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물과 아시아 미

물과 아시아 미

아시아 미 탐험대, 강태웅, 김영훈, 김현미, 백영서, 조규희, 최경원, 최기숙 (지은이)
미니멈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물과 아시아 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물과 아시아 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8769401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2-20

책 소개

‘아시아 미’를 규명하는 총론적 성격의 연구 활동을 위해 ‘Asian beauty 탐색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 첫 번째 기획으로 동아시아의 전통적 우주관이 녹아있는 오행론의 다섯 가지 원소 가운데 하나인 물을 통해 아시아적 미에 접근하고자 했다.

목차

서문_<아시아 미 탐험대>의 첫걸음

0. 서장_물길 따라 흐르는 아시아적 미

왜 물을 동원하면 아름다움에 이를 수 있는가 / 물에서 읽는 우주론 / 물의 다양한 표정과 오감의 미 / 오감의 미와 아름다운 인간 / 누가 오감의 미를 수행할까

Ⅰ물의 미학

1. 흐르는 물, 최고의 자연미와 예술미를 형성하다
산수화 - 산에서 물로 / 거비파 산수화에서 평원산수화로 / 흐르는 물, 자연스러움의 미학 / 자연미와 산수화에 대한 새로운 담론

2.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동아시아적 물의 미학
물을 끌어들인 건축 / 동아시아 문화의 시작점, 자연과 물 / 자연의 수공간을 건축공간에 연속시키다 / 현대건축에 적용된 수공간의 연속성 / 건물 내부로 끌어들인 물의 미학 / 현대건축에서 활짝 핀 물의 경관 / 물로 이루어진 자연, 정원

Ⅱ 물의 상징

3. 물의 표상 : 아시아 영화 속의 물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의 흥행과 물의 표현 / 엠티 샷과 아시아적 영상미 / 생사의 갈림길과 천인상관天人相關 / 물의 여인과 수색水色 / 순환적 세계관과 물

4. 물의 신경증, 파괴력, 저주는 어떻게 생명의 상징이 되었나
原 풍랑, 물의 어둠과 공포-표해록 / 因 저주, 물속의 검은 힘-소용돌이 / 果 하나: 장자못, 오만과 어리석음의 상흔-장자못 전설 / 果 둘: 용소, 희망을 잠식한 눈물-아기장수 설화 / 流 만경창파, 귀신들린 망망대해-인당수 / 不忘 일렁이는 바다가 마음속으로-아직, 있다

Ⅲ 물과 문화

5. Subak과 생태미 : 발리 농경과 물에 관한 사례보고
물에 대한 사유 / 물과 삶 / 물과 전통사상 / 물과 종교 / 물과 의례

6. 한국의 물 문화와 오감미
물과 오감미 / 물과 삶 / 삶과 멀어지는 물 / 한국의 물 문화와 가치관 / 새로운 물 문화를 상상하며

저자소개

최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고전문학의 역할과 연결성을 탐구한다. 젠더, 연령, 신분 등의 차이가 규정하는 소수문화, 하위주체의 문화적 실천에 대해 성찰적 시각에서 아이디어 디자인을 한다. 저서로 『계류자들』(2022),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 『처녀귀신』(2011) 등이 있고, 『일곱 시선으로 들여다본 <기생충>의 미학』(2021),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2015), ?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2020),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2022)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백영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세교연구소 이사장.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에서 중국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림대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학술 활동으로 현대중국학회 회장, 중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사회 활동으로 계간 『창작과비평』 주간을 역임했다. 세계중국학공헌상(2023년)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나남출판), 『중국현대사를 만든 세 가지 사건: 1919, 1949, 1989』(창비), 『사회인문학의 길: 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창비),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창비), 『동아시아의 귀환: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창비), 『중국현대대학문화연구: 정체성 위기와 사회변혁』(일조각) 등이 있고, 『팬데믹 이후 중국의 길을 묻다』(책과함께), 『생각하고 저항하는 이를 위하여: 리영희 선집』(창비), 『내일을 읽는 한·중 관계사』(알에이치코리아), 『한국의 미美를 읽다』(연립서가), 『한국의 마음心을 읽다』(독개비) 등 다수의 책을 엮었다.
펼치기
최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현재 연세대학교와 국민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서울대학교에서는 외래강사로 강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디자인을 산업 중심의 기능에서 벗어나, 문화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으로 확장하고자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글을 씁니다. 이번 책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컬러』에서는 첫 책에서 다뤘던 컬러 부분을 새롭게 다듬고 확장했습니다. 교육 및 강연 활동 전국 디자인 워크숍 및 문화예술 포럼 강연 공공디자인, 시각문화, 디자인 감각 향상 관련 대중 강의 진행 디자이너, 교사, 일반인을 위한 디자인 인문교육 콘텐츠 기획 및 강의 주요 저서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Good Design』 『디자인 인문학』 『디자인 미학』 『우리 미술 이야기』 1~3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컬러』
펼치기
강태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운대학교 동북아문화산업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국제대학원 일본지역연구 과정을 수료하였다. 히토츠바시 대학 사회학연구과에서 석사학위를, 도쿄 대학 총합문화연구과 표상문화론 코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일본대중문화, 일본영상문화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고, 도쿄 대학 및 릿쿄 대학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저서로는 『이만큼 가까운 일본』, 『싸우는 미술 : 아시아 태평양전쟁과 일본미술』(공저), 『일본대중문화론』(공저), 『‘가미카제 특공대’에서 ‘우주전함 야마토’까지』(공저),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공저), 『3.11 동일본대지진과 일본』(공저), 『제국의 지리학, 만주라는 경계』(공저), 『대만을 보는 눈』(공저),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공저), 『물과 아시아의 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일본영화의 래디컬한 의지』, 『복안의 영상』, 『화장(化粧)의 일본사』가 있다.
펼치기
조규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산거도(山居圖) 연구로 석사학위를, 별서도(別墅圖)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성공한’ 미술 작품의 효과와 그 정치적, 사회문화적 의미에 주된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과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한국의 예술 지원사』, 『새로 쓰는 예술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안평대군의 상서(祥瑞) 산수: 안견 필 '몽유도원도'의 의미와 기능」, 「만들어진 명작: 신사임당과 초충도(草蟲圖)」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 미국 남가주대학교(USC) 인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전문위원을 거쳐 2001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From Dolmen Tombs to Heavenly Gate』(지문당, 2013), 『한국인의 작법』(일본 슈에이샤, 2011), 『문화와 영상』(일조각, 2002) 등이 있고 『Understanding Contemporary Korean Culture』(지문당, 2011),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일조각, 2002)을 공동 집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2000년 이후 관광 홍보 동영상 속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2011), 「한국의 미를 둘러싼 담론의 특성과 의미」(2007), 「1890년 이후 National Geographic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의 변화와 그 의미」(2006), 「1970~80년대 관광 포스터에 나타난 한국성 연구」(200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