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984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목차
번역본에 관한 정보
제1부: 플라톤의 기독교 이전의 비전
1장 소크라테스, 소피스트, 프리소크라테스들
2장 『국가』
3장 신화: 1부
4장 신화: 2부
5장 『법률』
6장 『티마이오스』
제2부: 플라톤의 기독교 유산
7장 상승의 길
8장 오리게네스의 사색
9장 동방의 플라톤: 세 명의 그레고리오스
10장 서방의 플라톤: 아우구스티누스, 보에티우스, 단테
11장 르네상스에서 낭만주의까지: 에라스무스, 데카르트, 콜리지
12장 C. S. 루이스의 기독교 플라톤주의
결론: 하위 창조자 플라톤
서지적 에세이
책속에서
따라서 제2권과 제3권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목소리로 우리가 우리의 수호자(그리고 철학자, 교사, 정치가)가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 감수성이 풍부한 청소년기에 신들을 옹졸하고, 변덕스러우며, 교만하고, 불의하며, 정욕으로 가득 찬 존재로 묘사하는 『일리아스』나 『오디세이아』 같은 시를 읽게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우리는 사후세계를 정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처벌이 없는 전반적으로 우울하고 비참한 곳으로 그리는 저승에 대한 묘사(예. 오디세이아 11장)를 그들이 읽게 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도 “악인은 주로 행복하고, 선한 사람은 비참하며, 불의는 들키지만 않으면 유익하지만, 정의는 남에게만 좋을 뿐 자신에게는 손해가 된다고 가르치는 문학 작품은 읽지 못하게 해야 하네. 우리는 그들이 이런 말을 하지 못하도록 금하고, 이에 반대되는 것을 노래하고 말하도록 명해야 한다네”(392b).
_2장 국가
플라톤을 읽는다는 것은 적어도 볼 수 있는 눈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눈부신 가능성으로 가득한 마법의 땅, 상상의 세계로 뛰어드는 것과 같다. 플라톤은 그의 국가에서 시인들을 추방했지만, 본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자기 역시 모든 시인 중 가장 위대한 시인이었다. 그는 이성과 논리와 변증법이 실패하자 신화의 깃털과 비유의 밀랍으로 날개를 만들어 다이달로스와 이카로스처럼 선과 진리와 아름다움을 향해 날아올랐다.
지금까지 우리는 플라톤이 사후세계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신화를 사용했음을 살펴보았다. 그는 신화 자체를 목적으로 삼거나 헛된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진리를 추구하고 미덕을 구현하기 위한 원동력으로 신화를 사용했다. 그러나 내세에 대한 플라톤의 관심은 신의 심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그는 더 큰 영적 여정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거기서 삶과 죽음과 환생은 그 영적 여정의 드라마가 펼쳐지는 무대에 불과했다. 『파이드로스』의 중심 신화(245c-257b)에서 플라톤은 환생과 영혼의 선재성에 대한 명상을 위를 향한 상승 여정에 대한 영감 어린 촉구와 결합한다. 그리고 플라톤은 이 작업을 삼단논법을 통해 전개하지 않고, 우리가 사랑에 빠져 사랑하는 사람의 눈을 깊이 응시할 때 왜 온몸이 떨리고 피부가 닭살로 변하는지에 대한 작용인(efficient cause)이 아닌 목적인(final cause)을 드러내는 놀랍도록 아름다운 신화를 통해 그렇게 한다.
_4장 신화: 2부
여기서 플라톤은 무신론(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과 이신론(신이 존재하더라도 그가 창조한 세계의 일상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동일시한다. 시내산 정상에서 모세에게 율법을 전달한 하나님(출 20:1-17; 신 5:1- 21), 즉 플라톤이 찾아 헤매는 바로 그 신은 이신론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부재지주(不在地主)가 아니라 역사적 시간과 물리적 공간에 참여하고 심지어 침입하는 능동적이고 역동적이며 인격적인 신이다. 플라톤에게 이러한 신의 존재는 철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영역에서도 매우 실용적이다. “어떤 식으로든 신들이 존재하고, 그들이 선하며, 인간보다 정의를 더 중시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결코 작은 일이 아닙니다. 이를 증명하는 것은 우리의 모든 법 중 가장 훌륭하고 고귀한 서곡이 될 것입니다”(887b). 플라톤이 시민의 법률 준수와 신에 대한존경 사이의 실용적인 연관성을 신약성경의 잘 알려진 구절을 예시하는 신에 대한 보다 신학적으로 풍부한 정의와 얼마나 미묘하게 엮어내고 있는지 주목하라.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 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히 11:6).
_5장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