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425138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01-1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역량 있는 교사들의 역량 교육 실천 이야기”를 읽고
-이혁규, 온정덕, 장경원, 김희수, 황석수, 박재휘, 권향례
서문 : 역량을 키우는 ‘6년의 배움’을 만들기까지
1부_왜 역량을 가르쳐야 하는가
1. 미래 사회와 역량
2. 역량 교육 동향
3. 역량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
4. 역량 교육이 어려운 까닭
5. 학교에서 역량을 교육하려면
2부_역량 교육을 어떻게 설계할까
1. ‘6년의 배움’의 준비
2. ‘6년의 배움’ 설계
3. ‘6년의 배움’ 교수학습 방법
4.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교육과정 ‘6년의 배움’
3부_기초소양을 어떻게 키울까?
1. 삶을 바꾸는 힘, 문해력
2. 수학의 진짜 힘, 수리력
3. 사고와 도구의 힘, 디지털 소양
4부_핵심역량을 어떻게 키울까?
1. 스스로를 키우는 힘, 자기 관리 역량
2. 생각하는 힘, 고차적 사고 역량
3. 마음의 힘, 심미적 감성 역량
4. 함께 하는 힘, 공동체 역량
부록
1.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기초소양)
2. 기초소양별 역량 잣대
3.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핵심역량)
4. 핵심역량별 역량 잣대
저자소개
책속에서
구미봉곡초등학교는 경북에 소재한 경북미래학교이다. 이 학교 교사들의 실천은 지난 10여 년 동안 혁신 교육으로 불려온 전국의 많은 학교가 이루어낸 성과들을 이어받고 있다. 민주적이고 소통적인 리더십, 교사의 전문학습공동체, 교육과정 중심 학교 문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수업 혁신, 업무지원팀을 통한 행정 업무 경감 등이 그런 모습이다. 이것은 문화적 맥락의 차이는 있지만,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공교육 혁신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이기도 하다.
학교가 무엇을 가르칠 것인지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수준에서 성취기준을 통해 정하고 있다. 문제는 가르쳐야 할 성취기준이 교과별로 분절되어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가르치는 세상이 분절되어 있지 않은데 교육과정은 세상을 가르치기 위해서 학생들의 배움을 쪼개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배움은 세상과 다르게 교과별로 분절된 결과를 낳게 된다. 어떤 사람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융합수업으로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융합수업의 성취기준 또한 교과를 벗어나지 못한다. 학생들이 교과의 개별적인 지식이나 기능, 가치를 습득하는 것만으로 예측 불가능하고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갈 수 있을까? 당장 눈앞의 시험 결과를 넘어서 이후의 삶을 준비할 힘을 갖게 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교육부는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정의 가장 우선적인 중점으로 정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역량 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러 교과를 학습하는 데 기반이 되는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 등을 기초소양으로 정하고 교과에 반영하도록 강조한 점이나, 교과 교육 방향과 성격에 대한 개념적 틀에 기초하여 핵심역량을 체계화한 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선언적인 역량 제시 방식에서 진일보하였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