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04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3-16
책 소개
목차
인사말
발간사
약어
서론
1장 하나님의 은혜, 창조, 인간의 타락
- 구원의 전 과정에 함께하는 하나님 은혜
- 인간의 타락
- 원죄
- 선행은총
2장 죄를 깨닫게 하는 은혜와 초기의 회개
- 죄를 깨닫게 하는 은혜
- 회개 및 그에 합당한 행위
- 회개 및 그에 합당한 행위의 필요
- 회개, 행위, 신앙의 구분
3장 은혜에 의해 믿음으로 얻는 칭의
- 율법적 상태: 칭의를 위한 준비
- 신앙
- 속죄
- 칭의
4장 은혜에 의해 믿음으로 얻는 중생
- 하나님의 능력으로서 은혜
- 그리스도인의 삶의 토대
- 반드시 있어야 할 변화
- 중생은 단계가 있는가
- 광범위한 변화
- 결정적 변화
- 자유를 가져오는 변화
- 세례와 신생
5장 그리스도인의 확신
- 교리적 고찰
- 역사적 고찰
- 부연: 웨슬리 구원론의 핵심 주제, “참된 기독교”
6장 은혜에 의해 믿음으로 얻는 성결
- 은혜
- 회개
- 신앙
- 완전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
- 확신
- 부연: 구원의 길에 정해진 순서가 있는가
7장 최종적 칭의
- 현세적 삶만 중시하는 태도의 위험성
- 죽음
- 심판
- 최종적 칭의
결론 교회 일치를 위한 구원론?
색인
책속에서
모든 웨슬리 해석자에게 진정한 도전은 웨슬리의 “전체”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전체”를 본다는 것은 마치 연대기 자체가 웨슬리 해석의 비결인 양 그의 생애 전체를 다루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연대기적 관심도 중요하지만, 그 관심은 웨슬리 사상의 특징인 깊이와 정교함에 대한 세밀한 관심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는 웨슬리의 구원의 교리와 씨름하는 사람은 그의 생애 중 어떤 부분을 다루든, 특히 그 시점에서의 웨슬리 사상의 미묘한 의미를 구분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웨슬리에 대한 가장 잘못된 이해는, 어떤 이유에서든 18세기의 인물을 그 자신이 한 말과 뜻에 따라 이해하려 하지 않는 데서 발생한다. 따라서 나는 웨슬리를 그 자신의 용어 안에서, 그의 신학이 가진 다양한 뉘앙스 속에서, 그의 신학적 종합에 내재된 긴장을 보존하는 가운데, 그의 모든 실패와 한계까지도 숨기지 않고 밝히 드러냄으로써 웨슬리를 있는 모습 그대로 제시하고자 한다.
_“서론” 중에서
웨슬리가 가르친 다양한 교리를 하나로 묶어줄 뿐 아니라 그 배후에서 모든 교리의 원천과 맥락을 제공해주는 웨슬리 신학의 핵심 주제는 하나님의 은혜의 교리다. 인간 창조에서부터 성도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양심을 선물로 주신 데서부터 성령의 친절한 인도하심에 이르기까지, 죄를 깨닫는 데서부터 사람의 마음에 하나님과 이웃을 향한 사랑이 회복되기까지 모든 것 위에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 웨슬리의 구원 신학에서는 인간의 타락을 생각하든, 구원 과정의 어떤 단계를 다루든 하나님의 은혜가 핵심 주제가 되지 않는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웨슬리 신학 이해에서 이 지극히 중요한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간단히 말해, 웨슬리 신학에서 울려 퍼지는 첫 화음이자 이책의 주제는 하나님의 은혜다
_1장, “하나님의 은혜, 창조, 인간의 타락” 중에서
이렇게 개신교와 가톨릭의 통찰을 모두 활용해 용서와 갱신이라는 양면적 강조점을 가진 것이 웨슬리의 구원론의 가장 두드러지는 신학적 지문(fingerprints)이다. 이 특징은 그의 은총 이해뿐 아니라 신앙 이해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웨슬리가 중생이나 신생의 주제에서 은혜와 신앙을 설명하는 방식은 칭의에서 그 요소들을 설명하는 방식과 조금 다르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웨슬리의 정교한 구원 교리를 바르게 해석해내려면 이러한 차이에 주의함으로써 그것이 가진 중요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_4장, “은혜에 의해 믿음으로 얻는 중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