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96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1-03-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서론
1부 기본적인 해석 원리들
1장 하나님
2장 하나님의 활동의 해석적 함의
3장 성경의 지위
4장 과학적 주장과의 상호작용
5장 창세기 1장 해석에 영향을 주는 현대의 세 가지 신화
6장 창세기의 장르
7장 해석학적 원리들에 대한 요약
2부 해석학적 관계들
8장 창세기 1장에 나타난 섭리와의 상관관계
9장 윗물(창 1:6-8)
10장 창세기 2-3장에서 섭리와의 상관관계
3부 보다 더 큰 전체로서 창세기 1-3장 해석하기
11장 창세기 1장에서의 시간
12장 창세기 1장에 관한 현대적 관점의 의미
13장 태도와 기대
14장 창세기 1장의 날들
15장 사실성과 문자주의
결론
부록 A 창세기 1:1은 최초의 사건이지 요약이 아니다
부록 B 적응의 의미
부록 C 창세기 1:6-8과 1:5에 관한 칼뱅의 해석에 대한 오해
부록 D 고대의 본문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참고문헌
성경 색인
책속에서
현대 과학의 많은 부분은 유익한 동시에 오류가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분의 통치의 규칙성에 의존하기에 유익하다. 그것은 진리에 가까운 법칙이라는 개념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법칙은 비인격적이라는 개념에 들어 있는 종교적 부패 때문에 오류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을 순진하게 믿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과학이 일반 은총 덕분에 행하는 긍정적인 기여에 감사해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그것이 종종 종교적 부패를 슬그머니 불러들이는 방식을 간파해야 한다. 창세기 1-3장에 대한 이해는 우리 시대에 창세기 1-3장을 현대 과학과 연결하려는 수많은 시도와 함께 이루어진다. 대화하는 것에 잘못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대화의 초기부터 어떤 이들은 과학이 “옳다”고 가정한다. 그들은 과학으로부터 통찰을 얻는 정도가 아니라 과학이 언제나 그리고 모든 면에서 정답을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과학적 노력이 “종교적으로 중립적”이라는, 즉 거기에는 아무런 편향이나 타락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억측도 있다.
_1부 2장 하나님의 활동의 해석학적 함의 중에서
성경에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은 주변의 의사소통의 사례들이나 주변의 문화들과 다른 무언가를 의미할 수 없다. 인간 화자조차 새로운 개념을 가질 수 있고 새로운 생각을 말할 수 있다. 결국 그들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자들이다. 하나님이 인간과의 담화에서 앞서 말해졌던 것들의 경계를 넘어서는 것들을 얼마나 많이 말씀하실 수 있겠는가?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이 주변의 상황과 부합하는 방식으로 말씀하시는 것을, 또한 그분이 말씀하고 싶어 하시는 것을 주변 상황과 구별되는 방식으로 말씀하시도록 허락해야 한다.
_1부 3장 성경의 지위 중에서
대체로 창세기 1:1-2:3의 내러티브는 우리가 그것을 창조와 섭리 사이의 유비에 주목하면서 읽을 때 잘 이해된다. 모든 것은 평범한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하다. 하나님이 이렇게 단순하게 설명하신 까닭은 원래의 역사적 상황 밖에 있는 모든 문화와 모든 시대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창조 행위의 기본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끔 하시기 위함이었다. 우리는 성경의 다른 구절들을 통해 하나님이 보이는 것들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들도 창조하셨음을 알고 있다(요 1:3; 골 1:16). 그러나 창세기 1장은 단순함을 위해 보이는 세계에 초점을 맞춘다. 현대 과학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추론이나 “이론화”의 징후는 존재하지 않는다. 창세기 1장은 원칙적으로 과학의 관습에 대해 적대적이지 않으나 또한 그 어떤 형태의 기술 과학을 제시하지도 않는다.
_2부 8장 창세기 1장에 나타난 섭리와의 상관관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