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초를 세우는 교육학개론

기초를 세우는 교육학개론

임상훈, 박선희, 윤소희, 이상무, 이전이, 이혜정, 권양이, 최태진 (지은이)
교육과학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초를 세우는 교육학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초를 세우는 교육학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642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2-01-10

책 소개

혁신 담론의 홍수 속에서 교육학 역시 변화와 확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변할 수 없는 교육학의 ‘기초’와 ‘정수’를 충분히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혁신과 향상의 모습을 담아내는 교육학이지만 그 안에 본질인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교육학의 기초는 반드시 붙들고자 했다.

목차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13
1. 교육의 개념 14
1.1. ‘교육’이라는 말의 다양한 용례 14
1.2. 어원적 의미에서의 교육 16
2. 교육의 비유 17
2.1. 주형의 비유 18
2.2. 성장의 비유 18
2.3. 다른 비유 방식 19
3. 교육다운 교육의 요소 21
3.1. 의도성 21
3.2. 전인적 인간 22
3.3. 바람직한 변화의 추구 23
3.4. 피교육자의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 23
3.5.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인격적 상호작용 24
3.6. 의미충족과 자아 형성감의 함양 25
3.7. 교육자의 도덕적 책임 25
4. 교육의 다양한 정의 방식 26
4.1. 공학적 개념 26
4.2. 성년식 개념 28
4.3. 사회화 개념 30
5. 교육의 개념에 대해서 스스로 생각해보기 31

제2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35
1. 교육철학의 의미와 기능 36
1.1. 교육철학의 의미 36
1.2. 교육철학의 기능 37
2. 교육철학의 성격 41
2.1.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41
2.2. 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 41
2.3. 두 가지 맥락의 교육철학의 비교 42
2.4. 교육철학의 성격 43
3. 20세기 이후 교육철학의 전개 45
3.1. 시대에 따른 의미의 절대성과 상대성 46
3.2. 20세기 전기 교육철학 47
3.3. 20세기 후기 교육철학 53

제3장 교육심리학 59
1. 교육심리학의 이해 59
1.1.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59
1.2. 교육심리학의 특징 60
1.3. 교육심리학의 영역 61
2. 인지발달이론 63
2.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63
2.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67
3. 성격발달이론 69
3.1. Freud의 심리성적 성격발달 이론 69
3.2. Freud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70
4. 지능이론 73
4.1. 지능(intelligence)의 정의 73
4.2. 지능의 구성 요인 74
4.3.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75
5. 창의성 교육 76
5.1. 창의성의 정의 76
5.2. 창의성 구성 요인 77
5.3. 창의성 개발 기법 78

제4장 교육사회학 83
1. 교육사회학의 이해 83
1.1. 교육과 인간, 그리고 사회 83
1.2.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 85
2. 사회현상으로서 교육 87
2.1. 교육의 사회적 기능 87
2.2. 교육과 문화, 그리고 사회 89
3. 교육사회학 이론 92
3.1. 거시적 이론 92
3.2. 미시적 이론 99
4. 교육평등과 사회평등 103
4.1. 사회평등과 교육 103
4.2. 교육평등 107
5. 미래사회 학교교육, 그리고 교육사회학적 접근 111

제5장 교육과정 117
1. 교육과정학의 이해 117
1.1.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성격 117
1.2. 교육과정학의 출발 118
1.3. 교육과정의 개념 119
1.4. 교육과정의 수준 119
1.5. 교육과정의 성격 121
2. 교육과정학의 발달과정 123
2.1. 1900∼1910년대 123
2.2. 1920∼1930년대 124
2.3. 1940∼1950년대 124
2.4. 1960년대 125
2.5. 1970∼1980년대 125
3. 교육과정의 유형 126
3.1. 개념상 분류 126
3.2. 조직 중점에 따른 분류 133
4. 교육목표 선정 136
4.1. 교육목표 개념 136
4.2. 교육목표의 분류 137
4.3. 교육목표 진술 방법 142
5. 미래 교육과 학교교육과정개선을 위한 방향 145

제6장 교육방법 149
1. 교육방법의 이해 149
1.1. 교육방법의 개념 149
1.2. 교육방법 탐구의 전제 및 분류 151
2. 객관주의 교육방법 154
2.1. 개요 154
2.2. 강의법 155
2.3. 토의법 159
2.4. 탐구학습 164
3. 구성주의적 교육방법 167
3.1. 개요 167
3.2.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170
3.3.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177

제7장 교육공학 187
1. 교육방법의 배경과 개념 188
1.1. 교육, 공학, 그리고 교육공학 188
1.2. 교육공학의 발전 과정 191
1.3. 교육공학의 개념 193
1.4. 교육공학의 연구 영역 194
2. 교수설계 197
2.1. 교수설계의 개념 197
2.2. 교수설계 모형 198
3. 교수매체 205
3.1. 교수매체의 개념 205
3.2. 교수매체의 종류 207
3.3. 주요 교수매체의 특징 209
3.4. 교수매체의 활용: ASSURE 모형 213

제8장 평생교육 219
1. 평생교육의 이해 219
1.1. 평생교육의 등장 및 필요성 219
1.2. 평생교육 개념과 역사 221
2. 평생교육의 영역과 법적기반 225
2.1. 평생교육의 영역 225
2.2. 평생교육의 법적기반 227
3. 평생교육의 내용 235
3.1. 문해교육 235
3.2. 인문교양교육 237
3.3. 시민사회교육 238
3.4. 소비자ㆍ환경교육 239
3.5. 인적자원개발형의 교육 240
3.6. 여가 및 취미생활 교육 241
4. 평생교육의 제도와 정책 242
4.1. 학점은행제 242
4.2. 평생학습도시 243
4.3. 성인문해교육 244
4.4. 소외계층 평생교육 245
4.5. 평생학습계좌제 245
4.6. 원격대학 247
5. 평생교육의 전망과 발전과제 247

제9장 교육평가 255
1. 교육평가의 개념과 목적 256
1.1. 교육평가의 개념 256
1.2. 교육평가의 목적 258
2. 교육평가의 유형 261
2.1. 준거참조평가와 규준참조평가 261
2.2.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264
2.3. 객관식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266
3. 좋은 평가도구의 조건 271
3.1. 타당도 271
3.2. 신뢰도 274
3.3. 객관도 276
4. 평가의 실제와 유의사항 277
4.1. 검사점수 해석과 평가에의 활용 277
4.2. 평가의 유의사항 281

제10장 생활지도와 상담 285
1. 생활지도 285
1.1. 생활지도의 기초 285
1.2. 생활지도의 실태와 문제 유형별 접근전략 288
1.3. 문제 학생의 이해와 지도 297
2. 학교상담 300
2.1. 학교상담의 기초 300
2.2. 학교상담의 이론 304

제11장 교육행정 317
1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317
1.1. 합리체제 318
1.2. 자연체제 319
1.3. 개방체제 319
1.4. 사회체제 320
2. 학교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321
2.1. 조직으로서의 학교 321
2.2. 공동체로서의 학교 326
2.3. 제도로서의 학교 329
3. 학교 효과성과 효과적인 학교 332

제12장 교사론 339
1. 교직의 정체성 339
1.1. 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 339
1.2. 교직의 어려움 341
2. 교사 전문성 342
2.1. 교사의 전문적 자본 342
2.2. 교사 전문성 개발의 역사 344
2.3.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유형 345
2.4. 전문적 학습공동체 345
2.5. 그 밖의 시도: 양성과정 및 직무구조 개편 346
3. 교사의 권위와 영향력 347
3.1. 권력과 권위의 관계 347
3.2. 교사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 348
3.3. 교사 리더십 349

찾아보기 353

저자소개

권양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박사(교육사회학 및 성인계속교육학 전공) 현,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강사
펼치기
임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재료공학과 학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 및 박사 전 한남대학교 취업창업처 조교수 현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펼치기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석사, 박사 전 단국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연구교수 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교수
펼치기
윤소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 석ㆍ박사(교육행정 전공) 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조교수
펼치기
이상무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벌거벗은 한국사> '성균관' 편에 출연했습니다.
펼치기
이전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원교육을 비롯한 여러 교육정책이나 교육현상을 형평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effect of teacher influence relative to principal influence in school decision-making on teacher job attitudes”(공저, 2023), “졸업유예는 누구에게 기회가 되는가?: 대학 소재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비교 분석”(공저, 2021), “Effects of South Korea’s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elementary-and middle-school students’ changes i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공저, 2020), “교육의 공정성과 적정성의 관계: 28개 OECD 회원국의 학업성취 결과를 중심으로”(2019)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정치교육론: 이론과 실천 및 과제』(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 학사, 석ㆍ박사(교육사회학 전공) 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부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