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기구의 이해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3판)

Margaret P. Karns, Karen A. Mingst, Kendall W. Stiles (지은이), 김계동 (옮긴이)
명인문화사
2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14,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기구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기구의 이해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1930015
· 쪽수 : 578쪽
· 출판일 : 2017-08-22

책 소개

변화하는 국제기구의 모습을 이론별, 분야별, 조직별 등으로 살펴보는 책으로, 국제기구에 관하여서는 최고의 교재라 할 수 있다. 이번 개정판은 기존의 틀을 유지하면서, 보다 폭넓은 이론적 접근, 지역기구의 중요성, 새로운 거버넌스 등을 다루었다.

목차

저자서문
역자서문

1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도전
글로벌 거버넌스는 무엇인가?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이유
세계화 / 기술의 변화 / 냉전종식 / 초국가주의의 확대
글로벌 거버넌스의 행위자
국가 / 정부간기구 / 비정부기구 / 전문가와 지식 네트워크 /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 다국적기업
글로벌 거버넌스의 과정: 다자주의의 중요성
복합외교 / 어떻게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가? / 리더십 / 행위자의 전략
글로벌 거버넌스의 다양성
정부간기구 / 비정부기구 / 규칙에 기반한 거버넌스: 국제규칙과 국제법 / 국제규범 혹은 ‘연성법’ / 국제레짐과 레짐복합체 / 단체, 제도와 글로벌 회의 / 사적 거버넌스 / 공적·사적 파트너십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효율성
힘: 누가 무엇을 얻는가? 누가 이득을 보는가? 누가 손해를 보는가? / 권위와 정통성: 누가 통치하고 무엇에 기초하는가? / 책임성 / 효율성: 성공과 실패의 측정

2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이론적 토대
왜 이론이 중요한가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또는 신자유주의 / 기능주의 / 국제레짐 / 합리적 설계 / 집단적 또는 공공재이론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또는 구조적 현실주의 / 전략적 또는 합리적 선택이론 / 패권안정이론과 강대국들의 협력체
사회적 구성주의
영국학파
비판이론
마르크스주의와 네오 마르크스주의 이론 / 종속이론 / 비판적 페미니즘 / 안보화연구
조직 간 상호작용이론
조직 간의 과정 / 네트워크 / 주인대리인 상호관계 / 조직 내부의 과정
국제관계이론과 글로벌 거버넌스

3장 정부간기구(IGO)와 글로벌 거버넌스의 기초
국가체제와 그 약점: 국제기구 형성 과정
초기 거버넌스 혁신: 19세기의 유산
유럽협조체제 / 공식적 국제단체들 / 헤이그체제 / 국제연맹 / 정부간기구 구조의 공통 요소의 출현 / 유엔체제
기능적이고 전문화된 기구의 증가
보건과 세계보건기구 / 정보통신 / 노동 문제와 국제노동기구 / 브레턴우즈체제의 기원 / 식량농업기구 및 국제 식량체제 / UNHCR과 국제난민체제
판결과 분쟁조정을 위한 국제재판소
PCIJ에서부터 ICJ로 / 지역 재판소 / 전문화된 재판소와 법정 / 민간 국제재판소

4장 유엔: 글로벌 거버넌스의 중심
유엔헌장과 주요 원칙
유엔의 주요 기관
총회 / 안전보장이사회 / 경제사회이사회 / 사무국 / 국제사법재판소 / 신탁통치이사회 / 국제회의와 정상회의
지속적인 조직 문제와 개혁의 필요성
안전보장이사회의 구조적 개혁 / 조율과 관리 / 사무국 개혁 / 재정 / 비국가 행위자들의 통합
유엔의 지역기구들과의 관계

5장 지역기구
지역주의의 근원과 역학관계
지역의 정의 / 지역주의의 두 가지 물결 / 지역주의를 이끄는 정치적 요소 / 지역주의를 이끄는 경제적 요소 / 지역의 비교
유럽의 지역기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 유럽연합(EU) / 유럽은 다른 지역들의 모델인가?
미주의 지역기구
미주 지역주의의 진화·발전 / 반구적 지역주의 / 소지역통합
아시아의 지역기구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상하이협력기구(SCO)
아프리카의 지역기구
아프리카단결기구(OAU)에서 아프리카연합(AU)으로 / 소지역통합 이니셔티브 / 지역적 병목현상
중동의 지역기구
아랍국가연맹 / 걸프협력회의
지역주의의 영향에 대한 평가
지역주의를 넘어서

6장 비국가 행위자: NGO, 네트워크, 사회운동
비국가 행위자의 활동
제1막: 정치변화 선도자로서의 비국가 행위자 / 제2막: 비국가 행위자의 어두운 면
비국가 행위자의 범위
비정부기구(NGO) /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연합 / 전문가와 인식공동체 / 재단과 글로벌 싱크탱크들 / 다국적기업 / 파트너십 / 사회운동 / 글로벌 시민사회?
비국가 행위자들의 성장
비정부기구 영향력 증대에 관한 역사적 시각 / 비국가 행위자 참여 증대의 이유 / 비정부기구의 역할
비정부기구와 정부간기구와의 관계
유엔 / 유엔 기구들 / 주요 경제기구 / 유엔이 후원하는 국제회의 참여
비정부기구 영향력과 효과
비정부기구의 영향력 / 비정부기구의 효율성 / 비정부기구 효율과 영향력의 한계
비정부기구: 열정이 식어가고 있는가?
대표성, 투명성, 책임성 / 비정부기구는 공익에 봉사하는가?
국가 주권과 비국가 행위자들의 영향력

7장 평화와 안보의 모색
사례연구: 분수령이 된 소말리아
전쟁: 안보거버넌스의 기원
정부간기구와 안보 / 비정부기구와 안보 / 무력사용 관련 규범 / 국제관계이론과 안보거버넌스의 연계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기제
조정 / 예방외교 / 선고와 중재
집단안보, 이행과 제재
군사력을 포함한 집단안보 노력들 / 강제와 제재
평화활동
강제와 평화유지의 차이 / 전통적 평화유지활동 /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평화유지활동 / 분쟁 이후 평화구축과 국가형성 / 평화활동 구성에 대한 도전 / 인도적 개입: RP논쟁과 민간인보호 / 평화활동의 성공과 실패 평가
군비통제와 군축
군비통제 의제설정 / 핵능력의 확산 제한 / 생화학무기 금지 / 지뢰와 집속탄 금지: 비정부단체의 역할
국제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서의 테러리즘 대처
테러리즘에 대한 국제적 대응
인간안보의 도전

8장 글로벌 경제거버넌스
사례연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진화하는 글로벌 경제
자유주의 경제규범의 세계화 / 브레턴우즈 기관들: 자유주의 경제질서의 핵심 / 다국적기업의 역할 / 민간국제금융 / 글로벌 경제적·정치적 힘의 이동
글로벌 금융거버넌스
글로벌 통화거버넌스: 금본위제에서 변동환율제, BIS, IMF로
무역거버넌스: GATT에서 WTO까지
GATT와 WTO의 원칙과 운영 / WTO 거버넌스 혁신과 분쟁해결절차 / 무역정책분야
거시경제정책의 조정: OECD, G7, G20의 역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G7 / G20
기능적 기구와 레짐의 중요한 역할
운송 분야의 기능적 레짐 / 국제표준화기구(ISO)
민간 거버넌스
경제거버넌스의 지역화
유럽연합의 단일시장 / ASEAN자유무역지대(AFTA) / 지역무역협정의 확산
금융 및 무역거버넌스 기관에 대한 비판
IMF와 그에 대한 비판 / WTO와 그에 대한 비판 / 반세계화 비판

9장 경제적 번영과 인간개발의 증진
사례연구: 경제적 세계화와 아프리카
발전에 관한 생각의 진화
자유주의 경제이론과 발전 /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한 도전: 종속이론 학파와 신국제경제질서 / 경제적 자유주의의 수정
발전을 달성하는 대안적 전략
발전을 촉진하는 행위자
브레턴우즈 기관 / 유엔과 발전 / 유엔의 기능적 기구와 개발 / 지역다자개발은행 / 국가의 핵심 역할: 공적개발원조 / 민간국제금융 / 비정부기구와 개발원조
개발 관련 거버넌스의 다양성 증가
파트너십: 새천년개발목표로부터 글로벌콤팩트 및 그 이상까지 / 식량레짐 복합체

10장 인권보호
사례연구: 인신매매
인도주의 및 인권규범의 근원
종교적 전통 / 철학자와 정치이론가 / 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논쟁 / 인권제도와 운영원리
국가의 역할: 인권의 보호자와 남용자
국제 인권기구와 조직체계
비정부기구와 인권운동 / 국제연맹 / 유엔
인권거버넌스의 과정
인권 기준과 규범의 설정 / 인권 감시 / 인권 증진 / 국제인권규범의 이행
활동 중인 전세계적 인권 및 인도주의적 거버넌스
집단학살과 인종청소 / 여성에 대한 폭력 / 성 소수자 권리의 추구 / 난민 및 IDP의 인도주의적 도전
인권의 세계화와 미국의 역할

11장 환경보호
사례 연구: 기후변화
환경문제와 안보, 경제, 인권의 관계
환경문제의 국제적 쟁점으로의 부상
글로벌 환경거버넌스의 진화
유엔이 후원하는 국제회의와 규범의 설정: 스톡홀름에서 요하네스버그까지 / 환경거버넌스에 있어서 NGO의 역할 / 지식 공동체의 역할
글로벌 환경레짐과 제도들
환경거버넌스의 원칙들 / 글로벌 환경협정들 / 국제 환경기구들
공공-민간 협력과 환경거버넌스
민간 거버넌스와 규칙 설정
글로벌 환경거버넌스의 작동
오존층 파괴: 성공 사례
지역 차원의 환경거버넌스
유럽연합 / 북미자유무역협정 / ASEAN / 지역 환경협정들
환경협정의 집행, 이행, 효과가 직면한 도전들

12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딜레마
무엇이 글로벌 거버넌스를 차별화시키는가?
글로벌 거버넌스 행위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 / 자료 수집을 통한 지식 격차의 보완 / 목표의 설정, 증진 및 감독 / 국제무대에서의 의제설정 / 개조 및 개혁의 능력 / 혁신: 거버넌스의 새로운 다양성
글로벌 거버넌스 행위자들이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집행 / 위기상황에서의 신속 대응 / 광범위한 목표를 위한 대규모 장기 사업의 관리 / 다양한 기관 활동의 조정 / 국내에서 어두운 면을 대처하기 위한 투쟁
미래에 대한 도전
정당성의 도전 / 책임성의 도전 / 효과성의 도전 / 리더십의 딜레마: 국가를 다시 참여시켜야 하는가?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소개

저자소개

Margaret P. Karns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대 정치학 박사 데이튼대 정치학과 명예교수 매사추세츠대 보스턴캠퍼스 거버넌스 및 지속가능성 센터 펠로우 주요 연구분야: 국제정치, 외교정책분석, 국제기구, 다자간 제도 주요 저서 The United States and Multilateral Institutions: Patterns of Instrumentality and Influence (Routledge, 1990) The United Nations in the 21st Century (Routledge, 1995) The United N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Routledge, 2000) 외 다수
펼치기
김계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