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정제영, 강지영, 강태훈, 김동호, 김준엽, 박소영, 박주형, 이상무, 이한종, 임효진, 조현명, 황지원 (지은이)
박영스토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374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3-01

목차

PART 1 학생 이해하기

CHAPTER 01 난 이렇게 우울한데 넌 어떻게 행복한 거니?(이한종)
1. 우울의 순기능과 역기능 4
2. 우울을 일으키는 생각 5
3. 인지 재구조화의 절차 9

CHAPTER 02 교육심리학의 개념은 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임효진)
1. 교육심리학 개념에 대한 관심 35
2. 교육심리학 개념을 적용할 때의 난점 40
3. 교육심리학을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 48

CHAPTER 03 그 학생은 무엇으로 사는가?(조현명)
1. 정체성의 추구와 ‘나’의 목소리 54
2. 거부의 의미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마음 61

PART 2 교실 수업 이해하기

CHAPTER 04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독일까 약일까?(강지영)
1.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왜 해야 할까? 78
2.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무엇이 문제일까? 79
3.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어떻게 해야 할까? 86

CHAPTER 05 수행평가는 미래 교육을 위한 평가가 될 수 있을까?(강태훈)
1. 수행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98
2. 수행평가 관련 주요 이슈별 현황 및 쟁점 102
3. 미래 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113

CHAPTER 06 학생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김동호)
1. 맞춤형 교육 시대의 도래 118
2. 에듀테크와 맞춤형 교육의 관계 119
3. 맞춤형 교육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 122
4.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교육과 관련된 쟁점들 145

CHAPTER 07 학생의 학업성취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김준엽)
1. 학업성취도의 개념과 유형 156
2. 학성성취에 대한 평가방식: 준거참조와 규준참조 159
3. 학업성취 평가의 실제 166
4. 생각해볼 문제 171

CHAPTER 08 조선시대 학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수업했을까?(이상무)
1. 김홍도의 ‘서당’에서 확인하는 전통적인 교육 방식 178
2. 향교의 등교 방식과 수업 방식 182
3. 성균관의 교육 방식 188
4. 역사적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보는 오늘날의 교육 방식 191

PART 3 학교와 정책 이해하기

CHAPTER 09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박소영)
1. 교사가 되는 과정 202
2. 교사로서의 입문 207
3. 교사의 삶 211
4. 교사의 성장 216
5. 사회의 변화와 교사의 미래 역량 220

CHAPTER 10 교육감이 바뀌면 교육정책이 바뀌는가?(박주형)
1. 교육감 선거의 의미 226
2. 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논란 227
3. 교육감의 권한과 그에 대한 견제 제도 230
4. 교육감과 시도교육정책 변화 234

CHAPTER 11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정제영)
1. 학교는 어떤 조직일까? 244
2. 학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는가? 246
3. 학교 조직의 문화는 어떠한가? 251
4.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256

CHAPTER 12 ‘개천용’은 왜, 어디로 사라졌을까?(황지원)
1. 교육현상을 사회적으로 본다는 것의 의미 270
2. 개천용은 정말로 줄어들었을까? 273
3.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될 두 개의 이론들 277
4. 교육을 사회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왜 필요할까 286

찾아보기 292

저자소개

임효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교육상담)를 마치고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에서 석사(교육상담)를 수료한 뒤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철학박사(교육심리학)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교육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의 교수이다. 「교육심리연구」, 「Learning & Instruction」 등 학술지의 편집위원을 담당하여 왔으며 그릿(Grit)과 내재동기, 목적, 열정의 내면화에 관심이 있다. 『교육심리학』(공저), 『생활지도학 개론』(공저), 『삶의 목적』(공역) 등의 저역서가 있다.
펼치기
정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부가 지정한 미래교육연구소장과 창의교육거점센터장을 맡고 있다. 제44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10여 년간 근무하여 사무관과 서기관으로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두루 경험한 바 있다. 교육정책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취학 기준일 변경 등 학제 개편 정책, 외고 등 특목고를 포함한 고교체제 개편 정책, 자기주도학습전형 도입 등을 담당하여 추진했다.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머신 러닝을 활용하여 학생 맞춤형 교육 시스템 개발 연구,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굴하고 개입하는 Early Warning System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챗GPT 교육혁명》,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 《AI 교육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AI융합교육개론》,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뉴 이퀼리브리엄》,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정책론》, 《교육정치학 이론과 적용》, 《한국의 교사교육》,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의 시대》 등이 있다.
펼치기
정제영의 다른 책 >
박주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Florida State University 교육행정학 박사(Ph.D)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펼치기
이상무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벌거벗은 한국사> '성균관' 편에 출연했습니다.
펼치기
박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대입제도연구실, 교육제도연구실, 고등국제비교연구실 등에서 근무했고,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과 교원양성센터장, 교육대학원 교학부장 등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입제도, 학교 효과, 교사교육, 교육ODA 등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지방교육자치』(공저, 2018),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공저, 2012), 『교육행정연구법』(공저,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강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Indiana University 교육과정 박사(Ph.D) 전)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원
펼치기
강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교육심리학(양적방법론) 박사(Ph.D) 전) 성신여대 교육혁신원장, CRESST/UCLA Senior Research Associate
펼치기
김준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UCLA에서 교육측정 및 평가, 사회연구방법론으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주요 연구관심사는 다층모형, 구조방정식모형 및 인과효과 추론이다.
펼치기
이한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입학처장 Waseda University 인간과학박사(Ph.D) 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장
펼치기
조현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에서 교육학(주전공)과 철학(부전공)을 공부하며 학부 과정을 보낸 뒤, 교육인류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뉴욕주립대 버팔로캠퍼스에서 “Educational Culture, Policy, and Society” 프로그램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 학위 졸업 논문인 <Class struggle within the middle-class: Academic competition for selective college admissions among Korean ‘early study abroad’ students in the globalized arena>로 ‘UB Excellence in Research, Scholarship and Creativity Award’를 수상했다. 박사 졸업 이후 1년간 뉴욕주립대 버팔로캠퍼스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며 서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Market-based parental involvement: Impact of networks of middle-class mothers in the education marketplace>, <Complexifying Asian American student pathways to STEM majors: Differences by ethnic subgroups and college selectivity> 등이 있다.
펼치기
황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황지원(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미래혁신원 부원장, IR센터장) 서울대학교 교육학박사 전) 서울시립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장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많은 학자들이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가 도래하였다고 말한다. 이러한 분위기는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나은 교육의 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분야를 비롯한 다른 사회 분야의 변화 속도에 비해 교육 분야의 변화가 느리다는 비판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가 힘들다는 것은 오히려 교육의 중요한 속성이라 할 수 있으며, 현실 교육의 여러 장면에서 교육 혁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은 신중하고 끈기 있게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육 현실의 변화와 이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연구가 교육학 영역에서 축적되어 왔다. 디지털 전환의 흐름이 가속화된다면 교육학 연구는 더 큰 변화와 발전의 계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의 초기 기획 아이디어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동문수학한 선후배들의 모임에서 시작되었다. 각자의 교육학 전공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동문들이 모여서 의미 있는 공동의 작업을 해보기로 의견을 모았고, 제시된 여러 아이디어 중에서 책을 쓰자는 것에 모두 공감을 하게 되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장 많은 공감을 얻은 부분은 교육학에 관심을 갖고 입문하는 새로운 학문 후속세대들에게 자신 있게 권할 만한 입문서를 써보자는 것이었다. 초심자가 조금 더 흥미롭게 교육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입문서를 쓴다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슈를 가지고 교육학 이론을 풀어나가는 개론서를 쓸 수 있다면, 실제 교육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관점으로서 교육학 이론의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책의 집필에는 12명의 저자가 참여하였다. 크게는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 1은 학생 이해하기, PART 2는 교실 수업 이해하기, PART 3은 학교와 정책 이해하기’로 이루어져 있다. PART 1은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 ‘난 이렇게 우울한데 넌 어떻게 행복한 거니?’는 교육상담을 전공한 이한종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2장 ‘교육심리학의 개념은 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는 교육심리학을 전공한 임효진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3장 ‘그 학생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질적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와 교육정책을 전공한 조현명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PART 2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4장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독일까 약일까?’는 교육과정을 전공한 강지영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5장 ‘수행평가는 미래 교육을 위한 평가가 될 수 있을까?’는 교육측정평가를 전공한 강태훈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6장 ‘학생 개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는 교육공학을 전공한 김동호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7장 ‘학생의 학업성취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는 교육측정평가를 전공한 김준엽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8장 ‘조선시대 학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수업했을까?’는 교육사를 전공한 이상무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PART 3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는데, 9장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박소영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10장 ‘교육감이 바뀌면 교육정책이 바뀌는가?’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박주형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11장 ‘학교 조직은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는 교육행정학을 전공한 정제영 교수가 집필하였다. 12장 ‘개천용은 왜, 어디로 사라졌을까?’는 교육사회학을 전공한 황지원 교수님이 집필하였다.
다양한 전공의 배경을 갖고 있는 교수들이 모여서 공동의 작업을 하는 것은 학계에서 쉽지 않은 도전적 과제이다. 우리는 전통적인 교재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많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형식도 새롭게 바꾸고자 노력하였다. 플립러닝 방식을 도입하고, 사례와 문제 중심으로 교육학을 접할 수 있도록 구성을 새롭게 하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성과라면 자발적으로 집필에 참여하신 교수님들이 의기투합하여 한 명의 이탈자도 없이 출판까지 마무리하게 된 것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출판의 결실을 맺게 된 것은 모두 참여해주신 교수님들의 인내와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면을 빌어서 참여해주신 교수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린다. 그리고 출판의 기획에서부터 험난한 교정의 과정까지 실질적으로 이끌어주신 박영스토리 임직원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 책은 앞서 언급했듯이 교육학에 입문하는 분들의 학문적 갈증을 해소해보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부디 이 책을 통해서 그런 학문적 갈증이 해소된다면 너무나도 기쁜 일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독자들이 새로운 학문적 갈증을 느끼게 된다면 이것 또한 더할 나위 없는 중요한 성과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번에 출판하는 이슈 중심의 교육학개론 초판은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려는 노력의 출발점이다. 앞으로 새 판을 거듭하면서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이 책 역시 함께 진화해가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2023년 3월
저자들을 대표하여 정제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198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