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3.1운동과 한국의 상황

3.1운동과 한국의 상황

정한경 (Henry Chung) (지은이), 김지영 (옮긴이), 반병율 (감수)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5,000원 -0% 0원
0원
65,000원 >
58,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5,850원
52,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3.1운동과 한국의 상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3.1운동과 한국의 상황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3394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정한경의 <The Case of Korea> 한국어 번역이다. 정한경(헨리 정)은 일제의 1905년 을사늑약부터 시작하여 일제의 병탄, 이후 3.1운동과 이에 대한 일본의 야만적인 탄압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영어로 이 책을 썼다.

목차

간행사
역자서문

추천사
서문
제1장 서 론
가. 영토와 국민
나. 역사와 문명
다. “문호 개방”
제2장 한국과 일본의 외교 관계
제3장 정치적·법적 탄압
제4장 공식적 “태형(笞刑)”
제5장 감옥과 고문
제6장 경제적 수탈
제7장 지적 탄압
제8장 사회악 조장
제9장 교회 박해
제10장 선교사 모욕
제11장 독립운동
제12장 독립운동(계속)
제13장 미쳐 날뛰는 일본
제14장 대량 학살
제15장 “공식 발표”
제16장 일본이 주장하는 개혁
제17장 한국인과 일본인의 특성 비교
제18장 결론

부록
1. 미우라 고로(三浦梧楼) 자작 재판
2. (a) 미국과 한국의 조약(조미수호통상조약)
(b) 다른 나라들과의 조약 목록
(c) 일본의 한국 독립 보장
3. 한국과 일본 사이의 대차대조표(1905년 11월 17일~1917년 12월 31일)
4. 일본의 통치 기간 중 한국의 국가 부채 증가액
5. 일본의 통치 기간 중 거둔 초과 세금
6. ‌김윤식(金允植) 자작과 이용직(李容稙) 자작이 조선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장군에게 보낸 청원서(1919년 3월 27일)
7. 잔학 행위 통계와 목격자들이 보고한 특별 사건에 대한 기록

원문영인

저자소개

정한경 (Henry Chung)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90-1985 평안남도 순천에서 태어난 정한경은 상동청년회에서 세운 순천사립시무학교에서 신학문을 배우고, 그곳에서 만난 독립운동가 박용만과 박용만의 삼촌 박장현의 영향을 받아 1904년 어린 나이에 미국으로 떠났다. L.A.에 잠시 거주하던 그는 1906년 박용만이 정착한 네브래스카로 이동해 미국인 가정에서 집안일을 돕고 숙식을 제공받으며 학업을 이어갔다. 어린 나이에도 조국의 독립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그는 박용만이 세운 한인소년병학교에 입학해 유한양행의 설립자 유일한 등과 함께 훈련을 받으며 한국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의지를 키워나갔다. 정한경은 네브래스카주립대학에서 정치학 학사와 석사를 받고, 워싱턴D.C.로 건너가 아메리칸대학에서 정치외교학으로 192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19년 4월, 이승만, 서재필과 함께 미주에서의 3·1운동이라 불리는 1차 대한인총대표회의를 주도했으며 이후, 광복 전까지 워싱턴에 머물며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으로 외교 선전활동을 전개했다. 특별히 영어에 능통했던 정한경은 일본의 억압적인 통치와 한국의 3·1운동을 <뉴욕타임즈> 등의 주요 언론매체에 기고해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서구세계에 호소했다. 이로서 당시 일본의 왕성한 선전활동으로 일본의 식민지배에 우호적이었던 미국 여론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또한, The Orient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Korean Treaties, The Case of Korea 등의 책을 집필하면서 일제하 한국의 실정을 해외에 알리고자 노력했다. 1962년 한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지원의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펼치기
김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에서 문학사, 대학원 러시아-동유럽학과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정치사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한국인 최초로 헝가리 부다페스트대학교(ELTE) 근현대 헝가리 역사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1999년 10월에 ‘2차 세계대전 기간 및 이후 강대국들의 트란실바니아 정책’이라는 논문으로 최우등(Summa Cum Laude)의 성적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 논문은 2001년 헝가리 고등교육 및 연구재단에 의해 우수 박사학위 논문으로 선정되어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1999년 가을 귀국하여 한국외대, 서강대, 고려대 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학예사로 근무하였다. 2018년 가을학기부터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교수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2021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에서 북한과 헝가리의 외교관계를 주제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 ‘헝가리 전통문화연구’, ‘중유럽 민족문제’, ‘인물로 보는 유럽통합사’, ‘모순의 제국’ 등 20여 권의 저서와 번역서, 40여 편의 논문을 냈다. 헝가리-오스트리아 제국의 역사, 헝가리 현대사, 합스부르크 제국의 문화사, 북한 현대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반병율 (감수)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