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일본소설 > 1950년대 이전 일본소설
· ISBN : 9791162445167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1-01-29
책 소개
목차
간행사 _ 4
1부 중일전쟁 이전 시기 영화 시나리오 및 평론
시나리오 • 15
순영화극 「지옥의 무도(地獄の舞踏)」 • 15
동아를 둘러싼 사랑(東亜をめぐる愛)(「파도치는 반도(潮鳴る半島)」의 개제(改題)) • 42
취직행진곡(就職行進曲) • 93
영화평론 • 132
무음영화에 대한 일고찰 • 132
영화와 문예의 문제 • 140
전위영화의 미학적 소묘 구주(歐洲)편 • 149
영화와 연예 : 경성상설관에 대한 희망 • 186
검열실로부터 본 반도영화 현황-야규(柳牛) 도서과 과장 담화- • 200
16밀리는 나아간다 • 206
영화의 이상(理想) - 클레르(Clair)가 말하는 것에는- • 214
대단히 발전한 우리 반도영화계의 현상(現狀)-완전히 토키화, 일본물 전성- • 216
현실미의 승리 • 218
영화시평 새로운 세계를! • 224
일본영화 프로듀서론 • 228
현대영화감독론(상) • 236
속・현대영화감독론 • 239
여성은 어떻게 영화를 봐야하는가-그녀에게 부족한 비평의 눈 • 244
조선영화 〈나그네(旅路)〉를 보다-성봉영화원(聖峰映画園) 이규환 작품 • 247
해제 (강태웅) • 250
2부 중일전쟁 이후 시기 영화 담론
조선발성영화(朝鮮発声映画) 자본 50만 원으로 갱생 • 257
영화 보국 시국 인식의 철저 심화를 기함 전(全) 조선 영화관을 지도 • 259
반도영화계를 향한 말 • 261
기록영화론 (상) • 265
기록영화론 (중) • 268
기록영화론 (하) • 271
조선영화의 여명 • 275
영화 성격론 신코(新興) 로쿠샤(六車) 소장이 시사 • 281
조선영화의 나아갈 길 새로운 역사의 계승과 사절(使節) 문제 • 283
활기 띠는 반도영화 이번에는 조선의 명 소설 『무정』을 신생 조선영화회사가 발성화 • 286
일지(日支) 영화・연극・문학의 교섭 (상) • 288
일지(日支) 영화・연극・문학의 교섭 • 291
일지(日支) 영화・연극・문학의 교섭 • 295
대륙영화 제작론 〈동양평화의 길〉의 일 등 • 299
영화화 되는 〈춘향전(春香傳)〉 좌담회 (상) • 303
영화화 되는 〈춘향전(春香傳)〉 좌담회 (중) • 307
영화화 되는 〈춘향전(春香傳)〉 좌담회 (하) • 311
반도영화계의 문제 최근의 ‘성봉(聖峰) 사건’을 빌려서 • 315
흥행영화 논의 전쟁영화의 지도성 • 318
민중과 영화의 관계 흥행영화의 통계 조사 • 323
영화음악의 기구성과 예술성 (상) • 331
영화음악의 기구성과 예술성 (하) • 334
반도영화의 동향 감독 다사카 토모타카(田坂具隆)와 야마모토 가지로(山本嘉次郎) • 336
이와사키 아키라(岩崎昶) 씨를 둘러싸고 반도영화를 이야기하는 흥미 있는 좌담회 조만간 본지 게재 • 341
반도영화를 말하다 (1) 이와사키 아키라(岩崎昶)) 씨를 둘러싸고 • 342
반도영화를 말하다 (2) 이와사키 아키라(岩崎昶)) 씨를 둘러싸고 • 346
반도영화를 말하다 (3) 이와사키 아키라(岩崎昶)) 씨를 둘러싸고 • 350
문예영화(文藝映畵)의 의미 • 357
〈춘향전(春香傳)〉의 영화화 양식적인 극에 대해 사실적으로 완성하기까지에는 내년 내내 걸린다 • 360
문예영화와 사회성 〈겨울 숙소(冬の宿)〉와 다음에 오는 것 • 364
기록영화와 극영화 1년간에 두드러진 두 가지의 양식 • 367
영화 검열 대기실 이야기 어떠한 작품이 잘릴까 • 370
영화 이런저런 이야기 시나리오 일을 위주로 • 375
아동과 영화 둔갑물(忍術物)은 의외로 무해하지만 도박유랑물(股旅物)은 영향이 크다 • 379
영화 교육의 변 (1) 이행하는 교육의 중심주의 • 381
영화 교육의 변 (2) 교육의 실제와 영화의 입장 • 384
영화 교육의 변 (3) 지식과 도덕과 미적 정조(情操) • 387
영화 교육의 변 (4) 영화의 기능과 문화적 목표 • 390
조선영화와 리리시즘 〈새 출발(新しき出発)〉에 관하여 • 393
영화법과 흥행자 • 396
영화와 여성 〈이른 봄(早春)〉과 〈아이젠 가쓰라(愛染かつら)〉 • 399
문화영화 사론(私論) (상) 과학과 예술의 중도를 가는 것 • 402
문화영화 사론(私論) (하) 과학과 예술의 중도를 가는 것 • 405
영화를 보고 원작자 우수영(禹寿栄) • 409
보도(保導) 상에서 보는 영화 문제 조선영화령(朝鮮映画令) 실시를 계기로 (상) • 411
보도(保導) 상에서 보는 영화 문제 조선영화령(朝鮮映画令) 실시를 계기로 (하) • 414
금년의 영화계 (1) • 418
금년의 영화계 (2) • 421
금년의 영화계 (3) • 424
〈집 없는 천사(家なき天使)〉와 사회 문제 향린원(香隣園) 생활과 영화에 출연한 아이 • 427
〈집 없는 천사(家なき天使)〉와 사회 문제 악한(親方)들의 무도(非道)에 영화를 보고 미워하는 향린원 아이 • 431
〈집 없는 천사(家なき天使)〉와 사회 문제 향린원(香隣園)의 영화가 비일반으로 된 이유 • 434
반도와 영화계 (1)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38
반도와 영화계 (2)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41
반도와 영화계 (3)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44
반도와 영화계 (4)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47
반도와 영화계 (5)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50
반도와 영화계 (6)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53
반도와 영화계 (7)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56
반도와 영화계 (8) 관민(官民)이 무릎을 맞대고 말하다. • 459
태동하는 영화 합동 (1) • 462
태동하는 영화 합동 (2) • 465
태동하는 영화 합동 (3) • 468
영화와 군대 (1) 사노 슈지(佐野周二) 군조(軍曹)에게 전선(戰線)을 묻다 • 471
영화와 군대 (2) 사노 슈지(佐野周二) 군조(軍曹)에게 전선(戰線)을 묻다 • 474
영화와 군대 (3) 사노 슈지(佐野周二) 군조(軍曹)에게 전선(戰線)을 묻다 • 477
영화와 군대 (4) 사노 슈지(佐野周二) 군조(軍曹)에게 전선(戰線)을 묻다 • 480
영화와 군대 (5) 사노 슈지(佐野周二) 군조(軍曹)에게 전선(戰線)을 묻다 • 483
영화 시평(時評) (1) 연극화 되고 있는 영화 • 486
영화 시평(時評) (2) 특히 기교가 돋보이는 작품 • 489
영화 시평(時評) (3) 영화적인 것의 내용 • 492
영화계 촌감(寸感) (상) • 495
영화계 촌감(寸感) (하) • 498
영화 현대 풍속 (1) • 500
영화 현대 풍속 (2) • 503
영화 현대 풍속 (3) • 507
출연자를 중심으로 〈그대와 나(君と僕)〉를 듣다 • 508
출연자를 중심으로 〈그대와 나(君と僕)〉를 듣다 • 511
출연자를 중심으로 〈그대와 나(君と僕)〉를 듣다 • 514
(9월 12일자 석간 파일 부재) • 517
출연자를 중심으로 〈그대와 나(君と僕)〉를 듣다 • 518
임전영화(臨戰映畵) 담의(談義) (상) • 521
임전영화(臨戰映畵) 담의(談義) (중) • 524
임전영화(臨戰映畵) 담의(談義) (하) • 527
영화 〈그대와 나(君と僕)〉 시사를 본 후의 감상 (상) • 531
영화 〈그대와 나(君と僕)〉 시사를 본 후의 감상 (하) • 534
해제 (함충범)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