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방 농업의 이해

북방 농업의 이해

(4차 산업 시대에 생각해보는 식량과 기근의 문제)

서완수 (지은이)
북랩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0,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북방 농업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방 농업의 이해 (4차 산업 시대에 생각해보는 식량과 기근의 문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농업일반
· ISBN : 979116299142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5-30

책 소개

한반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등 북방 나라들의 농업 현황을 진단하고, 그를 통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식량 문제를 고찰하는 책이다. 떠들썩한 이슈들 속에서 우리가 잊고 있던 기근의 문제를 생각하게 해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중국의 농업

1. 농업 생산의 기초와 체제의 변천 16
가. 농업 기반 16
1) 농업지대의 구분 16 2) 수자원 18 3) 경지 19 4) 농촌 인구 20
나. 농업 체제의 변천 22
1) 인민공사 체제(人民公社體制) 23 2) 농가생산 도급책임제(農家生産都給責任制) 25
2. 농업 생산량의 변화 28
가. 1차 산업의 위상과 구성 28
나. 경종부문의 구조 변화 31
다. 원예작물 36
라. 축산물 생산과 소비량 39
3. 중국 농업 문제와 정책 방향 42
가. 삼농의 문제 42
나. 농민공의 문제 43
다. 도·농, 지역, 계층 간의 소득격차 47
라. 중국의 농촌 현대화와 향진기업 50
1) 농촌 현대화 정책 50 2) 향진기업(鄕鎭企業) 52
4.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55
가. 농업부문의 민감성과 타결 내용 55
나. 한·중 농산물 무역의 전망 59
5. 맺는 말 62
참고문헌 66

제2장 러시아의 농업

1. 러시아 연방의 개관 71
가. 러시아 연방의 성립 71
나. 러시아 연방의 행정구역 구성 71
다. 경제 74
2. 러시아의 농업 76
가. 러시아 연방 76
나. 극동 연방관구(Far Eastern Federal District) 85
3. 극동 연방관구 연해주의 농업 88
가. 연해주 농업의 자연환경 89
나. 농축산물 생산 90
4. 한국 농기업의 연해주 진출 96
가. 도전의 땅 연해주 96
나. 한국의 농기업 진출 97
다. 연해주 진출의 문제점 100
라. 한·러와 한·연해주 교역 현황 106
5. 맺는 말 110
참고문헌 115

제3장 몽골의 농업

1. 몽골의 농업환경과 경제기반 120
가. 자연조건 120
1) 기후 120
2) 토지의 이용 122
나. 몽골의 경제적 기초 123
다. 국제 경쟁력 125
2. 몽골의 농축산물 생산과 경영 및 유통 127
가. 농업 생산 127
1) 목축업 생산 128
2) 농작물 생산 132
나. 농축산물 경영 135
1) 목축업 135
2) 농산물 139
다. 농축산물의 유통 142
1) 축산물 142
2) 곡물과 채소 146
3) 축산물 가공 147
3. 한·몽 교역 동향 148
가. 일반 무역 148
나. 한·몽 농축산물 수출입 150
4. 몽골 농업 진출 가능성 152
가. 김치 제조업 152
나. 생태 관광상품의 개발 153
다. 물류창고업(농산물 저장) 154
라 사료사업(농후사료, 건초사업) 155
5. 맺는 말 156
참고문헌 160

제4장 북한의 농업

1. 농업 생산 자원 164
가. 자연환경 165
나. 토지 자원 167
다. 노동력 171
2. 식량 생산과 부족의 실상 175
가. 자연재해 175
나. 식량 생산 177
다. 축산물 생산 182
라. 공산체제의 붕괴 184
마. 주체농법 186
3. 식량 부족의 원인과 개선책 189
가. 제도적인 원인 189
나. 투입재의 부족 192
다. 재배 기술의 상대적 후진성 196
라. 농지기반 조성과 관개시설 복구 200
4. 맺는 말 203
참고문헌 206

제5장 한국의 해외농업 개발현황과 문제점

1. 해외 농업개발의 필요성 210
가. 우리나라 식량작물 생산과 수입 211
나. 세계 주요 곡물의 수확면적과 생산량 216
다. 곡물의 국제무역과 국내도입 219
라. 국제 곡물가격의 동향 222
2. 해외 농업 진출의 현황 225
가. 북방아시아 229
나. 동남아시아 232
다. 중앙아시아 237
라. 기타지역 238
3. 진출지역 농업개발의 문제점 240
가. 투자국과 기지국과의 토지 임차관계 240
나. 해외생산의 농산물 도입 243
4. 맺는 말 245
참고문헌 249

부록: 세계의 역사적 기아에 관한 기록과 조선왕조의 대기근

1. 기근(飢饉)의 원인과 측정 254
가. 기근과 기아(饑餓)의 정의 254
1) 자연적인 재해 254
2) 물리·인위적 원인 256
나. 기근의 측정: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GHI) 256
2. 세계의 역사적 기근에 관한 기록들 260
가. 세계의 역사적인 기근 260
1) 아일랜드(Ireland) 대기근 260
2) 우크라이나(Ukraine)의 홀로도모르(Holodomor) 264
3) 중국 허난성(河南省) 대기근 266
4) 마오쩌둥(毛澤東)의 대약진 운동(1958~1962) 269
5)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 공방전 271
6) 일본의 에도(江戶) 4대 기근 273
나. 세계의 주요 기근 발생 연표 274
3. 조선왕조의 기록적인 기근 278
가. 경신 대기근 278
나. 을병 대기근 279
4. 맺는 말 283
참고문헌 288

저자소개

서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광역시 강화도에서 출생했다. 인천고를 마치고 서울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농촌진흥청 연구공무원으로 공채되어 243개월 재직하였다(농업연구관). 1965년 덴마크에 파견되어 선진 농업훈련을 받았으며 국제미작연구소(IRRI)의 지원으로 필리핀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쳤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학위 과정을 밟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 이후에는 관동대학교에서 재직하였으며(학장) 농업경제학과 통계학 등을 강의하였다. 2003년 퇴직 후에는 몽골 울란바토르대학에서 한국경제론을 가르쳤다. 2004년 이후에는 북방농업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화담집’(편저), ‘기초통계학’(공저), ‘북방농업의 이해’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 나라의 수준을 가늠해 보는 기준으로 그 나라의 박물관, 시장과 농촌을 꼽는다. 이곳들을 둘러보면 주민들의 과거 역사와 현재, 그리고 생활 수준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20세기의 기근은 그 이전의 기근과 양상이 다르다. 1900년 이전에는 주로 흉작이나 재화(災禍) 때문에 기근이 생겼지만, 최근 100여 년 동안의 기근은 전쟁, 그리고 정치이념으로 인해 발생했다.


한국의 2016년 식량 자급률은 23.8%에 불과하다. 곡물 도입량은 16,165천 톤, 금액으로 4,337백만 달러로 약 5조 원이나 된다. 옥수수, 밀, 콩의 수입이 주축을 이룬다. 평화를 구가하는 시기에 돈이 있으면 식량은 수입하면 된다는 말은 맞다. 그러나 전쟁, 무역마찰, 기타 요인이 발생할 경우 식량의 수출입은 자유롭지 않으며, 비교 우위의 무역 편익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식량 부족이나 절량(絶糧)이 ‘핵폭탄’보다 더 무서운 무기라고 주장한다면 지나친 과장인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299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