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6195124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1-01-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기억과 역사, 그리고 여과
1부 / 시간과 역사의 여러 모습
1장. 시간과 역사의 관계
시간이란 무엇인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역사
시간에 대한 다른 생각, 다른 역사
2장. 역법의 세계사
해와 달의 주기 맞추기, 메톤주기
태양력의 역사,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신성에서 세속으로, 이행기의 시간
부활절에 담긴 시간들
프랑스 혁명력의 아이러니
3장. 문명의 흐름을 바꾼 기계시계
자연의 시계에서 기계시계로
시계가 만든 근대
시간 측정의 기준이 바뀐다
협정세계시(UTC)의 탄생
4장. 시간의 사회사
시간의 노예
느림의 미학
내 몸 안의 시계, 생체시계
디지털시대의 밀레니엄
2부 / 조선의 역서와 시계들
1장. 조선의 역법과 역서
역상수시는 왕정의 시작
맞춤형 역서의 필요성
수시력 교정과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의 편찬
《서양신법역서》, 시헌력의 수용
시헌력의 조선화
본국력은 ‘우리만의 역서’
‘구본신참’의 대한제국 역서, 명시력
2장. 조선의 시계들
공중公衆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
세종이 자격루를 만든 까닭은?
창의성의 집합, 조선의 천문시계
또 하나의 천문시계, 농수각 통천의
고비에 선 19세기 천문과학
【보론】 근대 시간의 경험
【에필로그】 시간차와 역사
본문의 주
찾아보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혁명 중에서 가장 혁혁한 것은 의심할 나위 없이 ‘시간혁명’이라고 한다. 기계시계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고, 정확한 기계시계의 발명은 시간의 개념 자체를 크게 바꾸었다. 그와 함께 시간의 측정에 바탕을 둔 새로운 형태의 문화가 생겨났다. 그에 따른 사고의 변화는 근대적 사고, 합리적 사고로 나타났다.
-책을 내면서, 중에서
시간은 인간이 ‘발명’한 것이다. 시간은 우리가 정해 놓은 것일 뿐이다. 과거와 현재라는 것도 모두 임의로 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인간은 시간을 통제하려고 한다. 시간이 갈수록 시간을 지배하려는 욕구가 커졌고, 그래서 시계를 만들었고 시간을 손에 쥐려 하였다. 하지만 시간은 그저 뒤에서 앞으로 흐른다. 이를 되돌리지 못한다. 4차원 시간은 아직까지 인간의 영역이 아니다. 그저 수동적으로 그 흐름을 관찰만 할 뿐이다.
인간이 만든 시간이라 그런지 시간은 매우 인간적이다. 시간은 나기도 하고 내기도 한다. 시간은 없기도 하고 있기도 하고, 모자라기도 하고 남기도 한다. 아끼기도 하고 그냥 보내기도 한다. 그래서 시간은 금이기도 하고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 하루는 어제 죽어간 이들이 그토록 바라던 하루”이기도 하다.
-시간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기계시계란 자연의 주기가 아니라, 동력으로 발생하는 인위적 주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즉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게 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균등하게 잴 수 있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물시계와 기계시계의 근본적 차이는, 물시계가 물항아리에서 흘러들어오는 물의 양을 재는 계속적 과정으로 시간을 측정한다면, 기계시계는 시간을 특정 단위로 나누어 반복적으로 기계적 동작[진동]을 하게 하여 시간을 측정한다. 기계시계는 1280~1300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뿐 아쉽게도 누가, 언제 이를 발명했는지는 모른다.
-자연의 시계에서 기계시계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