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9116087051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9-10-1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들어가는 말
제1장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
민주주의의 적인가?
두 가지 정의
‘엘리트와 국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포퓰리즘에 있어서 ‘국민’
엘리트 비판과 카리스마적인 지도자
포퓰리즘은 민주적인가?
근대 민주주의의 두 가지 원리
급진적 민주주의와 공통점
민주주의에 대한 기여와 위협
활성화인가 혹은 위협인가?
네 가지 대처법
이 책의 무대: 중남미와 유럽
제2장 해방의 논리: 북미와 남미에서 탄생과 발전
미국 대륙이라는 기원
미국의 국민당
한계와 역사적 의의
왜 중남미를 휩쓸었는가?
올리가키의 지배
다섯 가지 특징
‘매우 풍요로운 국가’ 아르헨티나
페론과 노동자의 연대
페론주의의 ‘창조신화’
개혁의 공과
에비타와 에바 페론 재단
소비사회의 창출
페론의 퇴장
중남미에 남은 토양
제3장 억압의 논리: 유럽 극우정당의 변모
왜 선진국에서 확산되고 있는가?
기성정당의 ‘야합’ 비판
‘조직의 시대’의 종언과 무당파층의 증대
엘리트와 대중의 단절
글로벌화와 ‘근대화의 패자’
매스컴의 활용
직접 민주주의의 활용
복지배외주의
극우 기원 정당의 변용
프랑스의 국민전선
약진의 이유
오스트리아의 자유당
하이더 후에도 계속되는 순풍
벨기에 포퓰리즘 정당 VB
언어 문제와 블렌데렌 민족주의
VB의 결성과 당의 개혁
지지기반의 개척
반이슬람의 주장
기득권 비판
‘방역선’
블렌데렌 문화란?
문화 엘리트 비판
분라쿠(文樂) 비판과 공통점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과 공헌
개혁과 배제 사이에서
제4장 리버럴 보호를 위해 ‘반이슬람’: 환경?복지 선진국의 갈등
테러의 연속과 이슬람 비판
왜? ‘모델 국가’에서
덴마크의 진보당
덴마크 국민당의 신장과 이민정책
네덜란드의 관용적인 이민정책
‘계몽주의적 배외주의’
핌 포르퇴인의 충격
헤이르트 빌더르스의 등장
유럽 헌법조약을 국민투표에서 부결
‘자유의 옹호자’로서
의원들의 특징
‘1인 정당’이라는 독자 모델
‘리버럴 지하드’
제5장 국민투표의 패러독스: 스위스는 이상 국가인가?
‘지렛대’로서의 국민투표
‘흰 양’과 ‘검은 양’
‘이상 국가’ 스위스
세 종류의 국민투표
국민투표에 의한 위협
스위스 정치의 동요와 국민당
AUNS라는 원동력
블로허에 의한 우경화
미나렛 건설 금지
‘반이민’ 안의 가결
국민투표의 패러독스
국민투표의 ‘보수적’ 기능
흰 양들의 민주주의
제6장 영국의 EU 탈퇴: ‘내버려진’ 사람들의 역전극
영국독립당의 비원 달성
유럽 의회선거를 발판으로
나이절 패라지에 의한 지지층 확대
‘절도 있는 선택지’로서
정치의 뒤안길로
‘내버려진’ 사람들
독립당은 어떻게 지지를 얻었는가?
‘차브(chav)들’
EU 탈퇴를 둘러싼 국민투표
충격적인 결말
문화를 둘러싼 싸움
제7장 글로벌화하는 포퓰리즘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트럼프 선풍
‘열세’로부터 승리로
러스트 벨트
대서양의 양안에서
일본에서 ‘유신’의 약진
하시모토와 포르퇴인
‘이번엔 다를 것이다’: 2014년 유럽연합 의회선거
선거제도와 포퓰리즘 정당
국민전선의 현대화
독일을 위한 선택지
반이민으로 기움(경사)
귀찮은 ‘선택지’로서
21세기의 중남미
‘특권층’이란 누구인가?
지배 문화에 대한 대항
발코니와 텔레비전, 인터넷
리버럴 민주주의가 안고 있는 모순
포퓰리즘의 지속성
‘개혁 경쟁’이라는 효과
사회의 ‘재활성화’
정말로 안전판인가?
디너파티의 술 취한 손님
맺음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