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5032098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23-08-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마을공동체: 개념과 의미의 역사
1. 마을과 공동체 · 15
2. 공동체와 지역사회 · 22
3. 마을공동체: 개념과 특성 · 27
4. Village ‘Communities’로서 마을공동체 · 34
제2장 리빙랩의 등장과 발전
1. 리빙랩의 기원과 역사 · 41
2. 리빙랩의 이론적 정의 · 46
3. 리빙랩의 특징과 행위자 · 50
4. 리빙랩의 다양한 유형 · 59
5. 리빙랩의 방법론 · 68
제3장 마을리빙랩: 사회혁신의 기제
1. ‘마을리빙랩’ 용어의 등장 · 86
2. 마을리빙랩의 개념 및 특성 · 90
3. 마을리빙랩의 필요성·중요성 · 96
제4장 리빙랩 대상으로서 마을공동체
1. 마을의 구조와 기능 · 104
2. 마을의 일상과 문화 · 108
3. 사회적 행위와 관계의 유형 · 110
4. 마을의 환경과 역사 · 114
제5장 마을리빙랩의 실험과정
1. 사전 자료조사: 마을리빙랩 ‘실험이슈’의 발굴 · 120
2. 자료 수집조사: ‘실험 (후보)의제’ 관련 데이터 수집 · 122
3. 공론화와 직접투표 의례: ‘실험이슈’의 의제화·선정 · 132
제6장 마을리빙랩의 솔루션 실행체계
1. 실험의제의 솔루션 탐색 · 144
2. 실험의제의 솔루션 지원체계 · 150
3. 실험의제의 솔루션 실행 · 160
제7장 지속가능한 마을리빙랩
1. 마을리빙랩의 과제 · 168
2. 마을리빙랩의 새로운 패러다임 · 176
<부록> · 187
<참고문헌 및 자료> · 195
<찾아보기> · 20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익숙하고 원래 그런 것처럼 자연화된 것들 속에도 모순과 문제는 숨어있다. 우리가 좋다고 인정하고 수용했기 때문에 우리의 모든 상황이 지금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마을과 지역사회도 마찬가지이다. 어쩔 수 없어서 그렇게 고착되어 버린 구조들, 사람들과의 기계적인 관계, 매너리즘에 빠져 동력을 잃어버린 하루하루의 일상. “늘 반복되는 일상과 변화 없는 공간, 맨날 보는 똑같은 사람들. 좀 바꾸고 싶은데, 다 아는 우리 마을에서 뭐 새로운 일이 있겠어?” 이러한 의구심은 일종의 ‘마을 소외’ 현상이다
(책머리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