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5031732
· 쪽수 : 115쪽
· 출판일 : 2022-11-29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 3
제1장 자궁(子宮: Wombs)의 사회적 퇴화 / 9
1. 초(超)저출생의 심화 __ 9
2. 출산장려정책의 실효(失效) __ 13
3. 출산하지 않는 자궁 __ 18
제2장 페미니즘의 재생산 논의 / 25
1. 성(性)의 본질: 생식과 쾌락의 이중주 __ 25
2. 사회적 몸: 아기 낳는 기계 · 모성 · 어머니 노릇 __ 29
3. 재생산권: 모성권-건강권 논의 __ 34
제3장 출산정책의 변천: 국가주의(Statism)에서 의료화(Medicalization)로 / 39
1. 국가 주도 출산 억제기: 1960~1990년 __ 39
2. 불임 의료산업 확산기: 1990년대 __ 43
3. 급격한 출생률 하락기: 2000년대 __ 47
제4장 조용한 거부, 분출하는 저항 / 51
1. 소리 없는 거부 __ 51
2. 저항적 실천행위의 실제 __ 55
3. 재생산의 또다른 욕망: 아기창조 __ 64
제5장 인공자궁기술(AWT)의 탄생과 ELSI 논의 / 67
1. 인공자궁기술(AWT)의 개념과 기술체계 __ 67
2. 인공자궁기술(AWT)의 기원과 역사적 발전 __ 70
3. 인공자궁기술(AWT)을 둘러싼 ELSI 논의 __ 79
제6장 ‘맞춤아기 시대’의 도래와 성찰적 전망 / 95
1. 생식의 외주화: 출산해방인가, 위험한 아기창조인가 __ 95
2. 재생산노동에 대한 시사점 __ 98
3. 성찰적 전망: 건강한 ‘사회적 자궁’을 소망하며 __ 100
참고문헌 및 자료 / 102
찾아보기 / 112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명은 무조건 존엄하다. 하지만 그 생명이 놓이는 환경, 그 생명과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상황 또한 무조건 중요하다. 태어날 생명뿐만 아니라 그 생명과 연결될 사람들의 안녕과 행복이 서로의 존엄을 규정하기 때문이다(책머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