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68367692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3-03-09
책 소개
목차
서문 4
제1장 중국 도자기의 탄생
1. 역사 21
2. 도자기 생산의 흐름 23
홍도紅陶 23
채도彩陶 24
흑도黑陶 26
백도白陶 27
인문경도印紋硬陶 28
원시자기原始瓷器 29
제2장 중국 도자기의 문화적 특성
1. 역사성 35
2. 기술성 37
3. 독창성 40
4. 다양성 42
민족적 다양성 42
지역적 다양성 43
시대적 다양성 45
조형적 다양성 45
철학적 다양성 47
5. 세계성 49
제3장 미학적 접근
1. 미학이란 무엇인가? 53
2. 상징미학이란 무엇인가? 56
알레고리(allegory) 59
일루전(illusion) 61
스키마(Schema) 62
3. 미의 인식 64
미학자들의 미에 대한 관점 65
제4장 중국 상징의 역사
1. 중국의 상징 발생 시기 75
2. 중국 도자기의 상징 발생 배경 78
중국 철학의 태동 79
상징의 관념화 80
태고유형(집단무의식)으로서의 상징 82
제5장 중국 도자기의 상징 문양
1. 중국 도자기 상징 문양의 기원 87
2. 청동기에 표현된 상징 문양 91
동물 문양 91
기하 문양 98
회화 문양 102
족휘族徽 문양 103
3. 중국 도자기에 표현된 상징 문양 106
상징의 개념화 과정 106
상징의 표현 종류 108
제6장 중국 도자기의 상징 문양 사례
사례 01 오채규룡양이유개대향로 「五彩虯龍兩耳有蓋大香爐」 120
상징 문양 : 수형樹形문자, 용, 봉황, 동전, 파도, 목단, 기하 문양, 사자, 여의두문, 여의주, 회문
사례 02 팔선과해도팔릉오채매병 「八仙過海圖八陵五彩梅甁」 139
상징 문양 : 팔선, 구슬, 기하 문양, 구름, 서왕모, 반도원, 익수룡, 사자, 천마, 백택, 보조 문양
사례 03 남지길상문다호 「藍地吉祥紋茶壺」 159
상징 문양 : 복숭아, 연꽃, 매화, 국화, 나뭇잎, 사자, 박쥐, 물고기, 나비, 우산, 보병, 동전, 파도문, 동전, 금덩이, 매듭, 수壽자 등
사례 04 백자분채다호 167
상징 문양 : 수석, 장미꽃, 대나무, 메추라기, 평안
사례 05 어조문청화백자완 「魚藻紋靑花白磁碗」 169
상징 문양 : 금붕어, 수초, 금옥만당
사례 06 청화오채절연대반 「靑花五彩切沿大盤」 171
상징 문양 : 화훼문, 오동나무, 목단, 수석, 봉황, 청화오채, 절연반
사례 07 금병매소재문素材紋 분채병 176
상징 문양 : 금병매 소재문양, 서문경, 반금련, 이병아, 방춘매, 오월랑 등
사례 08 희보춘선분채관粉彩罐(항아리) 177
상징 문양 : 매화나무, 까치, 목단, 희보춘선, 희보조춘, 희보평안
사례 09 청화백자방형향로 「靑花白磁方形香爐」 178
상징 문양 : 전지련 문양(연꽃), 파도문, 관직, 자손 번성
사례 10 청화백자빙매준氷梅樽 180
상징 문양 : 매화, 설중매, 학자, 은일
사례 11 잉어그림항아리 182
상징 문양 : 잉어, 수초, 어란魚卵(물고기 알), 자손번성, 목단
사례 12 배추문양분채항아리 184
상징 문양 : 배추, 메뚜기, 자손 번성, 백채, 백재百財
사례 13 십이지간十二地干문양 매병 186
상징 문양 : 십이지간,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방위
사례 14 청화백자범문개관 「靑花白瓷梵文蓋罐」 188
상징 문양 : 범문, 당초문, 연꽃, 구름, 파도문, 홍치황제
사례 15 여의농주쌍용문쌍극이병 「如意弄珠雙龍紋雙剋耳甁」 191
상징 문양 : 여의농주, 오조룡, 쌍극이병
사례 16 청화오채신수문관神獸紋罐 193
상징 문양 : 신수神獸, 목단, 호랑이, 사령四靈, 방위, 계절
사례 17 삼국지소재문素材紋분채병 198
상징 문양 : 삼국지, 유비, 조조, 손권, 조자룡, 간뇌도지肝腦塗地, 나관중
사례 18 청화유리홍산수문매병 「靑花琉璃紅山水紋梅甁」 201
상징 문양 : 유리홍, 팔대산인, 매병, 산수문, 부벽준, 피마준
사례 19 봉문반 「鳳紋盤」 204
상징 문양 : 봉황, 잡보문雜寶紋, 관탑민소
사례 20 원숭이조형도장 208
상징 문양 : 원숭이, 배배봉후(輩輩封侯)
사례 21 금붕어문양사두渣頭 209
상징 문양 : 금붕어, 사두, 금옥만당, 평안함, 여유
사례 22 서왕모수성노인문양병 西王母壽星老人紋樣甁 211
상징 문양 : 서왕모, 수성노인, 복숭아, 반도, 반도원, 곤륜산, 남극성
사례 23 쌍희자문청화백자차통 「雙喜字紋靑花白磁茶筒」 215
상징 문양 : 쌍희자雙喜字, 식물 줄기 문양, 기쁨, 자손 번성
사례 24 오채화훼문장군관 「五彩花卉紋將軍罐」 217
상징 문양 : 화훼문, 화창, 공작새(수대조), 기하문, 전지국화 문양, 수석, 수구문
사례 25 쏘가리문양옥호춘병 220
상징 문양 : 옥호춘병, 쏘가리, 궐어, 장원급제
사례 26 쌍희雙喜박쥐문양분채개관 221
상징 문양 : 박쥐, 쌍희, 복, 쌍복
사례 27 화중용청화오채완 「花中龍靑花五彩碗」 223
상징 문양 : 완碗, 용, 화중룡, 예서, 전지련, 연꽃, 연생귀자, 모란
사례 28 쌍룡농주문양대관 「雙龍弄珠紋樣大罐」 226
상징 문양 : 쌍룡雙龍, 농주弄珠, 장미꽃, 파도, 교자승천, 창룡교자, 구름, 비雨
사례 29 화조도백자병 「花鳥圖白磁甁」 231
상징 문양 : 산다화, 공작새(수대조), 춘광장수春光長壽, 애기 동백
사례 30 화조도花鳥圖법랑채매병 233
상징 문양 : 공작새, 목단, 수석, 산호, 법랑채
사례 31 삼고초려고사문양매병 「三顧草廬故事紋樣梅甁」 236
상징 문양 : 삼고초려, 제갈량, 유비, 관우, 장비, 출사표, 학우선
사례 32 장치구안문양병 「長治久安文樣甁」 240
상징 문양 : 장치구안, 매화, 까치, 매초, 미초, 희상미초
사례 33 수거모질문양항아리 242
상징 문양 : 고양이, 나비, 국화, 수거모질
사례 34 여의농주관음병 「如意弄珠觀音甁」 244
상징 문양 : 여의농주, 관음병, 용, 창룡
사례 35 자태양채백록쌍이준 247
상징 문양 : 백록, 해음비의, 복록, 복숭아, 영지버섯
사례 36 자태양채황지초엽화고 251
상징 문양 : 파초, 화고, 권초문, 잡보
사례 37 자태양채취지금상첨화삼원구여의옥환지추병 「磁胎洋彩翠地錦上添花三元九如玉環紙槌甁」 254
상징 문양 : 양채, 금상첨화, 삼원구여, 삼원, 구여의, 구여, 경쇠, 여의두, 물고기, 길경유여
사례 38 자태양채금상첨화다호 「磁胎洋彩錦上添花茶壺」 263
상징 문양 : 삼황제, 연꽃, 봉미형鳳尾形 식물 문양, 규룡, 여의, 자주색, 연판문
사례 39 용천요획화매석삼우집호 「龍泉窯劃花梅石三友執壺」 266
상징 문양 : 획화劃花, 초엽문, 회문, 전지국화, 매화, 소나무, 수석, 대나무
사례 40 청화죽석파초문옥호춘병 「靑花竹石芭蕉紋玉壺春甁」 268
상징 문양 : 초엽문, 권초문, 여의운두문, 기석, 대나무, 난간, 변형 연판문
사례 41 청화전지화훼문상병 「靑花纏枝花卉紋賞甁」 272
상징 문양 : 파도 문양, 여의운두문, 파초엽문, 회문 전지화훼문, 현문絃紋
사례 42 청화장량고사문양이벽병 「靑花張良故事紋兩珥壁甁」 275
상징 문양 : 벽병, 사자, 동전, 장량, 황석공, 하비교, 태공병법서, 유자가교孺子可敎
사례 43 청화쌍봉문포월병 「靑花雙鳳紋抱月甁」 280
상징 문양 : 보월병, 마괘병, 편호. 편국화문, 장미꽃, 봉황
사례 44 청화호로병 「靑花葫蘆甁」 283
상징 문양 : 호로병, 조롱박, 길상, 자손번창, 다산, 여의두문, 단룡團龍, 부자父子
사례 45 분채서왕모시녀헌초도합 「粉彩西王母侍女獻草圖盒」 286
상징 문양 : 서왕모, 태진왕부인, 새들의 여신, 소(牛), 곤륜산, 쑥艾(애), 길상초
사례 46 청화비룡문관 「靑花飛龍紋罐」 289
상징 문양 : 비룡, 잡보 문양, 파도문, 민요의 미학, 용의 특징
사례 47 용천요종식병 「龍泉窯琮式甁」 293
상징 문양 : 신인수면문, 청동기, 팔괘, 융합
제7장 중국 도자기 감정
1. 기본 개념 301
무죄추정의 원칙 302
2. 세부 감정기준 306
기형 306
문양 307
관지 309
제작 상태 310
세월감 311
출처 313
미학 315
3. 감정 기준에 의한 평가 317
정성적 평가 317
정량적 평가 319
후기 323
중국 도자기 역사 연대표 325
참고문헌 329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문魚紋은 각종 물고기 문양을 말한다. 호문虎紋은 호랑이 문양을 말한다. 조문鳥紋은 새 문양을 말한다. 보통 소조小鳥라는 작은 새와 대조문大鳥라고 하여 큰 새의 문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조는 주로 새의 측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대조는 대형 새를 말하며 머리에는 화관모花冠毛로 장식하였으며 꼬리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대조문은 봉황을 상상하여 만든 문양이라고 본다. 이러한 대조문은 서주 중기의 목왕穆王 시기에 많이 유행하였으며 머리 부분이 뒤를 돌아보는 기물이 많다. 우문牛紋은 소를 나타내는 문양이다. 상문象紋은 코끼리를 나타내는 문양이다. 구문龜紋은 거북이를 나타내는 문양이다.
그림을 자세히 보면 여동빈은 거북이를 타고 건너며 종리권은 나뭇가지를 타고 있으며 철괴리는 쇠지팡이를 집고 호리병의 도술로 건너며 하선고는 나뭇잎을 타고 건너며 남채화는 잉어를 타고 건너가며 조국구는 소라(고동)를 타고 건너고 있다. 한상자는 두꺼비를 타고 건너며 장과로는 작은 나귀 같은 동물을 타고 건너고 있다. 그림은 나름 정교하고 팔선八仙 각자 내용도 상징적이며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팔선의 성립 배경에는 불교의 팔보八寶 사상 등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도교의 변천 과정에서 명明대에 이르러 드디어 도교의 신들이 대대적으로 새롭게 이미지를 일신하면서 명칭도 바꾸고 새로운 역할을 하는 신(신선)들이 대거 창조되었다.
뚜껑 상부를 다시 살펴보면, 위와 아래에서 박쥐가 날아오고 있는데 이것은 하늘과 땅에서 복이 날아온다는 ‘쌍복雙福’ 의미이다. 또한 상하와 중앙에는 복숭아가 2개씩 동서남북으로 모두 8개가 그려져 있다. 이것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박쥐는 복福을 의미하고 복숭아는 장수를 의미하므로 사방에서 복이 들어오며 어디로 가든 장수한다는 상징이다. 그리고 이렇게 복숭아와 박쥐가 많이 그려진 것을 중국인들은 ‘다복다수多福多壽’ 도안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