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6299134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6-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Ⅰ. 중국 청동기 역사의 기원 ………………………17
1. 역사의 시작… …………………………………………18
2. 청동기의 역사… ………………………………………19
Ⅱ. 중국 청동기의 특징… ………………………… 25
1. 청동기의 재료학적 성분… …………………………26
1) 동… …………………………………………… 28
2) 주석… ………………………………………… 28
3) 아연… ………………………………………… 29
2. 상·주 청동기의 형태기원 ………………………… 33
1) 자연기원설… ………………………………… 35
2) 인체기원설… ………………………………… 36
3) 기능기원설 … ………………………………… 36
4) 경험축적설… ……………………………………37
3. 청동기 문양의 기원 … …………………………… 38
1) 동물문양… ………………………………………47
2) 기하문양 ……………………………………… 54
3) 회화문양 ……………………………………… 58
4) 족휘문양 … …………………………………… 60
Ⅲ. 미학적 접근… …………………………………… 63
1. 개요 … …………………………………………… 64
2. 미학(美學)으로서의 이해……………………………69
3. 상징미학… ……………………………………… 80
1) 상·주 청동기의 문양상징… ………………… 82
(1) 알레고리 … ………………………………… 83
(2) 일루전… …………………………………… 102
(3) 스키마… …………………………………… 116
4. 기호미학… ………………………………………… 122
1) 개요 …………………………………………… 122
2) 기호미학의 생성과 전달……………………… 124
(1) 의미의 원천… ……………………………… 125
(2) 의미의 생성방식… ………………………… 133
(3) 의미의 구조 ………………………………… 135
(4) 의미의 맥락 … ……………………………… 136
(5) 의미의 통로 … ……………………………… 138
(6) 의미의 형태 … ……………………………… 141
5. 조형미학…………………………………………… 146
1) 개요… ………………………………………… 146
2) 조형미학의 요소… …………………………… 150
(1) 통일성 … …………………………………… 153
(2) 규모와 비례… ……………………………… 156
(3) 균형… ……………………………………… 161
(4) 선… ………………………………………… 163
(5) 형태 ………………………………………… 169
(6) 질감… ……………………………………… 211
(7) 원근법… …………………………………… 214
(8) 명도… ……………………………………… 218
(9) 색채… ……………………………………… 221
Ⅳ. 전통의 계승… …………………………………… 231
1. 상·주 청동기 예술의 계승 … …………………… 232
1) 도자공예(陶磁工藝)에서의 응용… …………… 232
Ⅴ. 청동기 감정이론… ……………………………… 245
1. 기본이론… ……………………………………… 249
1) 불완전성의 정리……………………………… 250
2) 불확정성의 원리……………………………… 252
3) 무죄추정의 원칙……………………………… 255
2. 세부감정기법……………………………………… 257
1) 기형…………………………………………… 258
2) 문양…………………………………………… 260
3) 명문…………………………………………… 260
4) 재질…………………………………………… 261
5) 주조 상태……………………………………… 262
6) 세월감………………………………………… 263
7) 문화인류학… ………………………………… 263
8) 미학…………………………………………… 264
3. 종합평가 … ……………………………………… 267
▣ 중국 청동기역사 연대표… ………………………………… 270
▣ 그림출처 목록… …………………………………………… 271
▣ 참고문헌… ………………………………………………… 276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서는 미학, 예술, 역사, 고고학, 물리학, 건축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때문에 학문 간 융합이나 복합의 개념도 일부분 표현하였다. 이것은 중국의 고대 청동기를 연구함에 있어서 학제적(學際的, interdisciplinary)인 방법론이 필요함을 절감하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청동기의 감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이나 기준이 없어서 개인의 경험이나 육감에 의존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한 폐단이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본서에서는 감정이론의 기준으로 “불완전성의 정리”와 “불확정성의 원리”, 그리고 “무죄추정의 원칙”을 제안하였으며 총 8개 항목의 구체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