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172871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 모든 경계에는 개나리가 핀다
제1부 사람
1. 금치몽자禁治夢者 18세
2. 온라인 공간, 스승의 그림자를 찾아서
3. 민주주의의 정원, 누가 잘 가꾸나?
4. 교육은 차갑지만 학교는 따듯하게
5. 수능 마친 그대, “공부하자, 사람 사랑하는 공부하자”
6. 교사는 성과급으로 인정받는가?
7. ‘전면 등교’, 정작 학생은 어디에 있나요?
8. 각자도생의 시대, 관계의 교육학
9. 시간을 파는 교장
10. 교육을 설명하는 자, 사랑하는 자
11. 경계선의 학교장, 꽃피울 수 있을까?
12. 넌 학생이고 난 선생이야?
제2부 장소
13. 환대의 교실, 그립다
14. 해체의 눈으로 본 온라인 수업
15. 추억을 담은 교실
16. 자유롭고 싶다!
17. 그 많던 공감은 어디로 갔을까?
18. 회복탄력성 리바이벌
19. 온라인 개학의 추억
20. 교육에 대한 예의
21. 진보와 보수, 학교에는 없다
22. 피노키오에게 학교란?
23. ‘남한산성’으로 간 교육
24. 학교가 뭐하는 뎁니까?
제3부 교육
25. 대입 공정성 논의, 교육적 관점은 어디로?
26. 대입 공정성, 새로운 담론을 향하여
27. “이 도끼가 네 도끼냐?”
28. 교육부와 코로나19, 대책은 있어도 정책은 없었다
29. 맞춤형 교육에서 주문형으로
30. 된 사람은 어디 있나요?
31. 듀이에게 묻다. 요즘 교육 ‘왜’ 피곤할까?
32. 교육의 배신 vs 교육의 축복
33. 고교학점제, 고를 만한 물건이 있을까?
34. 교육감 선거는 교육답게
35. 허준이 그리고 변별력
36. 메타버스 시대, 우리 교육은?
에필로그 | ‘교육 깨기’에서 ‘교육 해체’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함민복 시인은 「꽃」이라는 시에서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라고 말한다. ‘교육과 교육학 사이’의 경계에도 새로운 교육의 꽃이 피었으면 좋겠다. 사범대 입학 40주년을 맞이하는 나에게, 새내기 대학생을 반갑게 맞아주던 그 개나리로 다시 피어났으면 좋겠다. 그래서 “모든 경계에는 개나리가 핀다”라고 외치고 싶다. 특히 ‘교육과 교육학 사이’의 경계에.
_<프롤로그_모든 경계에는 개나리가 핀다> 중에서
현실 정치에 대한 정치적 판단력과 실천력을 18세가 담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쟁은 이제 끝내자. 어차피 그것은 정답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인정의 문제다. 2005년 선거연령이 19세로 낮춰진 이후 15년 만인 2020년에 18세로 낮춰졌다. 18세의 정치 문해력에 대한 인지발달론적 기준이 달라졌다기보다는, 오랜 기간의 논쟁을 통해 사회적 인정을 획득한 것이다. 사회적 인정의 획득이라는 어려웠던 과정을 생각할 때, 당연한 권리를 가져온 것뿐이라는 지나친 정의론적 관점이나 18세의 ‘정치적 어른성’을 끝내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자세 모두 조심스럽기만 하다.
_<금치몽자禁治夢者 18세> 중에서
‘맞다. 코로나에 지친 교직원과 학생에게 5분의 시간 활용권을 팔면 어떨까? 요즘 시대에 알맞게 병이 아닌 모바일 쿠폰으로 말이야. 교육 당국이 교장들에게 5분의 자유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교장들은 하루에 한 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조건으로 원하는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파는 거야. 코로나19에 3년을 저당 잡힌 교직원과 학생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자유와 휴식이니까.’
_<시간을 파는 교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