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마을을 기록합니다 (지역 아카이브 이론에서 사례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068661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2-3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068661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지역 아카이브는 지역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이다.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 이야기의 소재와 주제가 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 및 역사문화자원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것을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보관하며, 시민들이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끔 하는 장치이다.
목차
발간사
추천사
책머리에
1부 지역기록물과 지역 아카이브
1장 지역기록물의 이해_김명옥
들어가며 /공공기록물과 민간기록물 /민간기록물과 지역기록물 /지역기록물 관리의 이론과 사례 /지역기록물 관리의 중요성 /맺으며
2장 지역사와 지역 아카이브_한정은
지역 아카이브 시대 /지역사 이해 /기록과 지역 아카이브 /지역 아카이브 구축 /지역 아카이브 활성화 과제
2부 지역문화가 살아있는 지역 아카이브
3장 문화도시 청주, 지역기록물이 지역문화가 되다_이경란
들어가며 /기록문화 도시, 청주 /기록문화 시민, 청주 /나가며
4장 시민기록자의 탄생, 이천문화아카이브_이동준
들어가며 /지역문화 뿌리내리기 /지역인문학: 지역을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 /지역 아카이브: 우리 힘으로 우리 지역 기록하기 /지역 아카이브의 새로운 영역들 /지역학: 지역에 대한 통합적 연구 /나가며
5장 내가 만난 기억, 내가 엮은 마을 이야기_배은희
기억을 수집하는 일 /구술사 사업의 전성기 /기억수집가의 구술기록 수집 이야기 /책자로 만들 때 고려할 점 /앞으로의 마을 구술사 사업
6장 성북학 더하기 아카이빙, 성북마을아카이브_강성봉
지역학과 지방문화원, 그리고 마을 아카이브 /지역학 조사·방법론 /성북학의 구현과 실제 /성북마을아카이브 /지역학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