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6262025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4
「나는 왜 남들 앞에만 서면 떨릴까」 사용설명서 8
프롤로그 정신과 의사도 떨린다 11
1. 나는 왜 떨릴까?
01 무대공포증이란 무엇인가 23
02 난 발표에 소질이 없나봐 26
03 연예인도 무대에서 떨린다 31
04 불안하지 않으면 행복할까? 35
05 나의 발표불안은 정상일까? 40
06 매일매일 불안한 사람들 43
07 싸울 것인가, 도망칠 것인가 47
드라마 심리학 더 이상 공항 가는 길이 두렵지 않다_<파일럿> 53
2. 나, 지금 떨고 있니?
01 왜 긴장하면 떨릴까? 59
02 홍당무는 괴로워 65
03 마, 뭘 보노! 68
04 염소 목소리 71
05 뱀이 미끄러운 이유 75
드라마 심리학 말더듬의 공포를 극복하라_<킹스 스피치> 78
3. 무대 위의 여러 가지 감정들
01 불안과 공포의 양면성 83
02 수치심과 죄책감의 정체 87
03 우울감과 우울증 구분하기 92
04 질투심과 열등감 극복하기 97
드라마 심리학 감정적 완벽주의를 경계하라_<인사이드 아웃> 101
4. 발표불안의 원인은 ‘생각’이다_윤닥의 심리 처방전 Ⅰ
01 수치스러운 사건들 107
02 내성적인 성격 때문에 113
03 완벽주의는 늘 불안하다 117
04 타인의 평가가 두렵다 122
05 생각은 ‘사실’이 아니다 127
06 불안의 근본적 원인은 생각의 오류_바꿔야 할 5가지 생각들 132
드라마 심리학 나쁜 기억을 지울 수 있다면_<푸른 바다의 전설> 139
5. ‘함께’ 생각을 바꾸면 불안도 줄어든다_윤닥의 심리 처방전Ⅱ
01 발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법 145
02 생각을 바꾸는 법_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 153
03 소크라테스 문답법_생각 바꾸기 I 159
04 최악의 순간에서 최상의 결과를 생각해보기_생각 바꾸기 II 163
05 경직된 자세를 푸는 법_호흡과 이완 166
06 발표 날은 뭘 먹어야 할까?_음식과 불안의 관계 174
07 발표공동체를 꿈꿔라 179
08 나쁜 유전자는 없다_부모님이 떨고 있는 자녀들에게 해줄 수 있는 일 185
드라마 심리학 내 속에 내가 너무도 많아_<킬미 힐미> 190
6. 승진이 두렵다?_직장인의 발표불안
01 일부러 떨어보자_취업준비생의 면접 울렁증 극복하기 I 197
02 걷기 명상_취업준비생의 면접 울렁증 극복하기 II 201
03 취업준비생의 우울감 극복 운동 206
04 신입사원의 자기소개와 술의 힘을 빌린 건배사 212
05 준비된 대본의 두려움_유인물 발표 216
06 승진이 무서워 220
드라마 심리학 누구나 장점은 있다_<미생> 224
7. 음악인의 무대공포증
01 인데놀의 진실 229
02 무대가 끝나도 불안하다 234
03 갑자기 악보가 기억나지 않아요 238
04 무대를 두려워하는 제자를 둔 선생님들께 Ⅰ 242
05 무대를 두려워하는 제자를 둔 선생님들께 Ⅱ 247
06 클래식 연주자들은 소심하다? 252
07 무대공포증 극복을 위한 셀프 처방_멘털 리허설 256
드라마 심리학 가사를 잊는 래퍼들의 비밀 260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선수의 무대공포증 263
8. 윤닥의 발표불안 극복 5주 프로그램
1주차 누구나 약점은 있다 269
2주차 발표불안의 원인을 찾아라 273
3주차 성공한 발표와 실패한 발표를 찾아라 276
4주차 발표불안의 다섯 단계 280
5주차 발표의 떨림을 설렘으로 바꾸자 286
윤닥의 ‘발표 자신감 찾기’ 7기 소감문 사례 289
부록_극복 사례 295
에필로그 불안은 나의 힘 312
참고 도서 315
참고 논문 317
색인 318
감사의 글 31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연예인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떨고 있다. 여러분만 특별히 떨지 않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 무대에서는 누구나 떨린다. 대중의 시선을 즐기는 것처럼 보이는 스타들부터 무대공포증에 대해 책을 쓰고 강의를 하는 정신과 의사까지도.
불안이 너무 지나쳐도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너무 적어도 동기가 유발되지 않아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성공과 불안의 상관관계는 이미 많은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무대에 오르거나 발표하기 직전에 너무 떨지 않는 이들은 긴장하는 사람들에 비해 오히려 결과가 좋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불안에 자신을 던져보자. 사람들은 번지점프를 하거나 바이킹을 탈 때 짜릿함을 느끼기 위해 비싼 돈을 주고 몇 시간 동안 긴 줄을 서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무대에 오른 후 짜릿함을 느끼고 불안을 극복해보자. 시간과 돈이 들지도 않는 매우 생산적인 일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인정을 받는 것은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