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6254292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08-2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반드시 끝내는 사람들의 비결은 따로 있다
제1부 목표 설정의 기본 원칙
: 중요한 것은 의지가 아니라 밀도 있는 계획이다
제1장 무엇을 목표로 삼을 것인가
목표는 수단이 아니다 | 추상적인 목표를 세워라 | 긍정적인 목표가 더 좋다
제2장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계하라
도전의식을 자극하라 | 숫자를 적극 활용하라 |실현 가능한 수준에서 목표를 정하라 | 스스로 목표를 정해야 최선을 다한다 | 나를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지 체크하라
제3장 새로운 도전을 즐기게 하는 보상을 마련하라
동기부여를 위한 최적의 보상 | 과도한 보상은 역효과를 낳는다 | 핵심 목표를 흐리게 하는 유인책을 피하라 | 적절한 유인책을 선택하는 법 | 유인책이 없어도 흔들리지 않는 법 | 불확실한 보상이 도전 의식을 자극한다
제4장 행동의 원동력, 내적 동기를 찾아라
내적 동기란 무엇인가 | 스스로 즐겁게 해내는 힘을 기르는 법 | 지루한 일을 재밌게 만드는 세 가지 전략 | 내적 동기에 대한 우리의 오해와 편견
제2부 목표 수행의 절대 원칙
: 실패 없이 성공 없고, 과정 없이 결과 없다
제5장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라
나를 행동하게 만드는 두 가지 원리 | 목표를 향해 나아갈수록 몰입한다 | 때로는 부족함이 동기를 부여한다 | 감정이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제6장 반쯤 찬 컵과 반쯤 빈 컵: 관점에 따른 동기부여의 원리
일관성을 유지할 것인가, 균형을 맞출 것인가 |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열정의 차이 | 몰입과 진전, 나의 열정은 어느 쪽인가 | 셀프 동기부여를 위한 기본 원칙
제7장 흔들림 없이 중간 과정을 지나는 법
처음과 끝에 공을 들이는 심리를 이해하라 | 슬럼프에서 나를 구할 ‘작은 영역 법칙’의 힘
제8장 부정적 피드백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들
실패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이유 | 부정적 피드백이 가르쳐주는 것들 | 전문가에게 실패는 최고의 자극이다 | 피드백은 상대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 부정적 피드백에도 동기를 유지하는 법 | 실패에는 상세한 정보가 들어 있다
제3부 목표 달성을 위한 위기 관리법
: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반드시 있다
제9장 목표가 너무 많을 때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성취를 극대화하기 위한 두 종류의 수단 | 판다가 대나무만 먹는 이유 | 목표 간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는가 | 타협할 것인가, 우선순위를 정할 것인가
제10장 외부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도록 나를 통제하는 법
자기 통제력이 필요한 순간 | 유혹을 물리치는 자기 통제 전략 | 자기 통제를 발휘하는 가장 쉬운 방법
제11장 마음이 조급해질 때 인내심을 발휘하는 법
기다림은 왜 어려운가 | 무엇이 우리를 조급하게 만드는가 | 효과적으로 인내심을 기르는 방법
제4부 목표 달성의 숨은 조력자, 사회적 지지
: 함께할 때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다
제12장 혼자서는 원하는 것을 이루기 어렵다
우리가 타인의 생각에 동조하는 이유 | 타인의 목표와 행동을 대하는 두 가지 패턴 | 롤모델과 안티 롤모델 활용법 | 관중이 많을수록 선수들이 열심히 뛰는 이유
제13장 최상의 팀워크를 위한 동기부여 전략
사회적 태만에 맞서 싸우는 법 | 함께 목표를 수행하는 다양한 방식들
제14장 우리를 성장시키는 사회적 관계의 조건
목표가 바뀌면 관계도 변한다 | 목표를 공유하는 관계로 성장하라 | 서로를 잘 알고 있다는 착각은 버리자 | 내가 지지받고 싶은 만큼 상대방을 지지하라
리뷰
책속에서
비용보다는 이득 측면을 고려해 목표를 선택해야 한다. ‘이력서 제출’보다는 ‘취업’으로, ‘계약금 마련을 위한 저축’보다는 ‘내 집 마련’으로 목표를 정하는 것이 좋다. 취업을 하고 집을 마련하는 일은 바라는 결과다. 반면, 이력서 작성과 계약금 마련을 위한 저축은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값비싼 수단이다. 즉, 목표 달성은 신나고 즐거운 일이지만 수단을 처리하는 과정은 성가신 일이다.
제1장_ 무엇을 목표로 삼을 것인가
자신이 유인책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질문을 던져보자. 첫째, 유인책이 목표 수행 과정에 동기를 부여하는가? 측정하기 쉽고 의미 없는 목표 수행에 대해 보상하고 있지는 않은가? 가령 헛된 상상을 하거나 소셜 미디어를 확인하면서 컴퓨터 앞에 앉아 보낸 시간이 아니라 자신이 끝마친 일의 양에 따라 보상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일의 양보다 질에 대해 보상할 수도 있다. 둘째,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어떻게 하면 가장 쉽게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 가장 빠른 길은 무엇일까? 만약 가장 쉬운 보상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당신은 잘못된 유인책을 사용하고 있다.
제3장_ 새로운 도전을 즐기게 하는 보상을 마련하라
목표에 대한 몰입을 높이고 싶다면 실제로 얼마나 목표를 수행했는지와 상관없이 목표에 쏟아부은 노력을 생각해보자. 진행 상태의 초점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민정과 나는 시카고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우리는 학생들에게 다가올 시험을 앞두고 얼마나 동기가 부여돼 있는지 물었다. 이미 시험 범위의 반을 공부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아직 공부할 분량이 반이나 남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에 비해 시험 공부에 대한 동기가 높았다. 몰입은 앞을 내다볼 때보다 뒤를 돌아볼 때 강해지는 법이다.
제5장_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