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학 2

교육학 2

이병기 (지은이)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학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학 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722403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4-12-25

책 소개

『가람 이병기 전집』은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다. 2014년 4월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간행 사업이 2024년 12월 『가람 이병기 전집』 총 30권으로 완성되었다.

목차

문학독본 상文學讀本 上 •11
백제百濟의 가요歌謠 •17
청산별곡靑山別曲 •21
서경별곡西京別曲 •23
일출日出 •26
남북풍진南北風塵 •30
홍길동 •32
해협海峽의 로맨티시즘 •37
태보泰輔의 죽음 •41
혈血의 누淚 •45
압록강鴨綠江 •50
홍원저조洪原低調 / 계곡溪谷 •56
화홍문華虹門 •58
조침吊針 •62
백설부白雪賦 •65
그믐달 •71
한중록恨中錄 •73
가는 길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78
도강록渡江錄 •80
재강 •88
기음 노래 •94
이화춘풍李花春風 •98
강아지 •104
관동별곡關東別曲 •107
명기名妓 창唱 •115
소상瀟湘 팔경八景 •117
낙빈가樂貧歌 •119
군악軍樂 •121
야담野談 2제二題 •122
기철奇轍의 무리 •126
조선朝鮮 소설사小說史 서설序說 •132
표준 옛글 •145
1. 訓民正音(훈민정음)에서 •151
2.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서 •153
3. 한중록에서 •158
4. 옛 시조 (1) (시대 모름) •165
5. 춘향전春香傳에서 •169
6. 옛 시조 (2) (고종 이전, 영조 이후) •177
7. 심청전沈淸傳에서 •181
8. 토끼전에서 •188
9. 옛 시조 (3) (현종 숙종 시대) •194
10. 흥부전興夫傳에서 •197
11.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에서 •203
12. 옛 시조 (4) (인종 효종 시대) •209
13. 홍길동전洪吉童傳에서 •213
14. 太平詞(태평사) •218
15. 옛 시조 (5) (선조 시대) •222
16. 續美人曲(속미인곡) •226
17. 思美人曲(사미인곡) •229
18. 옛 시조 (6) (선조 시대) •232
19. 關東別曲(관동별곡) •236
20. 옛 시조 (7) (명종 이전, 중종 이후) •243
21. 感君恩(감군은) •247
22. 賞春曲(상춘곡) •249
23. 杜詩諺解(두시언해)에서 •251
24. 옛 시조 (8) (연산 이전, 단종 이후) •262
25. 月印釋譜 序(월인석보 서)에서 •265
26. 月印千江之曲(월인천강지곡)에서 •267
27. 釋譜詳節 序(석보상절 서) •270
28. 釋譜詳節(석보상절)에서 •271
29. 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에서 •273
30. 옛 시조 (9) (태종 이전, 고려 말) •280
31. 靑山別曲(청산별곡) •284
32. 西京別曲(서경별곡) •287
33. 가시리 •289
34. 鄭石歌(정석가) •290
35. 動動(동동) •292
36. 鄭瓜亭(정과정) •296
37. 思母曲(사모곡) •297
38. 相杵歌(상저가) •298
39. 維鳩曲(유구곡) •299
40. 井邑詞(정읍사) •300
41. 願往生(원왕생) 노래 •301
붙임[간단한 주해] •303

[부록] 26권 교육학 Ⅱ 상세목록 •395

저자소개

이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조 시인이며 시조 부흥 운동을 주도한 시조 학자이자 국문학자였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는 1891년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유교적인 가풍 속에서 자라난 그는 고향 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했고 1906년 18세의 나이에 광산 김씨 집안의 수(洙)와 결혼했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한성사범학교를 입학한 이병기는 1912년 조선어 강습원에서 주시경 선생의 조선어 문법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13년 한성사범 졸업 후 남양, 전주제2, 여산공립보통학교의 훈도로서 교사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고문헌을 수집하고 주석 작업을 하던 이병기는 1921년 권덕규, 임덕재 등과 조선어연구회를 발기하고 간사직을 맡아 조직을 이끌었다. 1926년 영도사에서 시조회를 발기해 민족 문학을 보급하는 데 앞장섰다. 1930년 이후 한글맞춤법통일단 제정위원과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피검되었다.1943년 기소유예로 출감한 이병기는 귀향해 농업에 종사했다. 해방 후 다시 상경해 군정무 편수관으로 피임되어 활동 중 1946년 서울대 문리과대학교수로 부임했고, 다음 해 단국대학, 신문학원, 예술대학에서, 1948년 동국대, 국민대, 숙명여대 등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가 전주 명륜대학, 전북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지내다 1952년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56년 전북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맞이한 이후에도 중앙대, 서울대 등에서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57년엔 ≪우리말 큰사전≫이 간행되었으나 기념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뇌일혈이 일어나 이후 고향에서 요양했다. 학술원 공로상(1960), 전북대 명예문학박사학위(1961), 문화포상(1962) 등을 받았다. 10여 년을 병마와 싸우다 향년 78세인 1968년 고향 집 수우재(守愚齋)에서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