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6299338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9-28
책 소개
목차
서문 - 4
Ⅰ. 제사상 진설도
1. 설 차례상 진설도 - 14
2. 추석 차례상 진설도 - 15
3. 단위제 제사상 진설도 - 16
4. 양위합제 제사상 진설도 - 17
Ⅱ. 제사상 차리는 법
1. 제사상 놓는 법 - 20
2. 제사상 차릴 때 유의점 - 22
Ⅲ. 지방 쓰는 법
1. 지방 쓸 때 참고 사항 - 28
2. 대(代)와 세(世)의 기준 - 29
3. 지방 - 31
Ⅳ. 제사 축문 쓰는 법
1. 제사(祭祀) 축문 구절별 해석 - 36
2. 祭祀(제사) 축문 작성 시 유의점 - 37
3. 제사(祭祀) 축문 - 38
Ⅴ. 제사 지내는 순서
1. 제사 지내는 방법 - 72
Ⅵ. 명절 차례 축문
1. 차례의 의미 - 78
2. 설 차례 축문 - 80
3. 설 차례 축문 한자 해설 - 82
4. 추석 차례 축문 - 84
5. 추석 차례 축문 한자 해설 - 86
6. 설의 유래 - 88
7. 추석의 유래 - 89
8.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 90
Ⅶ. 묘제 축문 쓰는 법
1. 산신제 축문 - 92
2. 산신제 축문 한자 해설 - 94
3. 묘제 축문(관직 있는 경우) - 96
4. 묘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있는 경우) - 98
5. 묘제 축문(관직 없는 경우) - 100
6. 묘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없는 경우) - 102
Ⅷ. 시제 축문 쓰는 법
1. 시제 축문(관직 있는 경우) - 106
2. 시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있는 경우) - 108
3. 시제 축문(관직 없는 경우) - 110
4. 시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없는 경우) - 112
Ⅸ. 항렬 정하는 방법 및 촌수와 호칭
1. 항렬 정하는 방법 - 116
2. 친족의 촌수와 가족의 호칭 - 120
Ⅹ. 산악회 시산제
1. 시산제(산신제) 지내는 법 - 124
2. 산악회 시산제(산신제) 축문 1 - 130
3. 산악회 시산제(산신제) 축문 2 - 133
4. 산행 시 유의할 점 - 135
ⅩⅠ. 상량문 쓰는 방법
1. 상량문의 의미와 뜻 - 141
2. 상량문 - 143
3. 상량식 상 차리기 - 145
4. 주택 상량식(住宅 上梁式) 한자 축문 - 147
5. 주택 상량식 한자 축문 해설 - 149
6. 주택 상량식 한글 축문 - 150
7. 회사 상량식(會社 上梁式) 축문 - 152
8. 아파트 상량식 축문 - 154
9. 주택 상량식 - 156
10. 주택 상량대(마룻대) 올리기 - 157
11. 아파트 상량식 진행 요령 - 158
ⅩⅡ. 전통예절에서 기본이 되는 것들
1. 한국의 효 사상 - 162
2. 삼강(三綱) - 164
3. 오륜(五倫) - 165
4. 주자십회(朱子十悔) - 166
ⅩⅢ. 조선의 왕들
1. 국호가 고려였을 때 - 170
2. 국호를 조선으로 변경한 후 - 171
3.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174
4.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계보 - 175
5. 기타 참고 사항 - 193
ⅩⅣ.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1. 역대 대통령들 - 208
2. 역대 대통령권한대행들 - 210
ⅩⅤ. 좋은 이름 짓는 방법
1. 좋은 이름 지을 때 고려할 점 - 214
2. 작명 방법 - 216
ⅩⅥ. 알아두면 편리한 사항들
1. 증여세 절약하는 방법 - 220
2. 도로명 주소 정하는 규칙(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 - 223
3. 주민등록번호 정하는 규칙 - 224
4. 자동차 번호판 번호 정하는 방식 - 225
5. 자동차 응급조치법 - 227
6. 도로 표지판과 도로 번호 정하는 방식 - 228
7. 도량형 환산표 - 230
8. 변환표(단기, 서기, 불기, 공기) - 232
9. 세계 3대 종교 - 233
10. 당구에 대한 상식 - 234
11.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명언 - 236
12. 17개 시·도 지역 시외전화번호 - 238
참고문헌 - 239
책속에서
그러나 『주자가례』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전통예절이 오늘날 우리의 현실과 일부 어긋나는 면이 있다는 이유로 어떤 사람들은 전통예절을 까다롭고 번거롭게 생각합니다. 심지어 전통예절이 세대 간의 갈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통예절은 예(禮)와 효(孝)를 숭상하는 우리나라의 가족제도를 발달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자가례(朱子家禮)』, 『상례비요(喪禮備要)』, 『사례편람(四禮便覽)』 등 옛 예서에는 조율시이, 홍동백서 등의 과일 놓는 순서가 나와 있지 않다고 합니다. (중략) 이와 같이 문헌으로 고증해 볼 때 과일의 진설 순서나 필수 과일로 굳어진 조율시이, 홍동백서 등은 나중에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게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해 보면 자손들이 조상의 제사상에 삼색 나물을 올리는 것은 자손(녹색: 잎)이 조상(흰색: 뿌리)의 음덕과 부모(검은색: 줄기)의 은혜를 입어서 집안이 크게 번창하기를 바라는 소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