
제1장 대한제국·1910년대 민족운동
1. 성장과 계몽운동의 영향
1) 가계와 학력 그리고 성장
2) 계몽운동의 영향
2.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1) 달성친목회 재건과 그 활동
2) 태궁상점太弓商店 운영과 독립운동 자금
3) 3·1운동 시기 독립운동
4)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사건의 진상
제2장 1920년대 이후 문화운동과 경제활동 그리고 합법운동론
1. 문화운동론과 자치운동
1) 문화운동의 논리
2) 문화운동과 자치운동
2. 조선 상공업진흥론과 기업 활동
1) 1920년대 전반기 ‘민족경제’ 옹호 활동의 전개와 논리
2) 1920년대 후반기 경제자립운동의 전개와 논리
3) 대구 미곡 시장과 기업 활동
3. 민족운동에 대한 이해와 합법운동론
1) 민족운동에 대한 이해
2) 합법운동론의 논리
4. 전시동원체제기 서상일의 동향
제3장 해방 후 국가건설 활동과 내각책임제 개헌 추진
1. 한국민주당 활동과 국가건설 활동
1) 해방 직후 한국민주당 활동과 대구지역 정치 활동
2) 반탁운동과 한국민주당 대구지부 결성과 활동
3) 남조선과도입법의원 활동
2. 제헌국회의원 활동과 내각책임제 개헌 추진
1) 제헌국회의원 활동
2) 민주국민당 활동과 내각책임제 개헌 추진
제4장 1950∼60년대 민주대동운동과 민주사회주의론
1. 민주대동운동의 전개와 논리
1) 이승만 반대운동과 민주국민당 확대 강화 활동
2) 민주대동 신당 운동론의 전개와 논리
2. 혁신정당운동의 전개
1) 진보당(가칭) 창당 활동
2) 민주혁신당 창당과 정치 활동
3. 민주사회주의론의 논리와 성격
1) 자유당·민주당에 대한 인식
2) 민주사회주의론
3) 경제정책
4) 평화통일론
4. 4월혁명 이후 혁신정당운동의 전개와 논리
1) 사회대중당 창당과 7·29총선거
2) 통일사회당의 결성과 그 활동
결론
서상일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