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316135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0-10-23
책 소개
목차
1부: 책을 발간하며
추천사
기획의도
2부: 시대의 대학 언론이란?
1950년대 6·25 전후 대학 저널리즘의 태동
1960년대 4·19와 좌절된 민주주의
1970년대 유신과 긴급조치 시대의 대학 언론
1980년대_1 사월에서 오월까지, 그때 핀슨 홀에서
1980년대_2 80년 광주와 연세춘추
1980년대_3 87년 6월 항쟁, 이한열과 민주화
1980년대_4 학원 자율화와 연세춘추
1990년대 전반 우리는 곧 무너질 것들만 그리워했다
1990년대 후반 세기말, X세대, 불탄 종합관과 연세춘추의 어느 좋았던 시절
2000년대 대학, 언론, 대학 언론의 위기
2010년대 이후 21세기의 대학, 대학 언론의 좌표
3부: 대학 언론의 위기, 그 명제에 매몰되지 않으려면
연세춘추동인회 주관 대학 언론 좌담회
맺음말
부록
역대 신문방송 편집인
역대 주간교수
역대 편집국장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학신문은 사회문제에 크게 개입하지 않는 것이 당시 추세였다. 그러나 한때 조금 특별한 특집으로 연세춘추가 곤욕을 치른 사건이 있었다. 바로 5·16 이후 1년 뒤에 진행된 ‘혁명 공약대로 민정이 이양되겠는가’에 대한 앙케트다.
이는 연세대학교 학생들과 이화여대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앙케트를 진행했던 특집이었다. 당시 취재부장이었던 나 그리고 김성효 군이 앙케트 면을 담당하고 있었다. ‘혁명 공양대로 민정이 이양되겠는가’라는 질문에 ‘아니다’라는 부정적인 답변이 우세했으며, 한편으로는 다행히 아무도 신경 쓰지 않고 조용히 지나가나 싶었다. 그러나 일본 재팬타임스에서 문제가 되었다. 앙케트의 결과가 일본에서 공개가 되었고, 일본 주일대표부에 있던 공보관이 해당 결과를 확인하면서 역으로 연락이 온 것이다. 사람들이 들이닥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 ‘4·19와 좌절된 민주주의’ 중에서
문동만의 시 중에 「사월이 오월에게」라는 것이 있는데, 80년대 초의 상황은 딱 그랬다. ‘겹겹이 포개어진 사월과 오월 사이’에는 우리가 모르는 것들이 겹겹이 포개어져 있었다. 우리가 겪은 최초의 시위는 4·19 무렵이었다. ‘독재타도!’의 구호가 두 음절도 채 목구멍을 넘어오기 전에 교정 가득 앉아있던 사복경찰들이 입을 틀어막았다. 그리고 그들이 무차별적으로 던진 사과탄이 파편과 함께 날아다녀 치마 입은 여학생들의 다리가 피로 물들었다. 인문학관 대형강의실에도 사과탄이 터져 매캐한 연기로 가득차기도 했다. 우리는 처음 본 공권력의 막강한 무력에 압도되었다. 그리고 그 주말 조선일보 외간실에 모인 우리는 주간 교수의 매서운 눈초리와 선배들의 침묵에 다시 압도되었다. 발언권이 없는 예비수습이라고는 하지만, 엄연히 벌어진 사건인 시위를 1단 기사로도 쓸 수 없다는 사실에 우리는 절망했다. 1980년 신문처럼 그 자리를 여백으로 남기자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그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사월에서 오월까지, 그때 핀슨 홀에서’ 중에서
붉은색 플러스펜으로 첨삭한 원고를 여러 차례 반복해 고쳐 쓰다 보면, 밤 9시를 넘겨서야 오케이(OK) 사인이 떨어졌다. 백양로를 함께 걸어 신촌으로 내려온 우리는 ‘백두갈비’에서 막걸리에 늦은 저녁을 먹거나 ‘만미투’, ‘원투쓰리’에서 맥주를 들이켜다 지하철 막차 시간에 맞춰 귀가하곤 했다. 아쉬울 때면 돈 모아 술을 산 뒤 ‘은하장’, ‘성일여관’ 등에 방을 잡거나, 학교에 올라가 새벽까지 마신 뒤 학생회관 아무데서나 잠을 잤다.
취재부장은 종종 큰 소리로 우리들의 원고 한 대목씩을 읽어준 뒤 공개 면박을 주곤 했다. “유치하고 조악하기 짝이 없는 이 문장은 대체 누구 것이냐?” 쓰고 고치고 베껴 쓰기를 서너 차례 반복하는 이 과정은 극도의 모멸감을 견디는 훈련이기도 했다.
- ‘우리는 곧 무너질 것들만 그리워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