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65033101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1장. 왜 ‘리발’이 문제인가? 15
1. 성리학의 ‘리발’ 문제 17
2. 지금까지의 ‘이황 독법’에 대하여 26
3. ‘허발’ 과 ‘실발’이란 무엇인가? 36
2장. ‘리’·‘발’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43
1. ‘리’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45
① 리와 천·천명·천리 50
② 리와 도·도기 56
2. ‘발’자의 형성과 철학적 전개 64
① 발과 동정 65
② 발과 체용 72
3장. 주희성리학의 ‘허발’과 ‘실발’ 79
1. 주희성리학의 ‘허발’ 86
① 리의 존재성 : ‘무위’ 86
② ‘리유동정’에서 문제의 소재 : ‘동정’ 91
③ ‘리생기’에서 ‘생’자의 논리적 의미 98
2. 주희성리학의 ‘실발’ 103
① 리의 존재성 : ‘창생·생생’ 103
② 사단의 리발 : ‘실발’ 108
4장. 이황성리학의 ‘실발’ 125
1. 존재론의 ‘실발’ 128
① ‘실발’의 리 129
② ‘리생기’에서 ‘생’자의 생성론적 의미 136
③ 리유동정과 리의 체용 142
2. 심성론의 ‘실발’ 150
① ‘발’·‘수’·‘승’의 조합을 통한 실발의 논리체계 150
② ‘실발’의 논리 162
3. 인식론의 ‘실발’ 171
① 주희의 격물치지설 : ‘즉물궁리’ 171
② 이황의 격물치지설 : ‘주체적 진리탐구’ 177
③ 리도 : ‘인식대상과 주체의 관계’ 183
5장. 이이성리학의 ‘허발’ 189
1. 리기론의 ‘허발’ 193
① 리의 존재성 : ‘리기지묘’ 193
② 천리의 유행 : ‘기발리승’ 202
③ 리통기국에서 리의 ‘허발’ 215
2. 심성론의 ‘허발’ 224
① 현상적 존재 : ‘기질지성’ 224
② 기발의 한 측면 : ‘인심도심’ 228
③ 기발리승에서 ‘허발’의 논리 233
3. 지각론의 ‘허발’ 240
① 지각론의 구조와 체계 240
② 지각에서 ‘허발’의 논리 246
③ 지각의 궁극적인 경지 : ‘진지’ 251
6장. 이황학파의 ‘실발’ 257
1. 이황 직계 계열의 ‘리발’ 이해 261
2. 이익의 ‘리발’ 이해 : ‘리발기수일로’ 293
3. 이진상의 ‘리발’ 이해 : ‘리발일도’ 303
7장. 이이학파의 ‘허발’ 313
1. 이이 직계 계열의 ‘리발’ 이해 : ‘기발리승일도’ 316
2. 이재 계열의 ‘리발’ 이해 : ‘리위기주’ 345
3. 이단상 계열의 ‘리발’ 이해 : ‘도리지저현’ 362
8장. 성혼학파의 ‘소발’ 379
1. 성혼의 ‘리발’ 이해 : ‘리기일발’ 382
2. 박세채의 ‘리발’ 이해 : ‘사성의 직출’ 393
3. 정제두의 ‘리발’ 이해 : ‘생리’ 398
9장. 현대학자들의 ‘리발’ 이해 417
1. ‘리발’ 해석의 출발점 : ‘발’ 421
2. ‘리발’을 ‘실발’로 보는 견해 430
3. ‘리발’을 ‘소발’로 보는 견해 446
4. ‘리발’을 ‘허발’로 보는 견해 454
10장. 한국철학사에서 ‘리발’의 의의 463
1. 글의 요약 465
① ‘리발’ 논의를 위한 성리학적 근거 466
② 이황의 ‘리기호발’과 이이의 ‘기발리승일도’ 468
③ 이황·이이 이후 ‘리발’ 이해의 전개 471
④ ‘리발’에 대한 현대학자들의 견해 475
2. ‘리발’의 의의와 남은 과제 478
3. ‘리발’ 해석의 전망 482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 48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황은 조선유학의 분수령이다. 한국성리학은 이황이 제안한 ‘리발’에 대한 해석사라 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리발을 정점으로 여러 갈래의 학파들이 형성되고, 각 학파는 저마다의 논리로 리발에 대응했기 때문이다.
실발이란 리발의 실제(실정)를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리발의 실제란 리가 실제로 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했다는 것은 발동이든 발사이든, 발현이든, 발출이든, 발용이든, 현현이든 간에 모두가 실제로 발했다는 사실을 말한다. 리발이 인간의 정감이나 감정에 관한 것이라면, 감정이 발출되어 드러나는 것이 실발이다. 이는 실제적 감정이 발출된 것이기에 발을 어떻게 표현하든 간에 ‘실제 사건’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