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허발과 실발

허발과 실발

(한국성리학의 '리발' 이해)

김승영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허발과 실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허발과 실발 (한국성리학의 '리발'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65033101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리발’의 자의에서 리와 발이 어떻게 철학적 개념어로 발전했는가를 먼저 탐색한다. 그리고 주희의 리발 개념에서 출발해 이황, 이이 등 조선 성리학자들의 해석을 거쳐 현대 학자들의 논의까지 아우르며, 리발에 대한 한국 성리학의 독창적 이해를 조명한다.

목차

1장. 왜 ‘리발’이 문제인가? 15
1. 성리학의 ‘리발’ 문제 17
2. 지금까지의 ‘이황 독법’에 대하여 26
3. ‘허발’ 과 ‘실발’이란 무엇인가? 36

2장. ‘리’·‘발’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43
1. ‘리’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45
① 리와 천·천명·천리 50
② 리와 도·도기 56
2. ‘발’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64
① 발과 동정 65
② 발과 체용 72

3장. 주희성리학의 ‘허발’과 ‘실발’ 79
1. 주희성리학의 ‘허발’ 86
① 리의 존재성 : ‘무위’ 86
② ‘리유동정’에서 문제의 소재 : ‘동정’ 91
③ ‘리생기’에서 ‘생’자의 논리적 의미 98
2. 주희성리학의 ‘실발’ 103
① 리의 존재성 : ‘창생·생생’ 103
② 사단의 리발 : ‘실발’ 108

4장. 이황성리학의 ‘실발’ 125
1. 존재론의 ‘실발’ 128
① ‘실발’의 리 129
② ‘리생기’에서 ‘생’자의 생성론적 의미 136
③ 리유동정과 리의 체용 142
2. 심성론의 ‘실발’ 150
① ‘발’·‘수’·‘승’의 조합을 통한 실발의 논리체계 150
② ‘실발’의 논리 162
3. 인식론의 ‘실발’ 171
① 주희의 격물치지설 : ‘즉물궁리’ 171
② 이황의 격물치지설 : ‘주체적 진리탐구’ 177
③ 리도 : ‘인식대상과 주체의 관계’ 183

5장. 이이성리학의 ‘허발’ 189
1. 리기론의 ‘허발’ 193
① 리의 존재성 : ‘리기지묘’ 193
② 천리의 유행 : ‘기발리승’ 202
③ 리통기국에서 리의 ‘허발’ 215
2. 심성론의 ‘허발’ 224
① 현상적 존재 : ‘기질지성’ 224
② 기발의 한 측면 : ‘인심도심’ 228
③ 기발리승에서 ‘허발’의 논리 233
3. 지각론의 ‘허발’ 240
① 지각론의 구조와 체계 240
② 지각에서 ‘허발’의 논리 246
③ 지각의 궁극적인 경지 : ‘진지’ 251

6장. 이황학파의 ‘실발’ 257
1. 이황 직계 계열의 ‘리발’ 이해 261
2. 이익의 ‘리발’ 이해 : ‘리발기수일로’ 293
3. 이진상의 ‘리발’ 이해 : ‘리발일도’ 303

7장. 이이학파의 ‘허발’ 313
1. 이이 직계 계열의 ‘리발’ 이해 : ‘기발리승일도’ 316
2. 이재 계열의 ‘리발’ 이해 : ‘리위기주’ 345
3. 이단상 계열의 ‘리발’ 이해 : ‘도리지저현’ 362

8장. 성혼학파의 ‘소발’ 379
1. 성혼의 ‘리발’ 이해 : ‘리기일발’ 382
2. 박세채의 ‘리발’ 이해 : ‘사성의 직출’ 393
3. 정제두의 ‘리발’ 이해 : ‘생리’ 398

9장. 현대학자들의 ‘리발’ 이해 417
1. ‘리발’ 해석의 출발점 : ‘발’ 421
2. ‘리발’을 ‘실발’로 보는 견해 430
3. ‘리발’을 ‘소발’로 보는 견해 446
4. ‘리발’을 ‘허발’로 보는 견해 454

10장. 한국철학사에서 ‘리발’의 의의 463
1. 글의 요약 465
① ‘리발’ 논의를 위한 성리학적 근거 466
② 이황의 ‘리기호발’과 이이의 ‘기발리승일도’ 468
③ 이황·이이 이후 ‘리발’ 이해의 전개 471
④ ‘리발’에 대한 현대학자들의 견해 475
2. ‘리발’의 의의와 남은 과제 478
3. ‘리발’ 해석의 전망 482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 487

저자소개

김승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 안동에서 출생하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박사과정 을 수료 한 후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성리학관련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충남대학교에서 강의 중이다. 충남대학교 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우암연구실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동서철학회 인산학술상을 수상하였다(2016년).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로 다수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서로는 『한국성리학의 인식과 실천』과 몇 권의 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주희의 리 개념 에 나타난 다층적 의미」, 「이황 미발론의 구조와 성격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최근 관심분야는 인간 내면의 심층심리에 관 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황 미발론 연구』를 출간 준비 중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황은 조선유학의 분수령이다. 한국성리학은 이황이 제안한 ‘리발’에 대한 해석사라 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리발을 정점으로 여러 갈래의 학파들이 형성되고, 각 학파는 저마다의 논리로 리발에 대응했기 때문이다.

실발이란 리발의 실제(실정)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리발의 실제란 리가 실제로 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했다는 것은 발동이든 발사이든, 발현이든, 발출이든, 발용이든, 현현이든 간에 모두가 실제로 발했다는 사실을 말한다. 리발이 인간의 정감이나 감정에 관한 것이라면, 감정이 발출되어 드러나는 것이 실발이다. 이는 실제적 감정이 발출된 것이기에 발을 어떻게 표현하든 간에 ‘실제 사건’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