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980년 사북 : 항쟁과 일상의 사회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4711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4-19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4711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1-04-19
책 소개
사북항쟁 연구총서 1권. 사북항쟁의 역사적 규명과 기념의 민주화를 위한 자료서. 탄광촌의 전성기와 쇠퇴기를 함께 조망할 수 있으며, 이는 사북항쟁을 전후한 당시뿐만 아니라 현재의 사북 지역까지 시야에 넣고 항쟁의 의미를 생각할 수 있게 한다.
목차
축사
책머리에
1부 사북항쟁의 배경과 주체, 지역과 기억
김아람|1960~70년대 석탄산업 정책과 동원탄좌
문민기|탄광의 ‘죽음’들과 사북항쟁의 발발
장용경|1980년 4월의 사북, 광부들의 폭력과 폭력 앞의 광부들
장미현|사북항쟁의 여성들: 사라진 억센 여자들과 말하는 여성들
김세림|사북항쟁 이후의 사북: ‘복지’라는 외피를 쓴 일상적 감시
김세림|사북의 기억: 구술이 역사학에 주는 가능성
2부 사북항쟁 40주년의 기념과 계승
<사북, 역사를 열다> 사북항쟁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회사
축 사
한국의 민주화와 사북항쟁 40주년
사북항쟁과 노동, 정치, 사회
1. 사북과의 관계
2. 1960∼1970년대 탄광 산업과 광산노조
3. 사북에서 항쟁이 발생한 배경
4. 국가 폭력의 은폐와 저항 폭력의 부각
5. 군(軍)의 진압 계획과 광부의 분노
6. 여성의 항쟁 참여, 폭력과 기억
7.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와 사북항쟁 명명 문제
8. 앞으로의 과제와 사북항쟁 40주년의 의미
폐회사
<사북 역사를 잇다> 사북항쟁 폭력의 역사적 이해 및 사북항쟁 계승
1. 기조 발제 - 사북항쟁 기념의 민주화를 위하여
2. 사북항쟁의 혼성성
3. 사북항쟁의 폭력과 그 맥락
4. 사북항쟁 폭력 성찰의 주체와 국가
5. 사북항쟁 기념사업의 방향-국가적 기념 vs. 광부 주체의 행위성
6. 앞으로의 과제 - 연구의 심화와 주체들의 연대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