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사와 축문

제사와 축문

하태완 (지은이), 박수애 (그림)
북랩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7,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100원 -10% 550원 9,440원 >

책 이미지

제사와 축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사와 축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6299338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09-28

책 소개

진양 하씨 종가의 장손이 지은 책이다. 제사 지내는 법을 몰라 막막하였을 때, 아무도 알려 주지 않았고 정리된 책을 찾을 수도 없었다. 종가가 아니라도 제사를 지내는 집이 여전히 존재할 텐데, 왜 제대로 설명된 책 하나 없는지 안타까웠다. 그래서 직접 유학자들에게 조언을 듣고 책을 꾸렸다.

목차

서문 - 4

Ⅰ. 제사상 진설도
1. 설 차례상 진설도 - 14
2. 추석 차례상 진설도 - 15
3. 단위제 제사상 진설도 - 16
4. 양위합제 제사상 진설도 - 17

Ⅱ. 제사상 차리는 법
1. 제사상 놓는 법 - 20
2. 제사상 차릴 때 유의점 - 22

Ⅲ. 지방 쓰는 법
1. 지방 쓸 때 참고 사항 - 28
2. 대(代)와 세(世)의 기준 - 29
3. 지방 - 31

Ⅳ. 제사 축문 쓰는 법
1. 제사(祭祀) 축문 구절별 해석 - 36
2. 祭祀(제사) 축문 작성 시 유의점 - 37
3. 제사(祭祀) 축문 - 38

Ⅴ. 제사 지내는 순서
1. 제사 지내는 방법 - 72

Ⅵ. 명절 차례 축문
1. 차례의 의미 - 78
2. 설 차례 축문 - 80
3. 설 차례 축문 한자 해설 - 82
4. 추석 차례 축문 - 84
5. 추석 차례 축문 한자 해설 - 86
6. 설의 유래 - 88
7. 추석의 유래 - 89
8.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 90

Ⅶ. 묘제 축문 쓰는 법
1. 산신제 축문 - 92
2. 산신제 축문 한자 해설 - 94
3. 묘제 축문(관직 있는 경우) - 96
4. 묘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있는 경우) - 98
5. 묘제 축문(관직 없는 경우) - 100
6. 묘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없는 경우) - 102

Ⅷ. 시제 축문 쓰는 법
1. 시제 축문(관직 있는 경우) - 106
2. 시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있는 경우) - 108
3. 시제 축문(관직 없는 경우) - 110
4. 시제 축문 한자 해설(관직 없는 경우) - 112

Ⅸ. 항렬 정하는 방법 및 촌수와 호칭
1. 항렬 정하는 방법 - 116
2. 친족의 촌수와 가족의 호칭 - 120

Ⅹ. 산악회 시산제
1. 시산제(산신제) 지내는 법 - 124
2. 산악회 시산제(산신제) 축문 1 - 130
3. 산악회 시산제(산신제) 축문 2 - 133
4. 산행 시 유의할 점 - 135

ⅩⅠ. 상량문 쓰는 방법
1. 상량문의 의미와 뜻 - 141
2. 상량문 - 143
3. 상량식 상 차리기 - 145
4. 주택 상량식(住宅 上梁式) 한자 축문 - 147
5. 주택 상량식 한자 축문 해설 - 149
6. 주택 상량식 한글 축문 - 150
7. 회사 상량식(會社 上梁式) 축문 - 152
8. 아파트 상량식 축문 - 154
9. 주택 상량식 - 156
10. 주택 상량대(마룻대) 올리기 - 157
11. 아파트 상량식 진행 요령 - 158

ⅩⅡ. 전통예절에서 기본이 되는 것들
1. 한국의 효 사상 - 162
2. 삼강(三綱) - 164
3. 오륜(五倫) - 165
4. 주자십회(朱子十悔) - 166

ⅩⅢ. 조선의 왕들
1. 국호가 고려였을 때 - 170
2. 국호를 조선으로 변경한 후 - 171
3.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174
4.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계보 - 175
5. 기타 참고 사항 - 193

ⅩⅣ.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1. 역대 대통령들 - 208
2. 역대 대통령권한대행들 - 210

ⅩⅤ. 좋은 이름 짓는 방법
1. 좋은 이름 지을 때 고려할 점 - 214
2. 작명 방법 - 216

ⅩⅥ. 알아두면 편리한 사항들
1. 증여세 절약하는 방법 - 220
2. 도로명 주소 정하는 규칙(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 - 223
3. 주민등록번호 정하는 규칙 - 224
4. 자동차 번호판 번호 정하는 방식 - 225
5. 자동차 응급조치법 - 227
6. 도로 표지판과 도로 번호 정하는 방식 - 228
7. 도량형 환산표 - 230
8. 변환표(단기, 서기, 불기, 공기) - 232
9. 세계 3대 종교 - 233
10. 당구에 대한 상식 - 234
11.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명언 - 236
12. 17개 시·도 지역 시외전화번호 - 238

참고문헌 - 239

저자소개

하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는 심천(深川)이다. 광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김포 대곶초등학교와 통진초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했다. 허준박물관 해설사와 서울 식물원 자원봉사자 회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6년에 녹조근정훈장을 수상했으며, 1994년과 2000년에 교육부장관표창장을 받았다. 기타 표창장 및 상장을 48회 수상했다. 공모전에서 입상한 실적 ① 바르게 살기 수기 공모전(일반부 장려상, 1993년, 국민일보사장상 & 바르게 살기 운동중앙협의회장상) ② 제12회 자연보호 활동 수기 공모전(일반부 우수상, 1993년, 내무부장관상) ③ 제1회 팔당호 보전 생활 수기 공모전(입상, 1994년, 한강환경관리청장상) ④ 제4회 좋은 책 읽기 경시대회 응모전(독서 지도 교사상, 1995년, 동아출판사 좋은책읽기추진위원회위원장상) ⑤ 제2회 독서대상 공모전(특별상, 1995년, 운평문화재단이사장상) ⑥ 독서 지도사례 공모전(가작, 1996년, 사단법인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회장상) ⑦ 제2회 전국 환경보전 생활 수기 및 연구논문 공모전(교사부문 은상, 1997년, 웅진코웨이주식회사대표이사장상) ⑧ 교육현장 수범사례 수기 공모전(가작, 2000년, 교육부장관표창장)
펼치기
박수애 (그림)    정보 더보기
민화 작가. 호는 가홍佳紅이다. 고려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했고, 경희대학교 관화민화실기전문지도자 과정을 마쳤으며, 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의 민화/궁중화 과정을 수료했다. K국제민화협회의 이사로 있으며, (사)한국민화학회, (사)한국민화협회, (사)민화진흥협회의 회원이다. 《뉴질랜드투데이》의 민화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러나 『주자가례』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전통예절이 오늘날 우리의 현실과 일부 어긋나는 면이 있다는 이유로 어떤 사람들은 전통예절을 까다롭고 번거롭게 생각합니다. 심지어 전통예절이 세대 간의 갈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통예절은 예(禮)와 효(孝)를 숭상하는 우리나라의 가족제도를 발달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자가례(朱子家禮)』, 『상례비요(喪禮備要)』, 『사례편람(四禮便覽)』 등 옛 예서에는 조율시이, 홍동백서 등의 과일 놓는 순서가 나와 있지 않다고 합니다. (중략) 이와 같이 문헌으로 고증해 볼 때 과일의 진설 순서나 필수 과일로 굳어진 조율시이, 홍동백서 등은 나중에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게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해 보면 자손들이 조상의 제사상에 삼색 나물을 올리는 것은 자손(녹색: 잎)이 조상(흰색: 뿌리)의 음덕과 부모(검은색: 줄기)의 은혜를 입어서 집안이 크게 번창하기를 바라는 소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