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역 학음집

국역 학음집

윤춘년 (지은이), 김윤조, 이지안, 황동권 (옮긴이), 이종한 (감수)
계명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역 학음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역 학음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5160739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1-02-18

책 소개

조선 중기의 관료 학자인 윤춘년(1514~1567)의 목판본 문집이다. 정치의 일선에서 을사사화를 일으킨 윤원형의 소윤 세력에 가담하여 비난을 받기도 하였지만, 다양한 서적을 편찬, 간행하는 등 출판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기도 하다.

목차

역자 서문 • 007
일러두기 • 010

▸국역 학음집 -『학음집』에 붙여 • 017
▸학음집(學音集) • 019
▸율시(律詩) • 062
▸절구(絶句) • 073
▸잡저(雜著) • 083
▸추당소록(秋堂小録) • 167
▸부록(附錄) • 182

▸學音集 - 學音集跋 • 193
▸學音集 • 194
▸律詩 • 204
▸絶句 • 207
▸雜著 • 210
▸秋堂小録 • 241
▸附錄 • 248

『학음집』해제 • 251
찾아보기 • 266

저자소개

윤춘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윤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와 성균관대 대학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고전번역원의 연구 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한국고전번역원, 2020, 공역), 『학음집』(계명대학교 출판부, 2021,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황동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영덕군 영해 출신으로 안동대학교, 경북대학교를 거쳐 계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한문학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과 한국학호남진흥원에서 번역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남학파 문학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18세기 경주의 문인과 문학』(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계암일록』(공역), 『경설유편』(공역), 『허암유고』(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팔우헌 조보양의 <의한부>에 대하여」, 「『연암집』 교감과 여러 이본의 평어에 대한 고찰」(공저), 「병곡 권구의 균부론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안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와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한문학 전공)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 부설 한문연수원을 졸업하고,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 『송재집(松齋集)』(2018, 한국국학진흥원, 공역), 『해창집(海窓集)』(2019, 한국국학진흥원,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한 (감수)    정보 더보기
1958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1981년 계명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1983년과 1992년에 서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 석사와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계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몸담아 지금 중국어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0년 국립 타이완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 1997년과 2017년 미국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와 이스턴미시간대학교(Eastern Michigan University)에서 연구 교수를 역임했다. 일찍이 시로써 시를 논한 비평 양식에 관심을 기울여 우리나라 중국 문학계 최초로 시로써 시를 논한 ‘논시시(論詩詩)’라는 특수한 비평 양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논시시의 가장 전형적인 체재인 ‘논시 절구(論詩絶句)’를 중심으로 그 기원과 역사적 전개 과정 및 특징 등을 탐색해 〈역대 논시 절구 연구(歷代論詩絶句硏究)〉(서울대학교 문학 석사 학위 논문, 1983) 등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던 중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 당시 우리나라 중국 문학계의 연구가 시가 장르 일변도로 편중되어 있음을 문제점으로 진단하고, 연구가 크게 미진한 산문 장르로 관심을 돌려 한유(韓愈)를 중심으로 해당 연구에 착수했다. 그 성과로 나온 《한유 산문의 분석적 연구》(1992)는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의 산문 분야 제1호 박사 학위 논문으로 자리매김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유가 우리나라에 어떻게 전승되고 평가되었는지를 탐색해, 그 연구 성과를 타이완과 중국 학계에 알리는 노력을 시도했다. 즉, 우리나라의 한유 산문의 예술적 성취에 대한 평가를 타이완의 ‘제5회 중국 수사학 국제 학술 대회’(2003)에서 발표하고 〈韓國如何評論韓愈散文的藝術成就〉라는 논문을 《수사논총(修辭論叢)》 제5집(2003)에 게재한 것을 시작으로, 중국 차오저우시(潮州市)에서 열린 ‘2009 한유 국제 학술 대회’에서 한유 시문의 우리나라 전파 시기와 과정 및 배경에 대해 발표하고 〈韓愈詩文在韓國的傳播時期·過程和背景〉이라는 논문을 《저우커우사범학원 학보(周口師範學院學報)》 제33권 제1기(2010)에 게재했으며, 한유가 유학 방면에서 거둔 성취에 대한 우리나라에서의 평가를 베이징에서 열린 제1회 중국 경전의 해외 전파 문제를 다룬 국제 학술 대회에서 발표하고 〈韓國如何評論韓愈在儒學上的成就〉(2015)라는 논문을 대회 논문집(2016)에 게재했다. 그리고 난해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 한유의 산문 작품을 모두 우리말로 번역하고 상세한 해설과 주석을 붙였다. 그 작업은 한국연구재단의 ‘2007년 명저 번역 지원 사업’의 지원 아래 진행되어 《한유 산문 역주》(2012)라는 다섯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는데, 그 성과가 높이 평가되어 ‘201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로 선정되었다. 2020년에는 현전하는 세계 최초의 실록인 한유의 《순종실록(順宗實錄)》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상세한 주석을 붙여 《당 순종실록 역주》로 출간했는데, 그 책은 한국대학출판협회 ‘2020 올해의 우수 학술 도서’로 선정되었다. 한유를 위시한 중국 산문 연구 성과가 타이완과 중국 학계에서 높은 관심과 평가를 받아 두 곳의 권위 있는 학술지와 언론에 소개되었다. 즉, 중국 산문 연구의 권위자인 국립 타이완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의 옌루이팡(顔瑞芳) 교수가 《한유 산문 역주》를 중심으로 한 성과를 〈韓愈在韓國〉이라는 제목으로 《국문천지(國文天地)》 제29권 제6기(2013)에 소개했고, 중국 송대(宋代) 산문 연구의 권위자로 중국산문학회 부회장인 화둥사범대학(華東師範大學)의 훙번젠(洪本健) 교수가 〈韓國李鍾漢敎授和他的韓愈硏究〉라는 제목으로 《저우커우사범학원 학보》 제33권 제1기(2016)의 ‘한유 연구’ 전란에 게재했다. 그리고 2009년 중국 차오저우에서 논문 발표를 할 때, 그 지역의 대표 방송국과 신문사에서 취재하고 상세한 내용을 TV 방송과 신문에 소개하기도 했다. 이 밖에 2011년부터 매주 한 번씩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장자 읽기’ 세미나를 주도해 인문학 분야뿐 아니라, 사회 과학, 자연 과학, 공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들과 함께 《장자(莊子)》의 원전을 완독한 뒤, 《한비자(韓非子)》 읽기로 이어 학제 간 소통과 융합 연구도 도모해 오고 있다. 학술 연구 외에 계명대학교에서 학과장, 교무부처장, 명교생활관(기숙사)관장, 인문대학학장, 통번역대학원장, 기획정보처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지금은 동산도서관장을 맡아 학문과 대학의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Lee Jonghan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and Chinese Studies, College of Humanit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Keimyung University and Director of Dongsan Library. He is interested in the study of Chinese prose, including the works of Han Yu, as well as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His publications include The Prose Works of Hanyu: A Korean Translation with Annotations (5 volumes, selected as an outstanding publication by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s in 2013).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