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273338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5-02-27
책 소개
목차
009 머리말
023 1장 언론은 여전히 필요한가
024 — 1. 언론이란 무엇인가
028 — 2. 가치 있는 언론
041 — 3. 언론의 역할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주장
053 — 4. 소결: 언론은 여전히 필요하다
055 2장 언론의 위기
056 — 1. 언론 위기의 양상
063 — 2. 언론 위기에 대한 논의들
080 — 3. 언론의 정치적 편향성 인식
087 — 4. 소결: 언론 위기의 해법은 언론 현장에서 찾아야 한다
091 3장 현장 속으로
092 — 1. 언론 현장의 의미
093 — 2. 뉴스 생산에 관한 기존 연구들
104 — 3. 현장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설계
108 — 4. 연구 방법의 보완
116 — 5. 소결: 현장 연구의 가능성, 한계, 그리고 보완
119 4장 뉴스 생산 과정
121 — 1. 뉴스 생산 공간
128 — 2. 뉴스 생산 주체 간의 상호작용
157 — 3. 종합적인 뉴스 생산 과정
164 — 4. 게이트키핑과 데스킹
185 — 5. 지면 편집
191 — 6. 소결: 긴밀하고 숨가쁜 협업으로서의 뉴스 생산 과정
195 5장 일선 기자
197 — 1. 일선 기자 동행 관찰
200 — 2. 동행 관찰 기록
244 — 3. 일선 기자 동행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256 — 4. 소결: 일선 기자들이 보여준 희망
261 6장 밀착 관찰 I: 사회부
263 — 1. 사회부 밀착 관찰
266 — 2. 밀착 관찰 기록
319 — 3. 사회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32 — 4. 소결: 시시포스적 헌신
335 7장 밀착 관찰 II: 정치부
337 — 1. 정치부 밀착 관찰
338 — 2. 밀착 관찰 기록
386 — 3. 정치부 밀착 관찰이 말해주는 것들
396 — 4. 소결: 데스크들이 주도하는 정치 뉴스 생산
401 8장 뉴스의 편집
404 — 1. 신문의 편집
406 — 2. 판별 지면 데이터 수집과 코딩
412 — 3. 판별 기사의 변화
429 — 4. 판별 기사 제목의 변화
437 — 5. 판별 사진의 변화
460 — 6. 판별 기타 이미지의 변화
464 — 7. 소결: 편집, 모든 것을 다시 훑는 작업
467 9장 추가 편집
470 — 1. 53판의 변화
488 — 2. 54판의 변화
493 — 3. 소결: 추가 편집, 집요한 사실 확인 과정
495 10장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497 — 1. 연구의 출발점: 언론의 가치, 언론의 위기, 학계의 역할
500 — 2. 언론 현장과 뉴스 생산 과정
516 — 3. 현장으로부터의 성찰
528 본문의 주
568 부록 ❶ 참여관찰 일정 및 주요 관찰 내용
551 참고문헌 ❷ 일자별로 수집한 데이터 유형
❸ 50판 분석용 코딩북
❹ 51/52/53/54판 분석용 코딩북
❺ 인용원 분석을 위한 코딩북
리뷰
책속에서
실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연구자들은 강박적일 만큼 연구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다. 조선일보로부터 뉴스 생산 현장 접근 및 자료 접근 차원의 승인을 받는 것은 불가피했지만, 연구자들은 그 외의 어떤 지원도 받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보텀업bottom-up 방식으로 현장의 사람들에게 접근해 말문을 트고, 차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는 식으로 라포르rapport를 쌓았다. 그 비용은 당연히 연구자들이 지불했다. 피관찰자들이 호의를 베푸는 경우도 있었지만, 상식선을 벗어난 경우는 없었다. - 머리말
연구자들은 뉴스 생산 과정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책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조선일보에 한정된 내용을 가능한 한 줄이고 언론과 언론인 집단 전체에 일반화할 수 있는 사실을 부각하려고 노력했다. … 이를테면 일선 기자들과 데스크의 집요한 사실 확인 노력, 유기적인 분업과 협업, 끊임없는 소통, 몸을 갈아넣는 헌신 등은 … “전 언론 차원의 사실들”이라고 믿는다. 연구진이 고심 끝에 이 책의 제목을 ‘조선일보 연구’가 아니라 ‘저널리즘 연구’라고 한 이유가 거기 있다.
- 머리말
부서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부의 공식적인 회의는 하루 세 번이다. … 회의는 사회부 바로 옆에 있는 테이블로 자리를 옮겨 10~20분 정도 짧고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소통의 많은 부분은 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난다. 부서 단위에서 기사 아이템을 공유하는 Xcoop, 편집국 단위에서 지면 계획을 공유하는 일일보고(구글 독스), 기사를 데스킹하고 출고하는 아크Arc 시스템을 포함하여 다양한 규모의 단톡방(카카오톡, 슬랙, 텔레그램)이 온라인 소통의 수단이다.
- 6장 밀착 관찰 1: 사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