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점일지

몽점일지

진사원 (지은이), 김재두 (옮긴이)
다산글방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25,2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몽점일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점일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60782905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1562년에 중국 명나라 사람인 진사원이 저술한 꿈에 관한 이론과 실용을 겸한 해몽에 관한 책으로서, 제목 《몽점일지》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꿈을 점칠 수 있는 뛰어난 가르침이다.

목차

머리말

번역의 연기(緣起)
개요(槪要)
범례(凡例)
자서(自序)

내편(內篇)


[券之一內篇]
1. 진재편 眞宰篇第一
2. 장류편 長柳篇第二
3. 주야편 晝夜篇第三
4. 중점편 衆占篇第四
5. 종공편 宗空篇第五

[券之二內篇]
6. 성인편 聖人篇第六
7. 육몽편 六夢篇第七
8. 고법편 古法篇第八
9. 길사편 吉事篇第九
10. 감변편 感變篇第十

외편(外篇)


[券之三外篇]
1. 천자편 天者篇第一
2. 일월편 日月篇第二
3. 뇌우편 雷雨篇第三

[券之四外篇]
4. 산천편 山川篇第四
5. 형모편 形貌篇第五
6. 식의편 食衣篇第六

[券之五外篇]
7. 기물편 器物篇第七
8. 재화편 財貨篇第八
9. 필묵편 筆墨篇第九
10. 자획편 字畵篇第十

[券之六外篇]
11. 과갑편 科甲篇第十一
12. 신괴편 神怪篇第十二
13. 수명편 壽命篇第十三

[券之七外篇]
14. 봉조편 鳳鳥篇第十四
15. 수군편 獸群篇第十五
16. 용사편 龍蛇篇第十六

[券之八外篇]
17. 구어편 龜魚篇第十七
18. 초목편 草木篇第十八
19. 시보편 施報篇第十九
20. 범유편 泛喩篇第二十

응용편(應用篇)

색인(索引)
참고문헌
후기

저자소개

진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명나라 때 인물인 진사원은 응성(應城:지금의 湖北省 夏口縣의 서북지역) 사람으로 자(字)는 심숙(心叔)이다. 가정(嘉靖:明의 世宗의 年號로 1522~1566)년간에 진사(進士)가 되었고 관직은 난주지주(灤州知州)까지 이르렀다. 저서는 《몽점일지(夢占逸旨)》, 《몽림원해(夢林元解)》, 《역상구해(易象句解)》, 《오경이문(五經異文)》, 《맹자잡기(孟子雜記)》, 《황사(荒史)》, 《고속자략(古俗字略)》, 《명의(名疑)》, 《성회(姓匯)》, 《성휴(姓觿)》 등이 있다.
펼치기
진사원의 다른 책 >
김재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군산 출생. 한의사. 김재두한의원 원장. 동국대 불교대학원 불교학과(석사) 졸업. 중국 흑룡강중의대학원(석사) 졸업. 중국 흑룡강중의대학원 명예석좌교수. 전)상지대 한의과대학및 대학원외래교수 7년 전) 세명대 한의과대학 겸임교수 7년 전) 수원 한의사회관 기공헉 강의 6년 현) 유튜뷰 삼원양생학 강의 20분 10회 ■ 역서 《한산자시집(寒山子詩集)》(경서원, 2005) 《삼원연수서(三元延壽書)》(한국학술정보, 2011) 《양성연명록(養性延命錄)》(학고방, 2013) 《수당지(隋唐志) 전5권》(학고방, 2011) 《오대지(五代志) 전2권》(학고방, 2011) 등
펼치기

책속에서

왜 꿈을 참이 아니라고 하는가?

꿈이란 본시 혼(魂)이 순행(巡行)하는 것이니, 밖의 가상(假像)에서 유래하지 않는다. 꿈의 단서를 헤아리고, 그 은밀함을 탐구한다면, 얻은 영고득실(榮枯得失)의 점괘 내용이 어찌 모든 사실과 어긋날 수 있으랴?(乃若夢本魂涉, 非由外假. 度其端倪, 探其隱賾, 則榮枯得喪, 烏得而違諸.)

꿈이란 정신의 노님이며, 미래를 알 수 있는 거울이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사람의 정신과 천지의 음양은 그 흐름이 서로 통한다. 그러므로 낮에 한 일이 밤에 꿈이 되어서 그 선(善), 악(惡), 길(吉), 흉(凶)이 각기 종류별로 나타나는 것이다.(朱子曰, 人之精神, 與天地陰陽流通. 故晝之所爲, 夜之所夢, 其善惡吉凶, 各以類至.)

장자(莊子)가 말하기를, 꿈이란 천지의 일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이기도 하다.(莊子曰, 夢者, 天地之鑑也, 萬物之鏡也.)

본서는 제목 《몽점일지(夢占逸旨)》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꿈을 점칠 수 있는 뛰어난 가르침이라고 단정 짓고 싶다.
본서는 중국 명(明)나라 세종(世宗) 때인 1562년에 진사원(陳士元)이 저술한 꿈에 관한 이론과 실용을 겸한 몽서(夢書)이다.
저자 진사원(陳士元)은 응성(應城:지금의 湖北省 夏口縣의 서북지역) 사람으로 자(字)는 심숙(心叔)이다. 가정(嘉靖:明의 世宗의 年號로 1522~1566)년간에 진사(進士)가 되었고 관직은 난주지주(灤州知州)까지 이르렀다. 저서는 《몽점일지(夢占逸旨)》, 《몽림원해(夢林元解)》, 《역상구해(易象句解)》, 《오경이문(五經異文)》, 《맹자잡기(孟子雜記)》, 《황사(荒史)》, 《고속자략(古俗字略)》, 《명의(名疑)》, 《성회(姓匯)》, 《성휴(姓觿)》 등이 있다.
진사원은 자신이 꾼 영몽(靈夢)에서 얻은 깨달음을 몽학이론(夢學理論)의 근간으로 삼아 이에 동기를 부여하여 내편(內篇)10편과 외편(外篇) 20편을 편찬(編纂)하였다.
본서의 몽례(夢例)는 총 773건으로 사례 669건과 의학적인 설명을 위한 104건으로 대별(大別)되어 있다.
몽자(夢者)의 수는 635명으로 소설 속의 인물 6명 중 가공인(架空人)으로 추정되는 3명을 빼면 632명이 실존인물이다. 이 중 제왕(帝王)이 90명, 문인(文人) 26명, 승도(僧道) 7명, 여인 92명인데, 이 중 황후나 비빈이 75명이고 태몽이 85건이다. 평민은 남녀 15명이고 기타는 모두 역대의 관리들이다. 주목할 사실은 평민이 15명에 불과하다는 점인데, 이는 저자가 문헌적으로 고증할 수 있는 인물 위주로 인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서에서 인용한 서적은 311종이고 인용례는 783건이며 인용한 시(詩)는 29수(首)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0782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