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6247367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목차
實學飜譯叢書를 펴내며 5
『역주 정헌쇄록』 머리말 9
일러두기 27
해제: 언어 지식의 보고 『정헌쇄록』과 비운의 지성 정헌 이가환 29
『정헌쇄록(貞軒瑣錄)』 제1부
1 육진개시(六鎭開市) 43
2 승보시(陞補試) 46
3 사롱갑(沙籠匣) 47
4 서울의 오래된 저택 48
5 『규장전운(奎章全韻)』 50
6 조선통폐지인(朝鮮通幣之印) 52
7 「공후인(箜篌引)」 54
8 「아롱곡(鵞籠曲)」 57
9 도끼 61
10 유학(幼學)이 착용한 홍삼(紅衫) 62
11 해금(奚琴) 64
12 자기(磁器) 65
13 고계(膏雞) 66
14 조라치[燭剌赤] 67
15 답교(踏橋) 68
16 최북(崔北) 69
17 심사정(沈師正) 70
18 정선(鄭敾) 71
19 조영석(趙榮祏) 71
20 김두량(金斗樑) 72
21 변상벽(卞相璧) 73
22 김명국(金明國) 73
23 이정(李霆) 74
24 이명기(李命基) 75
25 이인상(李麟祥) 75
26 김인관(金仁寬) 76
27 골타(骨朶) 76
28 우리나라 산맥(山脈) 77
29 장작(莊作) 79
30 이두(吏讀) 79
31 누비(縷飛) 80
32 삼공형(三公兄) 81
33 방죽갓끈[防築纓] 82
34 종성(終聲) 83
35 고구려 어음(高句麗語音) 84
36 우리나라의 시문(詩文) 85
37 고려시대의 장적(帳籍) 86
38 우리말의 수사(數詞) 89
39 부시 쌈지[火刀囊] 92
40 편찬서의 오류 93
41 경주인(京主人) 체각(替脚) 김씨 95
42 어한복(御寒服) 97
43 고달(高達)과 무지기[無足] 97
44 이언(伊彦) 98
45 사월 초파일 100
46 대마도(對馬島) 100
47 칼[刀子]과 가위[剪刀] 102
48 삼묘(三廟) 103
49 마제잠(馬蹄鐕) 104
50 비편(備篇) 105
51 숭례문(崇禮門) 밖의 연지(蓮池) 107
52 한인 아병(漢人牙兵) 107
53 감시(監試)의 시권(試券) 108
54 알성시(謁聖試) 110
55 두보의 「즉사(卽事)」 시구 111
56 피전(皮錢) 112
57 마제(馬蹄) 113
58 여진 구성(女眞九城) 114
59 23사(史) 고증 115
60 함경도(咸鏡道)의 인물들 117
61 두보가 이엽(李曄)을 보내며 지은 시 119
62 윤생(輪生) 120
63 익주(益州) 이언(伊彦) 121
64 인삼(人蔘) 122
65 술의 효능 125
66 안경의 품질[靉靆之品] 125
67 양수척(楊水尺) 128
68 왕비본관향(王妃本貫鄕) 129
69 천막탕(千莫湯) 131
70 달화주(達花主) 132
71 부인배(婦人拜) 132
72 신생아 수파(新生兒首帕) 134
73 한퇴지(韓退之)의 「화기(畫記)」 134
『정헌쇄록(貞軒瑣錄)』 제2부
1 소덕조(蕭德藻)의 매화 시(詩) 139
2 『강호집(江湖集)』이 부른 파란 140
3 빙례(聘禮)의 예물 141
4 원나라 말기의 삼고사(三高士) 141
5 『황정경(黃庭經)』 142
6 군주(郡主) 주부인(朱夫人) 142
7 소아지재(小雅之材)와 대아지재(大雅之材) 143
8 『사성보(四聲譜)』와 이후의 운서 143
9 『순화첩(淳化帖)』의 협설본(夾雪本) 144
10 『후한서(後漢書)』의 지(志) 145
11 평측법(平仄法)에 대한 이천생(李天生)의 견해 145
12 하도(河圖)에 대한 유염(兪琰)의 견해 148
13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148
14 여조겸(呂祖謙)의 『서설(書說)』 150
15 두검봉(斗檢封) 150
16 호랑이 퇴치 부적 151
17 오경(五經)에 사용된 죽간 152
18 관리를 추첨하는 쪽지 152
19 황간(黃榦)이 쓴 임황중(林黃中)의 제문 153
20 왕백(王柏)의 경설(經說) 154
21 『대대례(大戴禮)』 155
22 『예기』의 편차와 「월령(月令)」편 156
23 당대(唐代)의 오례(五禮) 156
24 만여(漫與) 157
25 황정견(黃庭堅)의 서법 158
26 한나라의 관인(官印)과 사인(私印) 159
27 『환우통지(寰宇通志)』와 『대명일통지(⼤明一統志)』 160
28 서호(西湖)의 배, 과피선(瓜皮船)·총의선(緫宜船) 160
29 심주(沈周)가 곽박(郭璞)의 묘에 쓴 시 161
30 고려의 공비(碽妃)가 낳은 황제 162
31 문천상(文天祥)의 벼루, 옥대생(玉帶生) 163
32 천주당(天主堂)의 설치 유래 163
33 「예학명(瘞鶴銘)」의 고증 164
34 『송중흥기사본말(宋中興紀事本末)』에 실린 악비(岳飛) 옥사 164
35 곡단(曲端)을 위한 원굉도(袁宏道)와 강영과(江盈科)의 시 165
36 구루비(岣嶁碑)의 고증 166
37 중랑석경(中郞石經) 167
38 당 고조(高祖)를 도운 이정(李靖) 168
39 채경(蔡京)의 가슴에 남은 만(卍)자 169
40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에 수록된 시 169
41 조이도(晁以道)가 지은 소숙당(蘇叔黨)의 묘지(墓誌) 170
42 알자(謁者) 경군(景君) 묘표(墓表) 171
43 한비식(漢碑式) 172
44 묘지명의 오언(五言) 172
45 육롱기(陸隴其)를 후원한 석계우(席啓寓) 173
46 묘지명에 적힌 조길사(趙吉士)의 행적 174
47 흑도(黑道)와 황도(黃道)의 고증 176
48 재일(齋日)의 음식 177
49 주이준(朱彛尊)의 파직 계기 179
50 『귀곡자(鬼谷子)』에 나오는 말 180
51 왕이(王彛)와 고계(高啓) 180
52 대량(戴良)이 지은 자찬(自贊) 181
53 섭자기(葉子奇)와 그의 저술 『초목자(草木子)』 182
54 고병(高棅)과 그의 저술 183
55 반택가(半擇迦)라는 말 184
56 우공(禹貢)의 치수(治水)와 방위 184
57 국기일(國忌日) 휴무(休務)의 유래 185
58 「곤괘(坤卦)」의 함의 185
59 백거이(白居易)의 「신거(新居)」 시 186
60 백거이 시의 시참(詩讖) 불일치 186
61 격시(格是)라는 시어 187
62 압각(押角)이라는 풍속 188
63 구양수(歐陽脩)의 맹서 188
64 패사문(稗沙門)이라는 어휘 189
65 『자치통감(自治通鑑)』을 다 읽은 왕익유(王益柔) 189
66 건무(建武) 중원(中元) 190
67 우미(牛米) 190
68 우세남(虞世南)과 당 태종(太宗) 191
69 「불기술(不欺述)」의 민간인 기록 191
70 의자(義子) 192
71 노륜(盧綸)과 이익(李益)의 관계 192
72 도잠(陶潛)의 서자(庶子) 193
73 꿈속에 지은 「신궁명(新宫銘)」 193
74 박조(剥棗)라는 어휘의 주해 194
75 「빈풍(豳風) 칠월(七月)」편의 해석 194
76 배사겸(裴思謙)의 청탁과 시험 합격 195
77 장자소(張子韶)가 지은 홍호(洪皓)의 제문(祭文) 196
78 하늘은 속이기 어렵다 196
79 『자치통감(資治通鑑)』에서 누락한 사실 197
80 정곡(鄭谷)의 「십일국(十日菊)」 시 197
81 노송(魯頌)과 상송(商頌)의 전승 198
82 이름에 쓰지 못하도록 한 글자들 198
83 부필(富弼)에게 가한 면역전(免役錢) 199
84 「회남가(淮南歌)」 199
85 동중서(董仲舒)의 재설(災說) 200
86 맹주진사(孟州進士) 장양광(張兩光)에 대한 처벌 201
87 『유양잡조(酉陽雜爼)』「천지(天咫)」편 202
88 시부(詩賦)의 평측법 202
89 돼지 간의 주술적 효능 202
90 송나라 때 과거시험의 금기 203
91 곽분양(郭汾陽)의 후손 203
92 지유정(知有亭)과 백량각(白凉閣) 204
93 연호의 풀이 205
94 당 태종(太宗)의 검소한 생활 205
95 주현(州縣)의 편액(扁額) 206
96 자하(子夏)의 경학(經學) 207
97 식염(食閻)의 뜻 208
98 진회(秦檜)에게 아부한 양원(楊愿) 208
99 첨(掭)의 뜻 209
100 「홍범(洪範)」에서 발생한 착오 209
101 이방(李昉)의 학관(學館) 운영 210
102 원(杬)나무의 효능 210
103 『오당습유록(吳唐拾遺錄)』의 「권농상(勸農桑)」 211
104 당달(篖笪) 212
105 주역(周易)의 뜻 212
106 관자(管子)와 안자(晏子)의 말 213
107 주애(朱崖)의 유배객 213
108 설도형(薛道衡) 214
109 여석(礜石) 215
110 증태황태후(曾太皇太后) 215
111 실년(實年)과 관년(官年) 216
112 음교(陰膠)의 효능 216
113 약재를 만드는 빠른 방법 217
114 호랑이에게 주술 거는 비방 217
115 지유(枳維)의 뜻 218
116 이정(李靖)의 병세를 살핀 당 태종 219
117 고로진(庫路真) 219
118 이청조(李淸照)와 조명성(趙明誠) 부부의 놀이 220
119 오세의 사당[五世之廟] 221
120 초구마(草駒馬) 221
121 목호(穆護) 222
122 사라수비(娑羅樹碑)라는 나무 222
123 황정견의 「승천탑기(承天塔記)」 223
124 황서(黃庶)의 『벌단집(伐檀集)』 223
125 조경종(曹景宗)의 기민한 연구(聯句) 224
126 마사서방(麻沙書坊) 225
127 치력(治曆) 명시(明時) 225
128 혁명(革命)의 용례 226
129 월쌍(月雙) 윤쌍(閏雙) 227
130 이방(李昉)의 구로회(九老會) 228
131 이한(李澣)의 『몽구(蒙求)』 228
132 조인(曹因)의 묘명(墓銘) 229
133 인생의 오계(五計) 230
134 가우(嘉祐) 연간의 사진(四眞) 230
135 구양수의 「오방노인축수문(五方老人祝壽文)」 231
136 한유의 「평회서비(平淮西碑)」 231
137 중화절(中和節)의 풍속 232
138 탕한(湯漢)의 「자경(自儆)」 시 233
139 『시전(詩傳)』의 작자 233
『정헌쇄록(貞軒瑣錄)』 제3부
1 근(斤) 237
2 고(羔) 237
3 당(棠) 238
4 해당(海棠) 238
5 석(錫) 239
6 원(猿)과 후(猴) 240
7 내(柰) 241
8 면(麪) 242
9 수(㛮) 242
10 양자(養子) 243
11 시(尸) 244
12 빙군(聘君) 245
13 등황(藤黃) 246
14 백(柏) 247
15 소목(蘇木) 247
16 적목(赤木)과 자단(紫檀) 247
17 시어(鰣魚) 248
18 동(棟) 249
19 신이(辛夷) 249
20 속(粟) 250
21 사(査)와 차(苴) 250
22 서양화[西國畵] 251
23 뱀을 먹는 풍습[啖蛇] 251
24 과(苽) 253
25 그림의 오묘함[畵之妙] 253
26 검(劍) 255
27 유리(琉璃) 255
28 국화[菊] 256
29 슬(瑟) 256
30 속향(速香) 257
31 연(烟) 258
32 골돌(鶻突) 259
33 비(緋)와 홍(紅) 259
부록: 일본 동양문고 소장 『동패낙송(東稗洛誦) 속(續)』 영인 자료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