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저널리즘 연구 1

저널리즘 연구 1

(뉴스의 생산)

윤석민, 배진아 (지은이)
사회평론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26,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저널리즘 연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저널리즘 연구 1 (뉴스의 생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273338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5-02-27

책 소개

언론 불신, 언론 회피의 시대. 뉴스는 여전히 필요한가? 이 책은 긴급하고 엄중한 물음에 대한 저널리즘 연구자 2인의 대답이다. 결론적으로 책의 저자들은 디지털 전환, 개인화된 미디어의 확산, 나아가 인공지능이 기사를 생산하는 이 시대에도 언론의 역할은 지속되어야 하고, 언론 위기를 타개할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009 머리말

023 1장 언론은 여전히 필요한가
024 — 1. 언론이란 무엇인가
028 — 2. 가치 있는 언론
041 — 3. 언론의 역할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주장
053 — 4. 소결: 언론은 여전히 필요하다

055 2장 언론의 위기
056 — 1. 언론 위기의 양상
063 — 2. 언론 위기에 대한 논의들
080 — 3. 언론의 정치적 편향성 인식
087 — 4. 소결: 언론 위기의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

091 3장 현장 속으로
092 — 1. 언론 현장의 의미
093 — 2. 뉴스 생산에 관한 기존 연구들
104 — 3. 현장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설계
108 — 4. 연구 방법의 보완
116 — 5. 소결: 현장 연구의 가능성, 한계, 그리고 보완

119 4장 뉴스 생산 과정
121 — 1. 뉴스 생산 공간
128 — 2. 뉴스 생산 주체 간의 상호작용
157 — 3. 종합적인 뉴스 생산 과정
164 — 4. 게이트키핑과 데스킹
185 — 5. 지면 편집
191 — 6. 소결: 긴밀하고 숨가쁜 협업으로서의 뉴스 생산 과정

195 5장 일선 기자
197 — 1. 일선 기자 동행 관찰
200 — 2. 동행 관찰 기록
244 — 3. 일선 기자 동행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256 — 4. 소결: 일선 기자들이 보여준 희망

261 6장 밀착 관찰 I: 사회부
263 — 1. 사회부 밀착 관찰
266 — 2. 밀착 관찰 기록
319 — 3. 사회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32 — 4. 소결: 시시포스적 헌신

335 7장 밀착 관찰 II: 정치부
337 — 1. 정치부 밀착 관찰
338 — 2. 밀착 관찰 기록
386 — 3. 정치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96 — 4. 소결: 데스크들이 주도하는 정치 뉴스 생산

401 8장 뉴스의 편집
404 — 1. 신문의 편집
406 — 2. 판별 지면 데이터 수집과 코딩
412 — 3. 판별 기사의 변화
429 — 4. 판별 기사 제목의 변화
437 — 5. 판별 사진의 변화
460 — 6. 판별 기타 이미지의 변화
464 — 7. 소결: 편집, 모든 것을 다시 훑는 작업

467 9장 추가 편집
470 — 1. 53판의 변화
488 — 2. 54판의 변화
493 — 3. 소결: 추가 편집, 집요한 사실 확인 과정

495 10장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497 — 1. 연구의 출발점: 언론의 가치, 언론의 위기, 학계의 역할
500 — 2. 언론 현장과 뉴스 생산 과정
516 — 3.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528 본문의 주
568 부록 ❶ 참여관찰 일정 및 주요 관찰 내용
551 참고문헌 ❷ 일자별로 수집한 데이터 유형
❸ 50판 분석용 코딩북
❹ 51/52/53/54판 분석용 코딩북
❺ 인용원 분석을 위한 코딩북

저자소개

윤석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서울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같은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다.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의 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으로 유학을 갔다가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로 옮겨 매스미디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면서 현실의 미디어 및 언론 정책에도 깊게 관여했다. 한국 사회 미디어 체계의 주요 현안들, 특히 미디어 다양성, 공정성, 사실성과 같은 규범적 가치들의 이론적 정립에 관심을 두고 『미디어 거버넌스: 미디어 규범성의 정립과 실천』(2020), 『미디어 공정성 연구』(2015) 등을 펴냈고, 그 가치들을 실천하는 차원에서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SNU 팩트체크 등의 설립을 주도하고 이끌었다. 2025년 현재는 저널리즘 연구에 몰두하면서, AI 시대 언론을 이끌 인력 양성의 산실이 될 저널리즘 스쿨 설립에 부심하고 있다.
펼치기
배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 영상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현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조사부에서 방송 정책에 관한 연구 및 조사 업무를 수행했으며, 문화방송 편성국에서 시청자 조사·분석, 공영방송 정책에 관한 자문, 대외 협력 업무 등을 담당했다. 2025년 현재 공주대학교 영상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 미디어 콘텐츠와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고 교육하면서, 동시에 한국언론학회 회장직을 수행 중이다.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방송미래발전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등의 활동을 통해 미디어 정책의 학술적 토대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 공적 책무성, 공정성, 다양성 등 미디어의 주요 가치를 실증적으로 연구해왔으며,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할 미디어의 책임과 역할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실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연구자들은 강박적일 만큼 연구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다. 조선일보로부터 뉴스 생산 현장 접근 및 자료 접근 차원의 승인을 받는 것은 불가피했지만, 연구자들은 그 외의 어떤 지원도 받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보텀업bottom-up 방식으로 현장의 사람들에게 접근해 말문을 트고, 차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는 식으로 라포르rapport를 쌓았다. 그 비용은 당연히 연구자들이 지불했다. 피관찰자들이 호의를 베푸는 경우도 있었지만, 상식선을 벗어난 경우는 없었다. - 머리말


연구자들은 뉴스 생산 과정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책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조선일보에 한정된 내용을 가능한 한 줄이고 언론과 언론인 집단 전체에 일반화할 수 있는 사실을 부각하려고 노력했다. … 이를테면 일선 기자들과 데스크의 집요한 사실 확인 노력, 유기적인 분업과 협업, 끊임없는 소통, 몸을 갈아넣는 헌신 등은 … “전 언론 차원의 사실들”이라고 믿는다. 연구진이 고심 끝에 이 책의 제목을 ‘조선일보 연구’가 아니라 ‘저널리즘 연구’라고 한 이유가 거기 있다.
- 머리말


부서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부의 공식적인 회의는 하루 세 번이다. … 회의는 사회부 바로 옆에 있는 테이블로 자리를 옮겨 10~20분 정도 짧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소통의 많은 부분은 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난다. 부서 단위에서 기사 아이템을 공유하는 Xcoop, 편집국 단위에서 지면 계획을 공유하는 일일보고(구글 독스), 기사를 데스킹하고 출고하는 아크Arc 시스템을 포함하여 다양한 규모의 단톡방(카카오톡, 슬랙, 텔레그램)이 온라인 소통의 수단이다.
- 6장 밀착 관찰 1: 사회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