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Julie Stern, Nathalie Lauriault, Krista Ferraro (지은이), 임유나, 한진호, 안서헌, 이광우 (옮긴이)
박영스토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91165192372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지식과 학습에 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왜 학습하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가르치며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통찰을 제공하는 책이다. 또한 학습할 만한 교육내용과 타당한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목차

감사의 글 / i
추천의 글 / ii
서문 / iv
역자 서문 / viii
들어가며 / xv

1장 개념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필수 요소들/3

1. 지식과 이해 4
2. 지식의 구조 7
3. 과정의 구조 11
4. 시너지를 내는 사고 13
5. 단원 설계 16
6. 단원 설계에서의 도전 과제 24
7. 명백한 전이: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궁극적 목표 29

2장 개념적 학습을 위한 교실/39

1. 지적 엄격성으로 아이들을 존중하기 39
2.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토대 세우기 45
3. 개념적 학습에 대해 분명하게 가르치기 53
4. 반복 학습의 힘 63

3장 개념기반 수업을 위한 전략/75

1. 학생의 사전 이해로부터 시작하기 75
2. 새로운 개념 도입하기 82
3. 개념기반 교육을 나타내는 두 단어: 발견과 전이 88
4. 발견: 개념적 탐구 사이클 91
5. 수단이자 목적으로서의 전이 96
6. 학사력의 예 100
7. 개념적 사고, 기능 연습, 암기 및 복습의 균형잡기 102

4장 개념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도구/109

1. 수업 프레임워크 #1. 탐구 학습 110
2. 수업 프레임워크 #2. 가설 생성과 검증 113
3. 수업 프레임워크 #3. 복잡한 과정을 위한 워크숍 모델 118
4. 수업 프레임워크 #4. 프로젝트기반 학습 123
5. 수업 프레임워크 #5. 학생 맞춤형 학습 131

5장 개념적 이해를 위한 평가 설계/141

1. 개념기반 교실의 네 가지 평가 원리 142
2. 총괄평가 과제 설계 144
3. 형성평가 과제 설계 153
4. 효과적인 피드백의 힘 157
5. 학생 자기평가 및 목표 설정 160
6. 목표를 가시화하기 위한 도구 162
7. 학습 여정에서 학생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164
8. 유치원 시기의 관찰, 대화 및 시범 165

6장 개념기반 교실에서의 형평성/171

1. 교사의 기대치와 관계의 중요성 174
2. 목표, 수업, 활동, 평가의 명료성 178
3. 데이터 수집과 분석 181
4. 학생 맞춤형 교실의 구현과 관리 183
5. 포용적 교실을 위한 팁 187
6. 평등한 교실을 위한 교사 성찰 188

7장 개념적 이해가 학습의 지속에 미치는 영향/193

1. 호기심과 도전정신을 약화하는 요인 193
2. 사회·정서적 지능 형성을 위한 개념적 이해의 활용 196
3. 독립성 함양과 내적 동기 부여 201
4. 학생의 열정 키우기 206
5. 자기 인식과 주도성을 함양하기 위한 전략 210

8장 학교의 변화 상상해 보기/219

참고문헌 / 225
색인 / 232

저자소개

Julie Stern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사 교육자이자 수업 코치로 4개 대륙에서 수업과 학습을 혁신하고 있는 학교들을 지원한다. 그녀는 학교가 학생들이 현재 우리가 어떻게 해결할지 모르는 문제들을 다룰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곳으로 변화하도록 돕는 데 열정적이다. Julie는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공인된 강사이며, H. Lynn Erickson 박사의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인증 기관에서 전문가로 근무했다. 그녀는 James Madison 헌법학자이며 북동부와 그녀의 고향인 루이지애나에서 수년간 사회학을 가르쳤다. 그녀는 인재개발협회의 코칭과 변화 관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검증된 마스터 트레이너이다. Julie는 이전에 워싱턴 DC의 Cesar Chavez Public Charter Schools에서 공공 정책 및 교육과정 혁신 부서의 책임자로 재직하면서 6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모든 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주도했다. 그녀는 George Washington University와 Loyola University New Orleans에서 사회학 및 심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외교관인 남편, 어린 두 아들과 함께 워싱턴 DC에 거주하고 있다. 2013년에 Julie는 Krista Ferraro, Juliet Mohnkern과 함께 Education to Save World(www. edtosavetheworld.com)를 공동 설립했다. 이 단체는 보다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우며 건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각 교과의 개념과 기능을 유연하게 적용해야 하는 실세계 문제들을 중심으로 학습이 조직되는 학교교육의 비전을 가진 단체이다. 이들의 여름 워크숍은 전 세계 교사와 리더들이 참여하여 21세기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업과 학습의 혁신 방법에 대해 협력하게 한다.
펼치기
Nathalie Lauriault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교사이다. 그녀는 30년간 교직에 있으면서 주로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교실 환경에서 어린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전문으로 해왔다. 최근 그녀는 교육부로부터 교사 학습 리더십 프로그램을 위한 보조금을 받아 그녀의 교실에서 개념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전에 그녀는 Toronto French School에서 IB 초등 프로그램(Primary Years Programme) 코디네이터로 일했으며, 발표자이자 컨설턴트로서 미주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of America)에 관여했다. 또한, H. Lynn Erickson의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녀는 University of Guelph에서 이학 학사 학위를, 캐나다 Queens University에서 교육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Krista Ferraro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매사추세츠주 브레인트리에 있는 Thayer Academy의 역사과 부장이다. 그녀는 사회 정의와 시민 교육에 열정적이다. 이전에 그녀는 워싱턴 DC에 있는 Chavez Schools의 역사 교사이자 공공 정책 및 교육과정 혁신 부서의 부부장을 역임했으며, 그곳에서 학생들이 미국 헌법 지식에 관한 ‘DC We People National Invitational’ 대회에서 우승하도록 계속해서 이끌어 왔다. Krista는 2006 Teach for America의 단원으로 교육 분야에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녀는 Cornell University에서 미국학 및 스페인어 학사 학위를, American University에서 교수법 석사 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안서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천초등학교 교사 전) 강릉남산초, 동화초, 소초초 교사, 강원도교육연구원 파견교사 [학력]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초등교육학(교육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교육과정학(박사수료) [저서 및 연구]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역) (2022)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2021) 온·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의 기초학력 지원 및 격차 해소 방안 연구(2021) 인공지능 활용 초등수학수업 지원시스템 확대·적용 방안 연구(2019~2021) 등
펼치기
임유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서울금동초, 서울금산초 교사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과정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초등과학교육)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개념적 이해와 전이를 위한 전략과 도구(2022) 교실로ON 유형별 최신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2021-22)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2023)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과제(2022) 개념적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 연계·통합의 가능성과 과제(2024) 등 다수 교육부 장관 표창(국가 교육과정 유공자) 대구교육대학교 표창(사도학술상, 강의우수상)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박사학위 최우수 논문상 미래형 교육과정, 교육과정 정책, 국가 교육과정 기준 연구 개발, 개념기반 교육, 역량기반 교육, IB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펼치기
한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시흥장현초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경인교대, 단국대, 성신여대 등 강사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학(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학(석사)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학사) 저서 및 연구실적 「개념기반 수업, 이렇게 한다」 공저(202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공역(2022) 국가 교육과정, NCIC, 교육과정 자율화, 창의적 체험활동, IB PYP, 개념기반 교육과정, 학생 주도성, 기초소양 등의 주제로 KCI 등재 학술지 게재, 교육과정의 개발과 이해, 교육과정 정책 등에 관심을 가짐.
펼치기
이광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교과서본부장, 고교학점제지원센터장 역임 국가교육회의 중장기교육정책 전문위원회 전문위원 역임 [학력]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학사경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교육과정)경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과정) [저서 및 연구실적]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새로운 이해(공저)(2019) 미래형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2020)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 관련 연구(2017-2022) 등 다수 국가 교육과정 연구 개발, 미래형 교육과정, 핵심역량 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연계·융합 교육 등에 관심을 가짐.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